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죄인에서 명현으로: 김식의 ‘망명’을 해명하는 글쓰기의 전략과 복권운동과의 관계

        김지 동양고전학회 2019 東洋古典硏究 Vol.0 No.74

        The repute of Kim Shik(김식, 金湜,1482∼1520) had fluctuated dramatically through and after his last days. As a prominent figure of Jo Gwang-jo's party, he was one of the main targets of the Purge of 1519. After his abscondence and suicide, he was blamed as the 'disgrace' of Gimyo group. Inheritors of the group sought strategies to defend his abscondence, as their repute was gravely related to those of their ancestors. This study focuses on the defending strategies and their relations to later reinstatement of Kim Shik. It discusses how the abscondence impacted and what debates has made after his decease. Discu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writings on him in later generations and the movement for his reinstatement follows the examination of defending strategies found in memory-making writings on him.

      • KCI등재

        釋讀口訣의 處格·冠形格 複合助詞

        김지오 구결학회 2013 구결연구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forms of locative and genitive combinational case marker in Seoktokgugyeol, to classify those forms by semantic types and to discuss the problems of morphological analysis. In Seoktokgugyeol, there are three forms of locative and genitive combinational case markers which are ‘’ and ‘’ and ‘. In contrast with ‘앳’ interpreted in various ways in 15th century Korean, those forms are simply divided two semantic types. First type has this following form ; specific location or time presents on an antecedent noun phrase(NP1) and human or inhuman noun(situation) presents on a following noun phrase(NP2). At this time ‘’ is interpreted as ‘be located in/at,exist, happenㆍtake place in/at’. Second type has this following form ; a category presents on an antecedent noun phrase(NP1) and object belonged to the category presents on a following noun phrase(NP2). At this time ‘’ is interpreted as ‘among, of’. The combinational case marker is synchronically analyzed in locative and genitive,so ‘’ could be analyzed ‘’ and ‘’. But there is no locative case marker such as ‘’ in Seoktokgugyeol and grammatical function of ‘’ separated from ‘’ is completely equal to ‘’. This is estimated as a transitional phenomenon by extinction of locative ‘’. Although morphologically ‘’ seems to be in succession to '阿叱' which is appeared on Hyangga, a grammatical function of ‘’ is substituted by ‘’. However, analysis of ‘’ is similar as ‘’. ‘’ is regarded as a combinational form of ‘’ and ‘’, seeing how grammatical function of ‘’separated from ‘’ is completely equal to ‘’. 석독구결의 처격ㆍ관형격 복합조사에는 ‘(앗)’ 이외에도 ‘(읫)’, ‘(긧)’이라는 형태가 더 존재한다. 다양한 의미 유형을 갖는 15세기 국어의 ‘앳’과달리 석독구결의 처격ㆍ관형격 복합조사에서는 두 가지 유형만이 확인된다. 첫 번째 유형은 선행명사에 구체적인 장소ㆍ시간이 제시되고, 후행명사에는그 장소ㆍ시간에 존재하는 유정물ㆍ무정물(사건)이 제시되는 유형으로, 이들은‘~에 있는, ~에 존재하는’으로 해석된다. 두 번째 유형은 선행명사에 집단이나 범주가 제시되고, 후행명사에는 그 범주에 속하는 대상이나 그 범주의 등급이 제시되는 유형으로, ‘~중에서, ~가운데, ~의’로 해석된다. 한편 처격조사 ‘아’는 향가 자료에서만 확인되는 형태로 석독구결에는 보이지않는 형태이다. 이는 우연한 공백이 아니라 형태의 부재일 가능성이 크며 실제로 향가에 사용된 단독 처격의 ‘良(아)’가 다른 처격조사들로 대체되는 정황들도포착된다. 따라서 석독구결의 ‘(앗)’이 형태적으로는 향가의 ‘阿叱(앗)’을 계승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단독 처격 ‘아’의 쇠퇴로 인해 ‘(앗)’의 ‘(아)’가보여주는 문법적 기능은 ‘(아긔)’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인다. ‘(읫)’도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읫)’은 형태상으로는 특이처격의 ‘(의)’와 관형격의 ‘(ㅅ)’으로 분석되지만 ‘(읫)’의 ‘(의)’가 보여주는 문법적기능은 ‘(의)’가 아니라 ‘(의긔)’와 일치하는 모습을 보인다.

      • KCI등재

        대학생 칼럼의 미숙한 표현 고찰: 공공언어가 갖춰야 할 요건을 중심으로

        김지오 동악어문학회 2023 동악어문학 Vol.89 No.-

        이번 연구에서는 공공언어가 갖춰야 할 기준을 중심으로 대학생들의 칼럼 쓰기에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해 보았다. 기준이 된 네 가지 항목은 ① 표현의 정확성, ② 공공성, ③ 정보성, ④ 용이성이다. 첫째, <표현의 정확성> 측면에서는 표현할 의미보다 더 큰 의미를 가진 상위어를 거칠게 사용하는 문제와 단순하거나 과장되거나 진부한 구어적 표현을 남용하는 것이 주된 문제로 파악되었다. 둘째, <공공성> 측면에서는 비속어나 폭력적인 단어의 사용, 무분별한 영어식 표현의 남용이 공공성을 해치는 주요 문제로 파악되었다. 셋째, <정보성> 측면에서는 거시 정보를 부족하게 주거나 시작 문장부터 과도한 정보를 담거나 글의 양이 늘어나도 정보의 양이 늘어나지 않는 문제들이 포착되었다. 마지막으로 가독성을 해치는 제목 배치, 텍스트 정렬 방식, 자간과 줄 간격의 조정 문제 등이 <용이성> 측면의 문제로 나타났다. 한편 그동안 학생들의 글쓰기 문제를 ‘표기(맞춤법과 띄어쓰기)와 문법의 정확성’ 측면에서 분석한 연구들이 많았다. 그러나 ‘공공성, 정보성, 용이성’차원에서 글쓰기의 문제를 진단한 연구는 지금껏 없었다. ‘언어의 공공성’이라는 낯선 틀을 가지고 학생들의 글을 분석해 본 결과, 그동안에는 주목하지 못했던 학생들 글의 새로운 문제점을 볼 수 있었던 것이 이번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瑜伽師地論』 二種 飜譯에 대한 對照 硏究

        김지오,성옥 한국고전번역원 2018 民族文化 Vol.52 No.-

        This study aims to compare,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lation criticism, the two versions of translation of Yugasajiron(瑜伽師地論) Volume 20: one by Seokdokkugyol(釋讀口訣) of Goryeo and the other by Yeokgyeongwon of Dongguk University. These two translated versions show minor and major differences in 40 places, of which the ones that could cause a significant distortion to the understanding of contex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morphology, syntax, and style to figure out which of them was more accurate. Here, a decision on the fitness of a translation was not based on the meaning in contexts, but rather a Tibetan version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 was used to understand its original intentions more accurately. Yugasajiron was originally written in Sanskrit and translated into Chinese by Buddhist Priest Xuanzang, which means that the utilization of these source materials would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if the contexts were difficult to grasp only based on contextual judgments. Since Volume 20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 in Sanskrit was missing, the investigator used its Tibetan version that translated the collection in Sanskrit literally to understand the original intentions. The findings show that the translations based on Seokdokkugyol of Goryeo were more accurate given that ‘我我’ was translated into “me of me,” that ‘相續’ was treated as a noun and that the negative part of ‘不生憂慮 謂我我今者何所在耶’ was handled accurately. The translations by Yeokgyeongwon also had their own virtue of being translated accurately to reflect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original texts in Sanskrit like with the ‘十十種’ issue, but they were lacking precision in lots of problematic parts. 이번 연구는 『瑜伽師地論』 권20을 대상으로 고려시대 釋讀口訣 번역과 동국대 譯經院 번역을 飜譯批評의 관점에서 견주어 본 것이다. 두 飜譯은 40여 곳에서 크고 작은 차이를 보였는데, 이 가운데 문맥을 歪曲시킬 수 있는 곳을 중심으로 형태․통사 층위로 나누어 어떤 번역이 더 정확한가, 또는 더 바람직한가를 판별해 보았다. 이때 번역의 정합성 판별은 文脈이나 佛敎學的 의미로만 접근하지 않고, 티벳본 대장경을 활용하여 原意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활용해 보았다. 원래 『瑜伽師地論』은 산스크리트어로 기록된 것을 玄奘 스님이 한역한 것이므로 문맥적 판단만으로 어려운 문제들은 이런 原資料의 활용이 도움이 된다. 그런데 아쉽게도 산스크리트어 대장경에서 권20 부분은 전하지 않기 때문에, 이번 연구에서는 산스크리트본의 축자적 번역인 티벳본에 기초하여 原意 파악에 활용해 보았다. 그 결과 ‘我我’를 ‘나의 나’로 번역한 것, ‘相續’을 명사로 처리한 것, ‘不生憂慮 謂我我今者何所在耶’의 否定 영역을 정확하게 처리한 것, ‘有智同梵行者’의 ‘有知’를 수식 구조로 본 것 등에서 고려시대 釋讀口訣 飜譯이 더 정확한 번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譯經院 번역도 ‘十十種’ 문제에서처럼 원래 산스크리트 원본의 원의에 가깝게 번역한 미덕을 갖고 있긴 하지만, 문제가 된 여러 부분에서 번역의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 KCI등재

        자토석독구결 ‘()-’의 분포와 특이 용법

        김지오 국어사학회 2019 국어사연구 Vol.0 No.29

        This study examined the emergence environment and unusual usage of ‘ha()-’ that appeared in Jatoseokdokkugyol(字吐釋讀口訣). ‘ha()-’ appears after Sino-Korean words(漢字語), native Korean words(固有語), markers, and endings. In the case of single syllable Chinese characters, some words are read as native Korean words and also read with “Chinese character + ha()-”. In the case of native Korean words, ‘ha()-’ comes after a stem with final consonant ‘s(ㅅ)’ in many cases and ‘ha()-’ peculiarly appears after verb ‘ildalha(일)-’ or ‘samha(삼)-’. In the case of markers, the environment realized after the locative case marker ‘agui(아긔)’ and the subject case marker ‘i(이)’ is noticeable. In the case of endings the fact that ‘-oha(오)-’ appears in addition to the connective ending ‘-eoha(어)-’ is noticeable. Meanwhile, ‘ha()-’ in Seokdokkugyol differs greatly from ‘ha()-’. in the modern Korean language. First, ‘ha()-’, which is connected to ‘non-predicative(substantive) noun’ is sometimes used as a formal verb rather than a pro-verb. Second, in Chinese sentences, the predicate is sometimes omitted when the verb is repeated or the meaning of the verb can be guessed without the verb. In Korean language, however, a sentence cannot be constructed without a verb. Therefore, so ‘ha()-’ is added. This ‘ha()-’ is responsible for reproducing the omitted verb. Third, ‘ha()-’ sometimes means ‘exist’. Fourth, Seokdokkugyol is a translation method that interprets Chinese sentences in Korean word order, but some phrases are sometimes translated in Chinese word order. The ‘ha()-’ used in this syntax reminds us where the verb’s normal position is. Fifth, the composition of ‘-eoha(어)-’ in Seokdokkugyol is connected to only non-psychological predicates unlike the modern Korean language as a great difference. 자토석독구결의 ‘-’는 한자어, 고유어, 조사, 어미 뒤에 나타난다. ‘-’는 현대국어 ‘하-’와 그 기능이 유사하지만 일부는 현대국어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용법을 보인다. 첫째 ‘비서술성(실체) 명사’에 연결되는 ‘-’가 대동사가 아닌 형식동사로 쓰인 예들이 존재한다. 둘째, 한문에서는 동사가 생략되는 경우가 있는데 자토석독구결의 ‘-’는 이런 생략된 동사를 재현하는 기능을 담당하기도 한다. 셋째, ‘-’가 ‘있다’의 의미를 갖는 경우가 있다. 넷째, 자토석독구결은 한문을 한국어의 어순으로 풀어내는 번역 방식이지만 일부 구문에서는 한문의 어순대로 번역할 때도 있다. 이런 구문에 사용되는 ‘-’는 역독되어야 할 동사의 위치가 어디였는지를 상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석독구결의 ‘-어-’ 구성은 현대국어와는 다르게 비심리용언에만 연결된다. 이런 특이 용법 중 일부는 자연스러운 언어 현상의 반영이라기보다는 번역 자료라는 특성상 나타나게 되는 한문의 간섭 결과로 파악된다.

      • KCI등재

        석독구결의 부독자 다시 보기

        김지오 국어사학회 2020 국어사연구 Vol.0 No.31

        This study aimed to show a new aspect on non-read characters on Seokdokgugyul. Firstly, it reveal that non-read phenomenons are mainly categorized by three groups: the unreadable-letter-skipping, dividing notation and position deviation of To(吐) marking. Secondly, this article compares the list of non-read characters of Nampunghyun(2007) and that of sktot(2019). After selecting the differences from two sources, this study examined throughly the adequacy of those as non-read characters as well as presenting a new list of 30 non-read characters. Lastly it represents that non-read characters can be segemented into 4 categories based on detailed reading. A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rm of non-read characters correctly, it should be comprehensively understood in a way of ‘reading’ which is appeared as the first meaning of the character ‘讀’ on dictionary, beyond in a way of ‘interpretation’ or ‘decoding’. 이 글에서는 자토석독구결의 부독자에 대해 새롭게 살펴보았다. 먼저 자료 안에서 부독 현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는데, ‘건너뛰기(무연고 글자 만들기), 나눠 적기, 현토 위치 일탈하기’의 방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남풍현(2007)에서 제시한 부독자와 sktot(2019)에서 {}로 처리한 글자를 비교해, 차이를 보이는 글자들을 중심으로 그 타당성을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남풍현(2007)의 ‘乃, 復, 時, 亦, 又, 應/應可, 或’과 sktot(2019)의 ‘故, 日’은 부독자 목록에서 제외하거나 보류해야 할 글자들로 판단하였다. 본고에서 제안하는 부독자는 30자로, 남풍현(2007)의 목록에서 7자를 제외하고 sktot(2019)에서 제안한 ‘每’를 추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부독자를 구성하는 글자들이 4가지의 다른 성격을 지닌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금까지 통용된 부독자의 ‘讀’의 의미는 ‘해석/번역’의 의미가 아니라 ‘낭독/독송’의 의미로 파악해야 한다는 사실도 기술하였다.

      • KCI등재

        고려가요의 문법 -쟁점이 된 특이 형태를 중심으로-

        김지오 구결학회 2018 구결연구 Vol.4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mmarize and introduce unusual forms that had been an issue in the research of Goryeo Gayo. The study also aimed to search for solutions to promote their understanding in the continuity of Korean linguistic history. The body dealt with ‘-시-’, which is a prefinal ending corresponding with non-honorific title subjects, ‘--’, whose function changes into an honorific word for the listener, interrogative final endings not following the grammar order, ‘-마’, which showed a different pattern from Korean in the 15th century, ‘하’ and ‘아’, which are vocative particles that do not agree with the honorific grade of the final form, bound nouns of various kinds, ㅎ-final nouns, lexicalization of ‘누고’ and the derivational suffix ‘-다.’ The study also examined the periodic layer of each of the forms discussed. Many researchers considered only the linguistic phenomena of the 15th century and the preceding periods when analyzing Goryeo Gayo and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ir changes into modern Korean. Given that there are many forms appearing in modern Korean in the songs of Akjanggasa and Siyonghyangakbo, it is essential to take into consideration Goryeo Gayo' changes into modern Korean as part of research efforts. 이 글은 고려가요에 나타난 특이 형태들을 정리‧소개한 것이다. 이와 함께 일부 형태들에 대해서는 새로운 해결 방안도 모색해 보았다. 먼저 비존칭 주어에 호응해 나타나는 주체높임의 ‘-시-’의 문제는 시점전이의 관점에서 이해해보았고, ‘-고시-’의 문제에 대해서는 석독구결의 ‘--’과 연결시켜 보았다. ‘--’의 경우 청자존대로 변화한 형태들이 이미 고려가요에서 확인되고 있으므로 ‘--’이 존대 객어를 설정해야 하는 절대적 지표가 될 수 없음을 지적하였으며, 의문형으로 알려진 <정읍사>의 ‘-신고요’는 석독구결에 나타난 배경의 연결어미 ‘-(ㄴ여)’, 즉 ‘-시곤여’의 와전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호격조사가 종결어미의 존대등급과 일치 않는 현상에 대해서는 석독구결 자료에서도 이런 현상이 나타남을 지적하여 이것이 고려시대 언어의 한 특성일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이 밖에도 연결어미 ‘-ㄴ’의 문법화 정도, 15세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 ‘-마’, 공동격 조사 사용의 특이점, ㅎ말음체언의 양상, 다채로운 의존명사의 사용, ‘누고’의 어휘화, 파생접미사 ‘-다’ 등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한편 쟁점이 되었던 형태소들을 대상으로 각 형태들의 시대적 층위도 구분해 보았다. 그 결과 고려가요의 특이 형태들 중에는 근대국어적 특징을 보이는 것들이 많이 확인되었는데, 특히 채록 시기가 미상인 『악장가사』와 『시용향악보』의 노래를 다룰 때에는 근대국어 시기의 언어 현상까지 적극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