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에서 치아 임플란트 식립후 치조골의 신티그라피 평가

        김중현,이재영,김명환,이원국,강성수,최석화,Kim, Joong-hyun,Lee, Jae-yeong,Kim, Myoung-hwan,Lee, Won-guk,Kang, Seong-soo,Choi, Seok-hwa 대한수의학회 2003 大韓獸醫學會誌 Vol.43 No.2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of osseointegration following dental implantation in the dog mandible using bone scintigraphy. Five mongrel dogs, weighing approximately 8.5 kg and averaging 1.8 years of age, without active periodontal disease were used. During the entire study period, all dogs were fed a soft commercial diet and water ad libitum to minimize functional loading of the implant. Titanium alloy implant systems 10 mm in length and 4 mm in diameter were chosen for insertion. Twelve weeks prior to implantation, the second and third left mandibular premolars in each dog were extracted for the dental implant insertion. Before the dental implantation procedures and 0, 4, 8, and 12 weeks after the insertions, clinical observation, radiography and bone scintigraphy were conducted. The scintigraphy was obtained using a large field of view gamma camera equipped with a paralled-hole, low-energy collimator about 3 hours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Tc-99m-MDP (8 mCi/dog) to the dogs. There were not inflammation sign after insertion of dental implants on the mandible in dogs. Implants were slightly movable at the first and fourth weeks, and there was no mobility after 8 weeks. Twelve weeks after dental implantation, the bone uptake scintigraphy of peri-implant bone was similar to that of normal alveolar bone, indicating that peri-implant bone was completely regenerated by new bone. In conclusion, we recommend stable implant fixation with alveolar bone for the accurate and safe repair of teeth loot due to decacy, trauma or peridontal disease. Titanium alloy implants were optimal due to their biocompatibility.

      • KCI등재

        임플란트 사이에 있는 자연치 함입 증례

        김중현,양순봉,조영성,박영범,Kim, Joong-Hyun,Yang, Sun-Bong,Jo, Young-Sung,Park, Young-Bum 대한치과보철학회 201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2 No.4

        임플란트와 자연치를 연결하여 보철물을 제작할 경우, 자연치에 함입현상이 일어날수 있음은 여러 보고로 알려져 있다. 이를 설명하는 메커니즘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이에 임플란트와 자연치를 연결 하는 보철물 형태는 권장되지 않는다. 본 증례는 임플란트와 인접 하지만, 연결되어 있지는 않은 자연치가 인접면 접촉과 연관되어 함입이 일어난 증례이다. 68세 여성이 상악 좌측 제2소구치 및 제2대구치 발치후, 임플란트 수술 및 보철수복을 받았으며, 임플란트 사이의 제1대구치는 크라운 치료를 받았다. 2.5년 후, 제2대구치 근심면의 접촉이 느슨해져 상기 보철물의 근심면 합착을 시행하였다. 그로부터 7개월후, 제1대구치의 약 2 mm 함입이 발생하였으며, 치주문제로 인한 통증도 발생하였다. 제1대구치의 크라운을 제거하고 다시 정출이 일어났고, 치주 통증도 사라졌다. 이에 본 증례를 분석, 보고하는 바이다. In case of implant-tooth connected prosthesis, a natural tooth tends to intrude. There are several mechanisms that explain an intrusion phenomenon. So it is reco mmended not to connect an implant with a natural tooth. A 68-year-old female had upper left $2^{nd}$ premolar and $2^{nd}$ molar extracted and underwent implant surgery on the missing area. We made an implant prosthesis and treated upper left $1^{st}$ molar with a gold crown. 2.5 year later, the patient complained about loose proximal contact and food impaction between upper left $1^{st}$ molar and $2^{nd}$ molar. Mesial side of upper left $2^{nd}$ molar implant prosthesis was soldered so that proximal contact became tight again. But after 7 months, about 2 mm intrusion of upper left $1^{st}$ molar occurred, and the patient felt periodontally originated pain on intruded upper left $1^{st}$ molar. After the gold crown on upper left $1^{st}$ molar was removed, extrusion occurred and pain was relived.

      • KCI등재

        유럽의 미개인'이 탐구한 아시아의 지혜들

        김중현(KIM, Joong-Hyun) 프랑스학회 2009 프랑스학연구 Vol.50 No.-

        Henri Michaux, "homme de quête et de révolte". voyage beaucoup; selon lui, lui-même voyage "pour expulser de lui sa patrie, ses attaches de toutes sortes et ce qui s'est en lui et malgré lui attaché de culture grecque ou tomaine ou germanique ou d'habitude belges". Il n'aime pas sa civilisation qui a tous les dégauts: il en dégoûte qui n'a à offrir que le désir, l'aviditè, la lutte, ayant causé la première guerre mondiale. En 1930, il voyage enfin en Asie; ce voyage est en quelque sorte celui en quête d'oxygène pour lui-même, en conséquence pour sa civilisation en crise spirituel. Et il s'applique à ce voyage, ayant l'espoir d'une reviviscence qui emprunterait à l'Orient ses forces. Même ne arrivant en Aise, il craint de ne reouver que des pays et des peuples sans importance. Mais pourtant il rencontre les Indes et la Chine, lesquelles contentent son espoir de lui donner une revigorante nourriture; c'est ainsi que, selon lui, les Indes deviennent "le premier peuple en bloc, paraissant répondre à l'essentiel, qui dans l'essentiel cherche l'assouvissement, enfin un peuple méritant d'être distingué des autres."; c'est ainsi que La Chine devient "un pays surlequel il écrit trop vite, dans l'excitation et le surprise émerveillée d'être touché àce point, pays qu'il lui faudra méditer et ruminer ensuite pendant des années." Et enfin pour l'auteur ces pays sont ceux qui font sentir "la joi de revivre". Mais qu'est-ce qui lui fait sentir "la joie de vivre"? Le titre de l'oeuvre, Un Barbare en Asie, paru après être rentré de ce voyage suggère la réponse à la question. En se plaçant 'Un Barbare européen, il dit avec esprit qu'il a apris en Asie des sagesses de l'esprit cultivé. Quelles sont les sagesses asiatiques, donc, qui ont fait sentir "la joie de vivre"? Ces sagesses, bien-sûr, seraient celles pouvant inspirer à la civilisation occidentale en déclin la reviviscence. Et notre étude a pour objet de répondre à la question posée ci-dessus, basée sur son oeuvre, Un Barbare en Asie(1933),k tiré de son voyage en Asie, entre autres aux Indes, en Chine, et au Japon. Des Hindous, l'auteur apprend à vivre en recherchant l'union de l'esprit individuel avec Dieu; ils vivent dans la spiritualité heureuse; ils vivent dans l'assouvissement de soi; c'est une vie contraire à celle des européems qui ont perdu la religion, en conséquemce la vie spirituelle, grâce à laquelle on modère son avidité matérielle. Des Chinois, il apprend à vivre dans l'équibre et l'harmonie dans leur vie en collectivité; c'est l'état que les Chinois goûtent par0dessus tout, "et qui leur est une sorte de paradis"; pour cela, ils s'humilient et ils sont polis; ils s'humilient pour ne pas être humiliés. Pour l'auteur, les Japonais sont "le peuple dénué de sagesse, de simplicité et de profondeur, archisérieux, [···] ambitieux, superficiel." Mais surtout ils sont visiblement destinés au maux européens et à la civilisation occidentale; c'est poirquoi, pour l'aiteur, il n'y a presque psa de sagesse à apprendre des Japonais. qui courent précipitamment après la civilisation européenne, civilisation en décli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파트리스 라콩브의 땅에 대한 이데올로기

        김중현(Kim, Joong-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2

        퀘벡 문학이 시작되는 것은 대체로 19세기 전반부터라고 할 수 있다. 1830년에 최초의 시집(『서간, 풍자, 노래, 촌철시, 여타의 시』, 미셸 비고)이, 그리고 1837년에 최초의 소설(『책의 영향』, 필립 오베르 드 가스페 2세)이 발간되기 때문이다. 이어 1846년에는 파트리스 라콩브가『아버지의 땅』을 발표하는데, 이 작품은 당시 프랑스에서 일고 있던 낭만주의로부터 전적으로 자유롭다. 프랑스의 영향을 거부한 그의 작품은 명백히 독자적이며 ‘민족주의적’이다. 이 작품은 7년 뒤에 발표된 피에르 조제프 올리비에 쇼보의『샤를 게랭』과 함께 퀘벡 문학의 새로운 한 조류를 이룬다.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의 (농촌) 풍속을 충실하고 정확하게 묘사하고자 하는” 이 소설 장르는 ‘농촌소설’이라는 명칭이 붙게 되는데, 곧 프랑스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은 문학 조류를 압도한다. 그리하여 ‘토종적이고’ 민족주의적인 ‘농촌소설’ 장르는 이후 거의 백 년 동안 퀘벡 문학의 지배적인 장르가 되며,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전파하는 교화적인 이 장르는 1947년 제르멘 게브르몽의『마리 디다스』가 출간될 때까지 영향력이 지속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퀘벡 문학의 제1세대로 ‘농촌소설’의 창시자이기도 한 파트리스 라콩브가 ‘농촌소설’의 효시작인『아버지의 땅』에서 전파하고자 했던 땅에 대한 이데올로기를 고찰하는 데 있다. 그것은 조상의 땅을 떠나는 자에게는 비참이, 반면 조상의 땅을 지키는 자에게는 복됨이 약속되어 있다는 것이다. 작가는 자신의 이데올로기 속에 또 다른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묻어 전파하는데,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에게 조상의 땅을 떠나는 일은 그들을 긴밀하게 결합해주는 전통과 정체성을 잃게 만들어 결국 ‘조국’까지 상실케 하는 반면, 땅을 지키는 일은 정체성의 보존과 ‘조국’의 수호를 위한 보증이라는 것이 곧 그것이다. 이를테면 가톨릭과 프랑스어를 중심으로 한 프랑스계 캐나다인들 공동체의 집단적인 안위와 운명, 그리고 정체성의 보존을 담보해 주는 것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땅을 떠나지 않고 경작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땅에 대한 자신의 이데올로기를 전파하는 데 큰 성공을 거둔다. “거의 백 년 동안 퀘벡 민족을 지배하게 될 최초의 문학적 선언”이라는 이 작품에 대한 평가가 그 사실의 당위성을 뒷받침해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이데올로기는 아주 소극적이며 보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이데올로기는, 탈종교화를 제시하며 “보다 더 자유주의적이고 진보적인 정치 세력이 등장”하여 퀘벡의 정체성을 추구하기 시작한 ‘조용한 혁명기’에 이르기까지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의 정체성 유지 및 보존에 크게 기여한 것만은 사실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ideology of Patrice Lacombe on the ancestor’s lands, based on his La terre paternelle(1846), the first novel of a genre called ‘peasant novel’ in Quebec literature. It is that the to one who leaves his ancerstor’s lands is promised the poverty and misery, while to another one who remains to cultivate it is promised the felicity. But besides this ideology the author sends out an another ideology: to the French Canadians who leave their ancestor’s lands makes them deprived of their tradition and identity which unite them, finally deprived of even their ‘fatherland’; on the other hand to protect them in remaining there is the guarantee of the conservation of their identity and the protection of their fatherland. It is to say, ensuring the conservation of the collective security, the common destiny and the identity of the French canadians community is to remain to cultivate the lands inherited from their ancestors. The author succeed in ending out his ideology on the lands; his ideology continues in influencing on the conservation of their identity and the protection of their fatherland, up to the ‘tranquil revolution’ in Quebec in the 1960’s.

      • KCI등재

        피케티의 통계수치에 기초한 라스티냐크의 출세주의에 관한 한 연구

        김중현 ( Joong Hyun Kim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4 No.-

        『고리오 영감(Le pere Goriot)』의 라스티냐크(Eugene Rastignac)는 앙굴렘에서 파리에처음 올라왔을 때에는 선량함과 고결함, 그리고 순수함을 잃지 않은 21살의 법대생이었다. 자신이 방문한 파리의 화려하고 웅장한 저택에서 사치의 냄새를 맡은 그는, 그가 경험한파리의 그 사치와 자신이 처한 궁핍한 가족적 현실, 그리고 현재 살고 있는 하숙집의 비참한 광경의 비교를 통해 양심과 이성의 이완을 경험한다. 그 이완은 그에게 많은 사악한 생각들을 불러일으켰고, 마침내 그는 보트랭(Vautrin)의 사회 현실에 대한 설교에 동의하여 출세가 이 세상의 최후의 논거(reason)임을 깨닫는다. 파리에 처음 도착했을 때에는 오직 자신의 노력과 재능에만 의지하려 했던 라스티냐크는 급기야 출세를 위해 법학 공부보다는 사교계를 발판 삼아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기로 마음먹는다. 그러면 라스티냐크가 공부보다는 사교계의 총아가 되는, 보다 신속한 출세 길을 택하려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를테면 야망을 가진 시골 출신의 이 청년은 왜 개인적인 노력의 대가로서의 출세보다는 파리의 상류 사교계에서 유력한 부인을 정복함으로써 찬란한 운명을 개척하려 결심하는가? 본 논문은 『고리오 영감』이 출판(1835)될 무렵의 사회에 대한 경제적 연구를 상당 부분담고 있는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Thomas Piketty)의 불평등에 관한 저서 『21세기 자본(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에 제시된 통계 수치들에 기초하여 이 물음에 대한답변을 시도한다. 먼저 결론을 간단히 말하면, 소득의 불평등 구조를 가진 당시 프랑스 사회에서 부유한집안 여인과 결혼하여 얻게 될 상속재산이 개인의 재능과 노력의 대가로서 얻게 될 노동소득보다 훨씬 커서 안락함을 누릴 수 있는 가능성이 더 높았기 때문이다. When he got first to Paris from Angouleme, Eugene Rastignac, the protagonist of Balzac’s Le pere Goriot was a 21-year-old student at a law school, still with his goodness, nobility, and ingenuity. Breathing in the luxurious air of Parisian palatial and splendid residences in sharp contrast to the needy reality of his family and his miserable boarding house in Paris, he undergoes a loosening of conscience and reason. This loosening infuses lots of evil thoughts into him, which comes to lead him, in agreement with Vautrin``s preaches about reality of society, to realize that success is ultima ratio mundi (the ultimate reason of this world). Rastignac, who believed only in his own efforts and merit at first, now makes his mind to improve his lot by way of the rise in high society, rather than the study of law. Then what is the reason Rastignac chooses a short cut to success by way of becoming a young lion in Paris society, rather than personal industrious efforts? In other words, why does this kind of aspiring young man decide to rise in the world, through conquering an influential Madam in the high society of Paris rather than through working hard in person? This article attempts to answer this question, in the basis of the economic statistical figures provided in the French economist Thomas Piketty``s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 In spite of its title, this economic research sheds light, in a large part, on the society in which Le pere Goriot (1835) was published and consumed.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