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Thiopental 및 Ketamine 에 의한 흰쥐 뇌파의 스펙트럼 분석

        김중영,이만기,조석태 대한마취과학회 1992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25 No.4

        흰주 뇌파를 기록하여 thiopental 및 ketamine 투여시에 뇌파의 특징을 용량과 관련시켜 연구하였다. 쥐에게 thiopental 및 ketamine을 0-8 ㎍/min/g 속도로 투여하였다. 쥐의 머리 피부에 stainless stell 전극을 꽂아 뇌파를 기록하고 스펙트럼 분석을 시행하여 각 투여량에서 뇌파의 스펙트럼을 구하였다. 또한, 이 스펙트럼으로 부터 각 밴드별(delta 1~3.25Hz, theta 3.5~7.75, alpha 8~12.75, beta1 13~17.75, beta 2 18~20.75, and beta 3 21~31.75Hz)밀도 및 total 밀도를 계산하였다. 현행의 방법으로 기록된 뇌파기록상에서 thiopental 용량 증가에 따라 처음에는 진폭이 큰 방추파가 나타났고 3㎍/min/g 이상 주입시 뇌파가 거의 없는 기간이 지속되었으며 간혹 방추파가 나타났다. ketamine 주입시 처음에는 진폭이 큰 느린파에 따른 파들이 중첩되어 나타났고 양을 증가 시킬때 극파 활동이 증가되었다. Ketamine 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스펙트럼의 양상이 두가지 형태로 구별되었다. 한가지 형태는 스펙트럼에서 전 주파수 밴드에서 밀도가 균일하게 상승하는 것(제 1형)이고, 다른 하나는 특정 주파수대의 밀도가 현저하게 상승하는 경우(제 2형)이다. 제 1형에 해당되는 휜주의 뇌파는 불규칙적인 극파 발생을 보이며 제 2형에 해당되는 뇌파는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극파의 특징을 보였다. 각 밴드별 밀도는 thiopental 주입량이 1~2㎍/min/g로 주입시 모든 밴드의 밀도가 최고를 나타냈고 그 이상으로 양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4~5㎍/min/g 주입시에 밀도가 거의 줄어졌다. 반면 ketamine 주입시에 용량-의존적으로 전기적 활동성이 증가하였다. 이상과 같이 스펙트럼 분석을 이용하여 유도한 밴드의 밀도를 관찰하므로써 thiopental 및 ketamine와 같은 정맥마취약의 효과의 정도를 판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또한 두가지 정맥마취약의 서로 다른 작용기전의 차이도 반영할 수 있다고 본다. Th dose-related effects of intravenous infusion of thiopental and ketamine on the rat EEG were evaluated quantitatively by spectrum analysis of EEG recorded from the rat scalp. The anesthetics were infused into jugular vein at various rates ranging from 0 to 8 ㎍/min/g body weight, and then bipolar EEG was recorded from the rat scalp and its spectrum were calculated by power spectrum analysis. The density of each bands(delta 1-3.25, theta 3.5-7.75, alpha 8-12.25, beta 1 13-17.75, beta 2 18-20.75, and beta 3 21-31.75 Hz) and total density were derived from the spectrums. In visual inspection of conventional EEG, low doses of thiopental increased the amplitudes of spindles, but higher doses decreased the amplitube gradually to electrical silence with increase of infusion rates. During infusion of higher doses of ketamine, two types of EEG were identified by the spectral patterns: The one was the cases in which increases of the power density over all frequency ranges were observed, and the other was those in which marked increases of density in specific frequency were observed. In thiopental infusion, the densities of all bands were increased to peak at 1~2 ㎍/min/g and thereafter were decreased with higher rates of infusion. In ketamine infusion, the densities were increased when the infusion rate was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by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band densities derived from spectrum analysis of EEG, not only the effect on EEG of thiopental or ketamine can be quantified but also their differences of mechanisms of action on brain be reflected.

      • Metabolic Inhibitor에 依하여 惹起되는 心筋收縮抑制作用에 미치는 數種生藥의 影響

        金重暎,李秀淵,徐大圭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4 慶北醫大誌 Vol.15 No.1

        地黃, 遠志根, 茯笭水浸液이 랫드 摘出心房收縮에 미치는 作用을 究明하고 이들 生藥이 解糖作用抑制劑의 一種인 2-deoxy glucose 또는 sodium iodoacetate에 依하여 惹起되는 negative inotropic action에 미치는 影響을 觀察한 實驗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地黃水浸液은 10^-3濃度에서도 心筋收縮에 큰 影響을 주지 아니하였다. 2. 茯笭 및 遠志根水浸液은 10^-5 및 10^-4濃度에서는 心筋收縮에 큰 變化를 招來하지 못하였으나 10^-3濃度에서는 心筋의 收縮力을 顯著히 增加시키는 것같다. 3. 2-Deoxy glucose (20mM) 및 sodium iodoacetate(0.2mM)에 依한 抑制된 心筋의 收縮力은 茯笭 및 遠志根 水浸液의 添加로서 顯著히 恢復되었다. Intropic actions of crude water-extract of Rehmanniae-, Polygalae radix, and Holen were studied on the electrically driven atria of rat. 1. There were no significant inotropic action of Rehmanniae extract on isolated atria. 2. Extract of polygalae radix and hoelen showed positive inotropic actions in both normal and depressed isolated atria with concentrations of higher than 10^-3. 2-Deoxy glucose-and sodium iodoacetate-induced negative inotropic effect were restored completely by crude extract of polygalae radix and hoelen.

      • 人蔘이 Cardioactive Drug의 作用에 미치는 影響

        金重暎,金鍾石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9 慶北醫大誌 Vol.20 No.1

        렛드의 적출심방수축과 가토의 혈압 및 호흡에 미치는 인삼의 작용을 비교하고 digoxine, isoprenaline 또는 epinephrine과 calcium chloride에 의하여 야기되는 적출심방수축과 혈압 및 호흡변화에 미치는 인삼의 효과를 비교관찰하여 그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전기자극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실험성적은 1)인삼엑기스 6×10 exp (-4)gm/ml농도에서 경미한 적출심방수축고 (이하수축고라약함)의 증가와 적출심방수축율(이하수축율이라약함)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2)전기자극에 (180pulses/min, 2msec)의한 수축고의 증가는 인삼엑기스존재하에서 더현저하였다. 3)인삼엑기스(6×10 exp (-4)gm/ml)존재하에서 digoxin (10 exp (-6)gm/ml). isoproterenol (2×10 exp (-5)gm/ml) 및 calcium chloride. (1.4×10 exp (-6)gm/ml)에 의하여 야기되는 수축고의 증가에는 영향을 거의 주지아니하나, calcium chloride에 경미한 수축율감소는 더욱 증강되나, digoxin에 의한 수축율감소는 크게증강되지 아니하고 isoproterenol에 의한 수축율의 증가는 현저히 억제되었다. 나) 1%, 5% 및 10%의 인삼배합사료로 사육한 적출심방을 전기자극하(180puls/min)에서 관찰한 성적은 1) isoprotrenal첨가로서 야기되는 수축고의 증가에는 영향을 주지 아니하나 digoxin 및 calcium chloride에 의한 수축고 증가가 인삼사육군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2) 여양액중의 calcium chloride의 농도 저하로 야기되는 수축고감소는 인삼사육군에서 억제 되었다. 다) Digoxin (0.5mg/kg), epinephrine (3㎍/kg) calcium chloride (150mg/kg) 정맥주사에 의하여 야기되는 혈압 및 호흡변화에 미치는 인삼엑기스의 작용을 관찰한 실험성적은 1)인삼엑기스(100mg/kg, 400mg/kg, 또는 800mg/kg)을 투여할때 초기에 혈압하강이 일어나 점차로 회복되는 경향이나 대량에서는 완전히 회복되지 아니하였고 소량(100mg/kg)에서는 심박동수가 증가되어지나, 대량(400mg/kg 또는 800mg/kg)에서 심박동수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호흡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은것 같다. 2) Digoxin주사로서 야기되는 경미한 혈압상승과 현저한 심박동수의 감소는 인삼엑기스 400mg/kg 또는 800mg/kg를 정맥주사한 후에는 혈압상승이 더욱 현저하여지는 것 같으나 심박동수는 400mg/kg를 주사한후에는 증가된듯하며 800mg/kg을 주사한 후에는 더욱 감소되는 것 같다. 라) Digoxin(2.5mg/kg)을 마우스의 복강주사로 사망하는 율은 인삼을 투여한군에서 많은것 같다. 『본실험 및 논문정리를 도와준 약리학 교실원 손동열군과 김혜영양에게 진심으로 감사하는 바이다. Changes of isolated atrial contractility, arterial blood pressures, and respiration induced by digoxin, isoprenaline, epinephrine and calcium chloride were observed in the presence of Panax Ginseng or not on rats and rabbi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Under no electrical stimul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ginseng extract (7×10 exp (-4)gm/ml) produced a little positive inotropic action and a marked negative chronotropic action, that an increase in contractility caused by electrical stimulation (180 pulses/min, 2msec.) was more marked in the presence ginseng extract than in the absence of it, and that positive inotropic action induced by digoxin (10 exp (-6)gm/ml), isoprenaline (2×10 exp (-5)gm/ml)and calcium chloride(1.4×10 exp (-5)gm/ml) were little affected by ginseng extract, but a little negative chronotropic action induced by calcium chloride and a marked negative chronotropic action induced by dogoxine were tended to promote and positive chronotropic action induced by isoprenaline were significantly depressed. Under electical stimulation on the atria of rats feeded with ginseng powder (1%, 5%, and 10%) for 2 month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inotropic action indueed by isoprenaline were not affected by feeding ginseng but induced by digoxin and calcium chloride were more enhanced in atria of rat feeded with ginseng than without ginseng, and that negative inotropic action induced by lowering calcium chloride from 2.44mM to 1.22mM were protected to atria of rat feeded with ginseng. Effects of ginseng extract on aterial blood pressure and repiratory frequency of rabbits showed that 100mg/kg and 400mg/kg of ginseng extract produced transient hypotension, 800mg/kg, more sustained hypotension but tend to normotensive state. Ginseng extract injection produced a rapid heart rate (100mg/kg) and a slow heart rate (400mg/kg and 800mg/kg). Respiration were little affected by ginseng extract injection, and that after pretreatment with ginseng extract injection (400mg/kg and 800mg/kg) a mild hypertension induced by digoxin injection was more enhanced but after pretreantment with ginseng extract (800mg/kg) digoxin-induced bradycardia tended to more severe bradycardia and with 40mg/kg of ginseng extract bradycardia turned to a mild tachycardia. Lethality caused by digoxin(2.5mg/kg, ip, for 3days) tended to increase in ginseng-feeded mice(0.2, 1.0, and 2.0 gm/kg of ginseng powder, po, for 6 days). These results suggest under remaining further studies that a hidden action of panax Ginseng might be cautious of administration with cardioactive drug, especially digoxin.

      • pH低下에 依한 Negative inotropic action에 미치는 Glucose 및 CaCl_2의 影響

        金重暎,李聲鎭,徐大圭,金吉喆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2 慶北醫大誌 Vol.13 No.2

        In recent years, it has been believed that the DNA synthetic time (S-phase) is between 7 and 9 hours, however, the reports on this subject were vastly variable and also variable on G_2-phase (postsynthetic time) We presumed that S-phase would not be constant but S+G_2 phase would be constant. And we estimated the percent of labeled mitosis with one day postnatal chick stomach, and calculated as followings: 1. The S-phase was 4.5 hours, G_2-phase was 8.8 hours. 2. Minimum S-phase was 3 hours. 3. The total generation time was 19.5 hours and similar with the other reports, and the second curve was irregular, so it was computed by means of a formula using the labeling index and S-phas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re were some relations between shortened S-phase and prolonged G_2-phase, and S+G_2phase were constant, however, it is needed more consideration and further study.

      • KCI등재

        병적 도벽 환자에 대한 내재적 민감화 기법 적용 사례

        김중영,강남인,양종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5 신경정신의학 Vol.54 No.1

        Kleptomania is a well-known impulse-control disorder. Although it is a rare disease, it exerts a greater influence on the social and economic. There are a variety of treatments for kleptomania, however case reports of its specific treatment techniques are extremely rare. In this case, covert sensitization was applied to a 44-year-old hospitalized patient with kleptomania, which can facilitate a specific treatment method through case presentation.

      • SCOPUSKCI등재

        흰쥐 뇌파의 스펙트럼 분석에 의한 Enflurane 마취 효과의 평가

        김중영,김병권,백운이,이만기 대한마취과학회 1992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25 No.4

        흰쥐 뇌파의 특성을 관찰하므로써 enflurane 마취의 깊이를 평가할 수 있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흰주의 머리 피부에 stainless steel 전극을 꽂아 뇌파를 기록하고 스펙트럼 분석을 시행하여 1, 2, 3, 4%의 enflurane에 의한 마취상태에서의 스펙트럼을 얻었다. 또한, 이 스펙트럼으로 부터 각 밴드별(delta 1-3.25 Hz, theta 3.5-7.75 Hz, alpha 8-12.75 Hz, beta1 13-17.75 Hz, beta2 18-20.75 Hz, 및 beta3 21-31.75 Hz) 및 총 밀도, MPF를 계산하였다. 이상의 8개 변수에 대한 판별 분석을 하였을때 enflurane 0%와 1% 흡입시뇌파 양상 간에 구별이 가장 잘 되고(F=10.732, p-0.0002), 1%와 2%군간에 구별이 가장 어려웠다(F=1.5451, p-0.2341). 이 결과는 마취의 깊이에 따른 뇌파의 특정한 양상을 스펙트럼 분석으로 부터 유도된 뇌파 변수를 판별분석함으로써 나타낼 수 있으므로 enflurane 마취의 깊이를 예측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o evaluate the depth of enflurane anesthesia, spectrum analysis of rat EEG was used. Bipolar EEG was recorded through one lead form rat scalp during inhalation with 1, 2, 3 and 4% of enflurane, and analysed to prduce the spectrum from which the density of each band(delta 1-3.25 Hz, theta 3.5-7.75 Hz, alpha 8-12.75 Hz, beta1 13-17.75 Hz, beta2 18-20.75 Hz, and beta3 21-31.75 Hz) and total density, and median power frequency were calculated. Differences among the EEG patterns, which were represented by F values through discriminant analysis of those 8 variables, in each level of anesthesia were significant among all concentrations except between 1% and 2% enflurane administr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iscriminant analysis for the EEG parameters derived from power spectrum analysis can apply to determine the level of enflurane anesthe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