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접성과 사용자 밀집도 정보 기반 D2D 광고 확산 알고리즘

        김준선,이호원,Kim, JunSeon,Lee, How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10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들의 인접성(Proximity)과 밀집도(Density) 정보를 기반으로 D2D 광고 확산 목표 지역을 설정하고, 이 지역들을 대상으로 광고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D2D 광고 확산 알고리즘에서 특정 지역으로 광고 전송이 편중되고 광고 범위 중첩되는 광고 효율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광고 확산 알고리즘은 광고 확산을 위해 설정된 목표지역을 기반으로 광고 확산 경로를 점차적 설정하여 확장해 나감으로써 D2D 광고 확산 효율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제안 방안의 D2D 광고 확산 범위에 대해서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다양한 사용자 밀집도 환경에 대한 기존 방안과 제안 방안의 성능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We designate multiple target areas for the advertisement disseminations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advertisement transmission efficiency degradation due to overlapped device-to-device (D2D) transmissions and unnecessary advertisement transmissions. We here propose an efficient advertisement dissemination algorithm based on pre-selected target areas considering user density. In our proposed algorithm, relay nodes are gradu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locations of the target areas. We mathematically analyze D2D advertisement coverages of our proposed algorithm, and compare the various simulation results of the proposed algorithm with those of the conventional algorithm according to the several simulation scenarios via intensive simulations.

      • KCI등재

        D2D 광고 확산을 위한 최대거리 기반 알고리즘과 최대효율 기반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김준선,이호원,Kim, Junseon,Lee, How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9 No.2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들의 밀집도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목표지역과 릴레이 단말의 수를 제한한 환경에서 광고 확산을 위한 최대 거리 기반 릴레이 단말 선택 알고리즘과 최대 효율 기반 릴레이 단말 선택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최대 거리 기반 릴레이 단말 선택 알고리즘은 단말간의 거리 정보만을 이용하여 릴레이 단말을 선택하고, 최대 효율 기반 릴레이 단말 선택 알고리즘은 설정된 목표지역들을 활용하여 최대 광고 효율을 위한 광고 확산 루트를 설정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광고를 섹터 수의 변화에 따른 성공적으로 수신한 전체 사용자 수와 전송 효율에 대한 성능을 비교하여, 최대 거리 기반 릴레이 단말 선택 알고리즘 보다 최대 효율 기반 릴레이 단말 선택 알고리즘 성능의 우수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In this paper,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D2D advertisement dissemination algorithms with maximum-distance and transmission-efficiency based relay selections with respect to the total number of successfully received users and transmission efficiency. To assume more practical environment, we took into account pre-defined target-areas based on the information of user density and the limit for the maximum number of relay users. Through the simulations we compared the performance results of both D2D advertisement dissemination algorithms with maximum-distance and transmission-efficiency based relay selections according to increment of the number of sectors. And then, we analysed the superiority of algorithm with transmission-efficiency based relay selections more than maximum-distance based relay selections.

      • KCI등재
      •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금계 도상 연구

        김준선(Kim, Junseon)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22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10 No.-

        금계(錦鷄)는 별치(鷩雉)라 불리는 붉은 닭목 꿩과의 조류이다. 수컷 금계는 오색 빛깔의 화려한 깃털로 인해 예로부터 중국에서 문(文)·무(武)·용(勇)인(仁)·신(信)의 오덕(五德)을 갖춘 새로 찬양됐으며, 예로부터 화재를 예방하고 재앙을 방지하는 벽사용과 화려한 자태 덕에 관상용은 물론 수출용, 약용 등의 목적으로 쓰였다. 본 논문에서는 닭 내지 꿩과 혼용되는 ‘錦鷄’가 별개의 조류임을 기반으로, 이를 조선시대 서화를 중심으로 논하는 것이 목적이다. 조선시대 문헌에서 ‘금계’는 ‘쇠 금’자를 쓴 ‘金鷄’와 ‘비단 금’자를 쓴 ‘錦鷄’로 구분된다. ‘金鷄’는 길일을 의미하는 택일(擇日)과 사면령을 뜻하는 계간(鷄竿), 그리고 시구(詩句)의 일부분으로 쓰였다. 또한 ‘金鷄’라 기록하지 않았으나 계간의 의미로, ‘守朝鳴吠’라 쓴 예가 일부 있다. 반면 ‘비단 금’자를 쓴 ‘錦鷄’ 관련 편년서는 전하지 않으나 다양한 문집류에서 그 기록을 찾을 수 있다. ‘金鷄’는 문집에서도 택일·계간·시구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이밖에도 지형·지명·약재의 의미로 쓰였다. 반면 ‘錦鷄’의 가장 주된 기록은 머리말에서 살펴본 정의와 같이 조류로서의 의미와, 중국의 관복(官服)을 설명하는 금계보복(錦鷄補服)으로 쓰였다. 또한 ‘錦雞’와 관련해 중국의 그림들도 언급되며, 병풍 관련 문헌 기록은 ‘金鷄’와 ‘錦鷄’ 모두 한 건씩 전한다. ‘錦鷄’의 도상이 명확히 확인되는 조선시대 회화로는 허주 이징(李澄, 1581-?)의 《산수화조도첩(山水花鳥圖帖)》(보물 제1985호, 간송미술관 소장)과 傳 이징의 《영모첩(毛畫帖)》(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傳 죽림수 이영윤(李英胤, 1561-1611)의 <화조도(花鳥圖)> 8폭 병풍(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긍재 김득신(金得臣, 1754-1822)의 <금계도(錦鷄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정도가 있다. 조선 내 이징과 이영윤의 화풍은 동시기 같은 신분의 종친화가 이건(李健, 1614-1662)과 이함(李涵, 1633-?) 등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유사한 그림이 여러 점 전한다. 그러나 이징과 이영윤의 전칭작처럼 조선시대 회화 내 ‘錦鷄’ 도상이 전하는 예가 많지 않다. 첩 혹은 병풍 내 일부분으로서 ‘錦鷄’의 모습이 확인되며, 이른 시기 북송대 휘종(徽宗, 1082-1135)의 <부용금계도(芙蓉錦鷄圖)>(북경고궁박물원 소장)부터 동시대 임량(林良, 생몰년 미상)과 여기(呂紀, 1477-?)의 화조화까지 중국화풍의 영향을 여실히 드러냈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앞서 살펴본 김득신의 그림 외에는 ‘錦鷄’의 비중은 줄어들고 ‘金鷄’ 도상이 늘어났으며, 그 연유에 대해서 전하는 기록이 없으나 조선 통신사행(通信使行)을 통해 유입된 일본의 증조(贈朝)병풍과 에도시대 박물학(博物學) 연구의 유행이라는 관점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 가운데 조선 후기 ‘黃鷄’를 담은 <금계도> 병풍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현전하는 작품으로는 Ⅱ장에서 언급한 삼성미술관 소장 <금계도> 8폭 병풍(이하 ‘리움 소장본’으로 칭함)과 프랑스 파리 국립기메동양박물관(Musee National des Arts Asiatiques-Guimet) 소장 <금계도> 8폭 병풍(이하 ‘기메 소장본’으로 칭함)이 전하며, 단 폭으로는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금계도>(이하 ‘온양 소장본’으로 칭함)가 있다. 이 병풍들과 도상적, 기법적으로 유사한 회화는 가노파 화가들의 작품에서 찾을 수 있으며, 조류의 형태는 가노파 외에 에도시대 화가 이토 자쿠추(伊藤若冲, 1716-1800)의 도상에서 영향관계를 살필 수 있다. 조선 말기에 이르면 ‘金鷄’는 다른 궁중회화와 마찬가지로 민화의 소재로 쓰이기 시작했다. 그러나 금빛 깃털의 묘사가 점차 사라지고 일반적인 닭의 형태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기존에 ‘金鷄’와 ‘錦鷄’를 같은 종으로 인식하고 용어를 혼용해 사용한 부분은 재고되어야 한다. 1891년 수원화성 관련 기록인 『화영중기』에서의 기록을 기반으로 ‘金鷄圖’는 ‘黃鷄圖’로 정리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또한 기록을 통해 김홍도에게 병풍 제작을 지시한 정조나 당대 연행을 다녀온 문인들은 이미 실견을 통해 ‘金鷄’와 ‘錦鷄’의 차이를 인지했을 것으로 보이며, 중국의 여러 명화들을 바탕에 둔 채 ‘黃鷄’라는 도상을 선택적으로 차용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Golden Pheasant is a bird of the red chicken neck pheasant family called Byeolchi. The male Golden Pheasant has long been praised in China for its colorful feathers, and has been used for ornamental purposes as well as export and medicinal purposes since ancient times due to the use of walls to prevent fires and prevent disasters.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e discussion is to focus on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fact that Golden Pheasant separated from chickens or pheasants. In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Geumgye is divided into Geumgye with the letter gold and Geumgye with the letter silk. Geumgye with the letter gold was used as part of choosing an auspicious day, meaning a lucky day, poetry, and so on. On the other hand, the main record of Geumgye with the letter silk was based on Golden Pheasant. In addition, Chinese paintings are mentioned in relation to Golden Pheasant. There are not many examples in which the icon of Golden Pheasant is clearly confirmed in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As a part of the concubine or folding screen, the appearance of Golden Pheasant was confirmed, and the influence of Chinese painting style from Emperor Huizong to Ming Dynasty artists is clearly reveal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roportion of Golden Pheasant decreased and the number of chicken paintings increased, and folding screens containing a yellow chicken began to appear. Paintings similar to these folding screens can be found in the works of the Japanese Kano School, and the form of birds can be examined in the painting of the Edo Period painter Ito Jakuchu. By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 yellow chicken began to be used as a material for folk paintings like other court paintings.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golden feathers gradually disappeared and became a common chicken form. In this trend, the part where a yellow chicken and Golden Pheasant were previously recognized as the same species and used interchangeably should be reconsidered. In addition, the records suggest that King Jeongjo or writers who had been arrested at the time, may have already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a yellow chicken and Golden Pheasant through mistakes. Based on various famous Chinese painting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selectively borrowing the icon of Golden Pheasant.

      • KCI등재

        최대 전송횟수 제한 및 사용자 밀집도 변화에 따른 사용자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별 D2D 광고 확산 성능 분석

        한세호,김준선,이호원,Han, Seho,Kim, Junseon,Lee, How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논문에서는 기존 알고리즘에서의 특정 D2D 사용자 분포에 대한 광고확산 효율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2D 통신 네트워크에서 광고확산 효율을 개선하는 광고확산 알고리즘 기반의 Modified Single Linkage, K-means, 그리고 Gaussian mixture model을 적용한 Expectation Maximization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의 적용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들을 통해 광고 확산을 위한 목표지역들이 목표그룹으로 클러스터링되고 이를 통해 D2D 전송 단말과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광고 확산 경로 설정 알고리즘과 릴레이 단말 설정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광고가 연속적으로 전파된다. 본 논문에서는 MATLAB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알고리즘의 최대 D2D 릴레이 제한 수와 목표지역과 비목표지역의 사용자 밀집도의 비에 따른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In this paper,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reduction for D2D (device to device) advertisement dissemination efficiency of conventional dissemination algorithms, we here propose several clustering algorithms (modified single linkage algorithm (MSL), K-means algorithm, and expectation maximization algorithm with Gaussian mixture model (EM)) based advertisement dissemination algorithms to improve advertisement dissemination efficiency in D2D communication networks. Target areas are clustered in several target groups by the proposed clustering algorithms. Then, D2D advertisements are consecutively distributed by using a routing algorithm based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target areas and a relay selection algorithm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D2D sender and D2D receiver. Via intensive MATLAB simulations, we analyze the performance excellency of the proposed algorithms with respect to maximum number of relay transmissions and D2D user density ratio in a target area and a non-target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