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복의 관심증대와 현대화를 위한 한복 전시디자인 표현 -작품 "한국의 옷, 마그리트의 시선에서" 중심으로-

        김주희(주저자) ( Ju Hee Kim ),오민희(주저자) ( Min Hee Oh ),장효실(주저자) ( Hyo Sil Jang ),허수형(주저자) ( Soo Hyung Heo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한복에 대한 한국인들 및 외국인들의 고정된 인식을 탈피시키고 새로운 관점에서 한국 고유의 전통 의상인 한복에 대해 직접 체험해보는 한복전시기획 및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향후 한복과 관련된 공간연출 및 공간전시디자인에 기초자료로서 활용가치가 있다. 연구 대상과 범위는 2015년 9월~12월까지 진행된S여대 환경디자인학과 전시디스플레이디자인교과목으로 미술사와 철학을 융합한 ‘미학 오딧세이’중 초현실주의 예술가 르네 마그리트의 예술적 시점들을 한복기획전시와 코딩하여 철학, 예술이 융합된 전시디자인을 정리한다. 연구 방법은 첫째, 한복 착용 및 구매실태에 대한선행연구, 전시유형별 선호도경향, 전시공간에서의 연출기법 및 오브제 요소에 관해 고찰한다. 둘째, 한복전시 디자인 개요(의복전시동향, 사이트설정, 전시개요)에 대해 분석한다. 셋째, 한복 전시 디자인 전략(코딩다이어어그램, 디자인컨셉, 전시공간구성, 색채 및 재료, 슈퍼그래픽 계획, 전시스토리텔링)을 분석한다. 넷째, 한복 체험을 위한 한복 전시 디자인 표현(로고, 포스터, 어플리케이션, 영상)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scover the Hanbok exhibition plan and display design process for the first-hand experience on Korean traditional clothes from new viewpoint and get rid of the stereotype of the clothes among Koreans and foreigners. In addition, the study is meaningful as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space direction and space exhibition design regarding thehanbok in the future. The research subject and scope cover the subject of the exhibition display design in the Environment and Design Department of S University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5, code the artistic viewpoint of surrealist, Rene Magritte in ``Aesthetics Odyssey`` combining the art history and philosophy with the hanbok exhibition and summarize the exhibition design with the philosophy and arts. To this end,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direction technique and objet elements like the prior study on wearing hanbok and purchase, preference trend in the exhibition types and exhibition space.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design concept of the hanbok exhibition (clothes exhibition trend, site configuration, exhibition overview). Third, the study analyzed the hanbok exhibition design strategy (coding diagram, design concept, exhibition space configuration, color and material, super graphic plan, exhibition storytelling). Fourth, the study proposed the hanbok exhibition design for the hanbok experience (logo, poster, application, video).

      • 도심 속 가설 주차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 모듈 형태의 운동,놀이,휴식의 공간 디자인 -가설 구조물의 보와 기둥의 Grid를 활용한 공간 디자인-

        김주희(주저자) ( Ju Hee Kim ),맹지수(주저자) ( Ji Soo Maeng ),윤희수(주저자) ( Hee Su Yoon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도심 속에서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못하는 가설 실외 주차장 건물을 이용하여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고 본래의 이용과 새로운 효율적인 이용방법 및 본래의 가설 구조물의 Grid를 이용한 디자인 적용을 통해서 갑갑한 일상에 지친 도시민들이 원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H자 철골 구조물들로 이루어진 가설 구조물에서 얻어온 건물의 Grid를 공간 디자인에 고안하여, 업무와 획일적인 도시민의 신체활동과 휴식에 대한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공간 설계가 이루어졌다. Grid와 철제 구조물, 컨테이너 형의 박스디자인의 각 공간은 이용객들의 신체 움직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모듈로 만들어지고 조합되어 여러 부분에 적용되고 큰 디자인이 형성되었다. 3층의 가설 실외 주차 건물은 크게 휴식과 카페테리아의 1층 공간과 기존의 주차 공간 및 간단한 신체움직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물들을 설치한 2층과 정적인 움직임과 좀 더 active하고 활동적인 움직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컨테이너 박스들이 조합된 구조물이 있는 3층으로 나누어 볼 수 있겠다. 이러한 디자인 프로세스들은 시각적인 과정과 결과물들을 통해 보여진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new space, which is making use of temporary outdoor parking structure which is not efficiently used, and to identify the designing process of a space for urban residents to refresh themselves from the stress and pressure of everyday lives, by applying a design which utilizes the original purpose and a new and more efficient purpose as well as the existing grids of the temporary structure. By applying the grids which originate from the temporary installations with T-shaped steel structure to the space design, it can satisfy the needs of urban citizens to do physical exercises and take a rest from their monotonous daily works. The space of each module consists of grids, steel structures, and container-shaped boxes, and is designed to encourage users to exercise their bodies. Various modules are combined with different combinations to create large-scale designs. The three-story temporary structure has a cafeteria on the first floor, parking space and structures designed to encourage uses to exercise their bodies on the second floor, and installations made up with container boxes designed to assist people to do more active and physical activities on the third floor. Such design processes can be seen through visualization process and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