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려인삼이 흰쥐의 몸 무게에 미치는 영향

        김주영,Kim, Joo-Yung 대한생리학회 1970 대한생리학회지 Vol.4 No.2

        A study was planned to see if the Panax Ginseng has any influence upon the body weight of young rats. Thirty-two male an4 an equal number of female rats were used, whose body weight at the experiment ranged from 35 to 40 gm. The male as well as the female rats were divided into the ginseng and the saline groups of 16 rats each. For 54 consecutive days animals belonging to ginseng and the saline groups received every day 0.5 ml Per 100gm body weight of ginseng extract and an equal amount of saline, respectively, and had eir body weight measured every 3rd day. The ginseng extract was prepared by seething 300 gm of Korean Panax Ginseng with 95% ethyl alcohol on a boiling water bath for about 300 hr and dissolving 4 mg of the yield (52.2gm of dark brown substance) in 1 ml of salin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For about 30 days from the beginning of drug administration, the body weight of both the male and female rats belonging to the ginseng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at of the saline groups. 2. From around the 30th experimental day (body weight: about 130 gm) on, however, both the male and female rats receiving ginseng gained in body weight significantly more than the saline-group animals of both sexes did. 3. In the latter period, male rats of the ginseng as well as the saline groups, but especially the ginseng male animals, picked up significantly more weight compared with the female rats. It is conclude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in rats the ginseng helps gain in body weight regardless of sex. 인삼주정추출물이 흰쥐의 몸 무게 증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기 위하여 각각 32마리의 흰쥐$(35{\sim}40gm)$ 수컷과 암컷을 다시 인삼군과 식염수군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인삼군에서는 몸 무게 100mg에 대하여 인삼주정추출액(생리적 식염수 1ml속에 4mg의 인삼주정추출물이 포함된 용액)을 0.5ml의 비율로 매일 등뒤 피하에 54일 동안 주사하였으며, 식염수군에는 생리적 식염수를 몸 무게 100gm에 대하여 0.5ml의 비율로 인삼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주사하였다. 주사가 시작된 날로부터 3일 간격으로 54일 동안 몸 무게를 비교적 정확한 저울로 달았다. 이를 측정치를 지표로 하여 인삼이 몸 무게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삼 투여 후 30일 까지는 성별에 관계 없이 인삼이 몸 무게 증가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인삼 투여 30일 이후 부터는 성별에 관계없이 인삼이 흰쥐의 몸 무게를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3) 실험시작 30일 이후의 인삼군 수컷의 몸 무게는 인삼군 암컷의 그것 보다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위의 결과들로 미루어 인삼은 흰쥐의 몸 무게를 증가시키는데 촉진적 영향을 미친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상피성 암세포주에 대한 녹차 Catechin의 효과

        박정현(Jeong Hyun Park),김대중(Dae Joong Kim),한장희(Jang Hee Hahn),김홍태(Hong Tae Kim),정용욱(Yong Wook Jung),성훈기(Hoon Ki Sung),김주영(Joo Young Kim),송인환(In Hwan Song),성언기(Eon Gi Sung),이융창(Yung Chang Lee) 대한해부학회 2001 Anatomy & Cell Biology Vol.34 No.5

        Catechin은 녹차에서 추출되는 폴리페놀의 주요성분으로 고혈압 및 동맥경화의 예방효과, 당뇨억제효과,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등에 직접 관여하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태평양에서 제공받은 녹차 catechin을 이용하여 상피성 암세포주인 A549 (폐암)와 EATC (복수암)세포에 투여한 후 처리농도와 시간에 따른 변화를 비교, 관찰함으로써 녹차의 효과와 작용기전을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었다. 본실험은 A549 세포와 EATC 세포를 배양한 후 녹차 catechin을 1, 10, 100, 500 μg/ml의 농도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고, 광학현미경, 공초점현미경, 전자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세포의 구조적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MTT분석, 전기영동, 유세포분석기 등을 사용하여 세포 손상정도를 파악하였다. A549 세포에서는 catechin 1 μg/ml와 10 μg/ml 농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큰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100 μg/ml catechin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내의 검은 과립들의 수가 증가하였고 층판소체의 손상이 나타났다. 세포주기의 장애가 나타나 DNA 합성전기에 있는 세포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500 μg/ml 농도에서는 층판소체와 사립체의 파괴가 심하게 나타났으며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고 세포주기의 장애도 관찰되었다. EATC 세포에서는 catechin의 농도가 A549 세포의 경우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세포증식 억제 및 세포손상 효과가 나타났다. 10 μg/ml 농도에서도 세포의 위축과 생존율의 감소가 일어났으며 전기영동상에 괴사되는 세포들이 파악되었다. 100μg/ml catechin을 처리하였을 때 자연사의 형태학적 관찰, 전기영동, 유세포분석 등에서 자연사 과정에 있는 세포들이 많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녹차 catechin을 배양한 상피성 암세포에 투여함으로서 세포의 생존율과 증식이 억제되었고 그 과정에서 괴사, 자연사, 세포주기의 장애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일련의 세포손상과정을 유도하는 데 있어 세포의 종류, 처리 시간, 농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atechin is main component of polyphenol extracts from green tea, it is associated with prevention of hypertension and atherosclerosis, anti-diabetic effect, antioxidant, antitum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and its mechanism of green tea catechin on epithelial cancer cell lines in various concentrations and durations. For this study, epithelial cancer cell lines, A549 (lung cancer), EATC (Ehrlich-Lettre ascites tumor cell) were used. Inverted, light, confocal and electron microscopes were applied to find morphological changes. MTT assay, flowcytometric analysis, gel electrophoresis were used to compare severity of cellular damages to control after exposure to 1, 10, 100 and 500 μg/ml catechin for 48 hours. In the A549 cells, after 1 μg/ml and 10 μg/ml catechin treatments, there was no notable changes. However, exposure to 100 μg/ml catechin induced increase of cytoplasmic granules, destruction of lamellar body, inhibition of cell cycle, especially G0/G1. In the early phase of 500 μg/ml catechin administration, decrease of cell population, severe destruction of lamellar bodies and mitochondria, derangement of cell cycle were shown. In the EATC, such as those effects occurred after exposure to lower concentration of catechin than in that of A549 cells. After exposure of 10 μg/ml catechin, rounded-up cells and necrotic cells were found. Whereas, most of cells were under apoptotic changes-cytoplasmic condensation, nuclear fragmentation, cellular shrinkage, ladder pattern in the electrophoresis, when administrated 100 μg/ml catechi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xposure of catechin induced severe cellular damage and growth inhibition in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And we confirmed that these effects of catechin were involved with apoptosis, necrosis and cell cycle arrest and were quite different according to cancer type. Therefore, much more research would be demanded before clinical application of catechin to human cancer therapy and this study would be the basic source for further study of green tea.

      • KCI등재

        Distribution Patterns of Involucrin in the Stratum Corneum of the Normal and Psoriatic Artificial Skins

        송인환(In-Hwan Song),성훈기(Hoon-Ki Sung),김주영(Joo-Yung Kim),성언기(Eon-Ki Sung),이융창(Yungchang Lee),박정현(Jeong-Hyun Park),문용석(Yong-Suk Moon),김홍태(Hong-Tae Kim),장성익(Sung-Ik Chang) 대한해부학회 2004 Anatomy & Cell Biology Vol.37 No.2

        Cornified envelope는 최종분화과정에 있는 각질세포의 형질막 밑에 형성되는 비용해성의 구조로서 involucrin, loricrin, cornifin 등 여러 단백질의 상호연결로 안정화된다. 건선은 염증과 각질세포의 과다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피부질환이며 각질층의 involucrin에 대한 면역염색에서 정상 표피와는 차이가 있다. 즉 건선에서는 cornified envelope에 제한되나 정상피부에서는 세포질 전반에 표지된다. 본 실험에서는 건선과 정상 각질세포의 분화양상을 비교하기 위해서 건선병변부와 정상피부의 각질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정상 및 건선인공피부를 제작하고 이들의 각질층에서 involucrin에 대한 면역금표지법을 시행하였다. 인공건선피부에서는 얇고 엉성한 각질층이 형성되었으며 표지반응이 아래층에서는 세포질 전반에 걸쳐, 상부층에서는 cornified envelope에 국한된 양상을 보여 생체에서와 유사하였다. 정상인공피부에서는 잘 형성된 중층의 두꺼운 각질층이 관찰되었지만 아래쪽의 대부분 영역에서 이상각화증의 흔적이 보였고 세포질 전반에 분포하는 표지반응을 보였다. 표면쪽의 일부 세포에서 cornified envelope에 집중되는 표지반응을 보였지만 정상인공피부의 두꺼운 각질층을 고려할 때 cornified envelope에 집중되는 경향의 정도는 인공건선피부와 비슷하였다. 결과적으로 장기형 인공배양 모델에서 정상 및 건선 각질세포의 최후 분화에서 involucrin 분포 양상은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정상인공피부에서는 비록 잘 발달된 각질층이 형성되었지만 이들은 cornified envelope의 최종분화과정 까지 는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며 건선피부 각질층에서 보이는 involucrin의 분포양상의 차이는 이들 세포의 특성에 기인한다기 보다는 빠른 세포성장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Cornified envelope is highly insoluble structure formed beneath the plasma membrane during terminal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and is stabilized by cross linking of various proteins, including involucrin, loricrin, and cornifin. Psoriasis is a chronic skin disease characterizing inflammatory reaction and hyperproliferation of keratinocyte.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involucrin immunolabelling in stratum corneum between normal and psoriasis epidermis. Labelling was convergent to cornified envelope in psoriasis skin but throughout cytoplasm in normal skin. To compare terminal differentiation patterns of normal and psoriasis keratinocytes, we reconstructed normal and psoriatic artificial skin by using primary cultured keratinocytes from normal and psoriasis skin and then performed immunogold labelling for involucrin in stratum corneum. Psoriatic artificial skin had thin and poorly organized corneal layer. Immunogold labelling for involucrin revealed same pattern of that in vivo by showing throughout cytoplasm in lower layer but convergent cornified envelope in upper layer. Compared with psoriatic artificial skin, normal artificial skin had well organized and thick stratum corneum. Involucrin labelling was throughout cytoplasm in most of corneal layer but convergent to cornified envelope in some uppermost cells. Even though some cells show convergent pattern in normal artificial skin, absolute number of this pattern was no lesser than in artificial psoriatic skin because of normal artificial skin had thick stratum corneum. This result show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volucrin distribution in terminal differentiation of normal and psoriasis keratinocytes in organotypic culture model. It is concluded that although well organized multiple corneal layers are formed in normal artificial skin, they can not reach to full maturation of cornified envelope, and difference of involucrin localization in cornified envelope of psoriasis epidermis is related with not peculiarities of the cells but rapid growing in vivo.

      • KCI등재

        심장세포이식 시험관 모델에서 심장전사인자 Nkx2.5의 역할

        신은경(Eun Kyung Shin),박정현(Jeong Hyun Park),김대중(Dae Joong Kim),한장희(Jang Hee Hahn),박경한(Kyeong Han Park),성훈기(Hoon Ki Sung),김주영(Joo Young Kim),송인환(In Hwan Song),성언기(Eon Gi Sung),이융창(Yung Chang Lee) 대한해부학회 2004 Anatomy & Cell Biology Vol.37 No.1

        최근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줄기세포나 미분화 세포를 이용하여 허혈성 심장근육에 직접 주입하는 세포이식(Cell transplantation; cellular cardiomyoplasty)이 획기적인 치료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세포이식의 대상이 되는 줄기세포의 분화기전이나 심장근육세포로의 분화유도 기전 또한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며, 세포이식시 많은 수의 주입된 세포가 손실된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포 이식 효율을 증진시키고자 줄기세포주 P19에 심장발생을 조절하는 전사인자 MEF2c와 Nkx2.5 각각을 과발현 시킨 후, 심장근육세포로의 분화와 심장근육과의 동시 수축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세포사이결합 형성 유무, 그리고 저산소 처리에 대한 저항성을 관찰하였다. 면역염색시 P19-Nkx2.5 세포는 교통반점 단백질 connexin43이 대조군에 비해 발현양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전자현미경상 에서 근원섬유가 관찰되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심장근육세포로의 분화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cardiac troponin T (cTnT)의 분포를 관찰한 결과 일부 P19-Nkx2.5 세포에서 점 형태의 반응이 나타났다. 또한 저산소 처리시 P19-Nkx2.5 세포는 다른 실함군에 비해 세포 손상이 적었다. 아울러 심장근육세포와 혼합배양 결과 P19-MEF2c 세포와 P19-Nkx2.5 세포는 심장근육세포와의 경계면에서 교통반점과 부착판의 표지자에 대한 반응이 관찰되었다. 또한 cTnT 항체로 면역염색시 P19-Nkx2.5 세포에서 반응이 증가하였으며, 다른 혼합배양군에 비해 심장근육세포의 높은 수축수와 규칙적인 박동이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전사인자 Nkx2.5의 과발현에 의하여 줄기세포주 P19은 심장근육세포로 분화가 유도되었고, 심장근육세포와 혼합배양시 세포사이결합이 형성되었으며. 세포의 수축력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Nkx2.5의 과발현 군에서 저산소 처리시 강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심장발생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Nkx2.5를 이용하여 다양한 이식세포를 구축하고 심장세포이식에 응용함으로서 심장질환에 대한 치료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Despite therapeutic advance, the prevalence of ischemic heart disease continues to increase. Recently, cell transplantation of stem cell has been proposed as a strategy for cardiac repair following myocardial damage. However, low differentiation efficiency into cardiomyocyte and poor cell viability associated with transplantation have limited the reparative capacity of these cell. In this study, we engineered P19 embryonal carcinoma cells using plasmid vector to overexpress the transcription factor MEF2c, Nkx2.5 involved in cardiomyogenesis. We investigated 1) formation of intercellular junction of P19 in mono-culture and co-culture with cardiomyocyte for functional and structural synchronous contraction after transplantation, 2) differentiation into cardiomyocyte, 3) resistance to hypoxic condition. An P19 embryonal carcinoma cell line expressing GFP, MEF2c, Nkx2.5 was generated by gene transfection and clonal selection. Nkx2.5 overexpression induced connexin43 expression level decrease.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myofibril organization and immunostaining with cTnT showed positive staining in P19-Nkx2.5, consistent with early stage cardiomyocyte. Connexin43 and N-cadherin was expressed between P19-MEF2c and cardiomyocyte, P19-Nkx2.5 and cardiomyocyte in co-culture. And beating rate of cardiomyocyte co-cultured with P19-Nkx2.5 increased much more than other group, even if P19-Nkx2.5 did not have synchronous contraction with cardiomyocyte. Additionally, P19-Nkx2.5 had a resistance against hypoxia. These result suggest that overexpression of Nkx2.5 induced differentiation of P19 into cardiomyocyte and would be electro-mechanical coupling with cardiomyocyte after transplantation. Futhermore, Nkx2.5 overexpression had protection potential to hypoxic injury. Therefore, P19 cell overexpressed Nkx2.5 would be promising cell source for further study of new therapy of myocardial disease and building up in vitro model.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배양중 흰쥐 간세포의 세포소기관 표지효소의 변천

        송인환,김주영,성언기,이융창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89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6 No.2

        초기배양과정에서 일어나는 간 세포의 회복, 성장, 활동상황등을 추적하기 위하여 세포의 생존과 기능에 꼭 필요하고 서로 깊은 연관관계를 가진 골지체, 사립체, 생체막의 표지효소를 일령별로 추적하였다. 골지체의 표지효소인 thiamine pyrophosphatase는 배양 4일경부터 장기 배양시의 강도에 접근하였으며 사립체의 표지효소인 succinate dehydrogenase는 시일이 지나며 강도가 감소하여 4일부터는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였다. 형질막의 표지효소인 alkaline phosphatase은 2일ㅉㅒ부터 반응강도가 강해져 5일째 이후로는 아주 강한반응을 보였다. 이같은 결과를 종합해볼때 1차 배양에 있어 간세포는 세포 분리후 4일경이 지나면서 안정상태에 접어들고 제기능을 수행하나 배양상태에서는 분비세포로서의 고유기능은 감소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To investigate recovery, growth, and activity of hepatocyte in primary culture after cell separation, the authors followed up the marker enzyme activities of golgi complex, mitochondria and biologi membrane. Thiamine pyrohosphatase, the marker enzyme of golgi complex, activity approached the level of long term culture at 4th day. Succinate dehydrogenase, the marker enzyme of mitochondria, activity decreased with time, then it maintained constant level after 4th day. Alkaline phosphatase, the marker enzyme of biological membrane, activity increased from 3rd day, and after 5th day it showed strong reaction. These data suggested that hepatocytes were stabilized and recovered normal activity 4 day after cell separation, but the main secretory function was speculated to be reduced in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