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천연 적색 파프리카 색소에 의한 모발 염색력과 모질의 변화
김주섭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8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6 No.3
Purpose: This study examines if the natural pigment of red paprika can be used as an ingredient in hair colorants. Methods: In the study, the paprika pigment was applied to hair specimens in varying levels. To investigate coloring performance, L * a * b * value and coloring power were assessed, and to observe hair quality change, hair tensile strength and cuticle images were investigated. Results: As a result, the L * , a * , and b * values were found to increase the hair specimen levels moved up in 10 min and 20 min of heat treatment. The dE values were found to increase with a huge gap until hair level 9 in specimens receiving 10–20 min heat treatments. In the 10–20 min heat treated specimens, the K/S values, compared to healthy hair, rose slightly with the specimen level increase. The 20 min heat treatment was found to have generally higher coloring power than the 10 min case. Nex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pecimen levels, the lower the tensile strength. Lastly, the cuticle images herein showed that the specimens at higher levels had more detachment than healthy hair.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was found that the paprika pigment can be utilized as an ingredient for natural coloring preparation.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dyeing ability by deepening preand post-treatment studies. 목적: 본 연구는 천연 적색 파프리카 색소가 모발염색 원료로 사용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파프리카 색소를 모발 시료에 레벨 별로 도포한 후, 염색력을 알아보기 위해 L * a * b * 값과 염착력을 측정하였다. 모발의 성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인장강 도와 큐티클 촬영을 하였다. 결과: 첫째, L * 값, a * 값, b * 값은 열처리 10 min, 20 min일 때 모발시료의 레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 다. 열처리 10 min과 열처리 20 min 모발시료는 9 레벨까지 큰 차이로 dE 값이 증가하였으나 11 레벨에서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 다. K/S 값은 열처리 10 min, 20 min 모발시료를 건강모와 비교한 결과, 시료의 레벨이 높을수록 소폭 증가하였다. 열처리 10 min 보다는 열처리 20 min일 때 전체적으로 염색력이 우수하였다. 둘째, 인장강도 측정결과, 건강모와 비교하면 시료의 레벨이 높을수록 인장강도는 감소하였다. 셋째, 모표피 촬영 결과, 건강모보다는 레벨이 높은 모발의 모표피가 박리가 많이 되었다. 결론: 천연 염색의 원료로 파프리카 색소가 충분히 사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후 염색력을 높이기 위한 전처리, 후처리 연구를 심도 있게 하여 염색력을 더욱 높이는데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데이터 관리 계획 작성을 위한 템플릿 개발에 관한 연구
김주섭,김선태,Kim, Juseop,Kim, Suntae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3
The government is establishing a national governance system so that research data can be systematically preserved and reused as a national asset. Recently, as DMP submission has become mandatory in some research institutes, it is a reality that DMP preparation is becoming a necessity for research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mplate so that the researcher can easily write the DMP that must be submitted when planning the project. To develop such a DMP template, 27 domestic and foreign DMP templat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as a result, a DMP template for domestic researchers was proposed. It is judged that the DMP template propo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xemplary case that can be used in other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대학도서관의 전자 지정자료 서비스 활성화에 대한 연구: 미국 대학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김주섭,김선태,최상기 한국비블리아학회 202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2 No.1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는 미국과 달리 지정자료 및 e-Reserve 서비스 운영이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e-Reserve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미국 131개 대학도서관의 e-Reserve 서비스 운영 사례를 살펴보았다. 운영 사례를 확인하기 위하여 131개의 대학도서관 웹사이트를 조사하였으며 중에서 7개 대학도서관의 e-Reserve 서비스 운영 방식을 비교 분석하고, 4개의 e-Reserve 지원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e-Reserve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있어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분석한 지원 소프트웨어의 기능은 시스템 도입 시 고려할 기능요건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Unlike the United States, course reserve and e-Reserve services of university libraries are very poorly operated in Korea. This paper studied cases of e-Reserve service operation of 131 university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revitalizing the e-Reserve service of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To confirm the operation case, 131 university library websites were surveyed, and among them, the e-Reserve service operation methods of 7 university librar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functions of 4 e-Reserve supporting software were checked.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in operating the e-Reserve service in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and the function of the analyzed support software is considered to be a functional requirement to be considered when introducing the system.
학술 콘텐츠 종합링킹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 KISTI를 중심으로 -
김주섭,전예린,김선태,Kim, Juseop,Jeon, Yerin,Kim, Suntae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에게 끊김 없는 학술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식별자를 중심으로 한 종합링킹체제를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해당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ISTI 소속의 5개 센터 및 1개 사무국 소속 17명의 연구자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학술정보서비스 DB의 식별자 구축 및 관리 현황에 대한 것으로 면담 결과, 국내 논문 DB의 경우 KOI 등의 식별자에 대한 식별률은 높았지만 해외논문의 경우, DOI를 제외하고 ORCID 등 글로벌 식별자에 대한 식별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식별자를 중심으로 한 종합링킹체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종합링킹체제 공동활용협의회를 제안하였다. 공동활용협의회는 국내 학술정보유통기관을 중심으로 구성될 것이며 구성된 협의회에서는 해외 식별자를 수집하여 식별자 연계를 통한 새로운 서비스가 발굴되고 구현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