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정위 체부 고정틀을 이용한 체부 방사선수술의 예비적 결과

        안승도(Seung Do Ahn),이병용(Byong Yong Yi),최은경(Eun Kyung Choi),김종훈(Jong Hoo Kim),노영주(Young Ju Nho),신경환(Kyung Hwan Shin),김경주(Kyoung Ju Kim),정원균(Won Kyun Chung),장혜숙(Hyesook Ch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4

        목 적: 1990년대 이후 개발된 정위 체부 고정틀을 이용한 체부 정위방사선수술의 치료효과, 치료의 정확성과 후유증에 대해 후향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2월부터 1999년 6월까지 간암 3명, 동정맥기형 1명, 폐전이 6명와 간전이 1명 등 모두 11명에서 정위 체부 고정틀을 이용하여 체부 방사선수술을 시행했다. 환자의 고정은 정위 체부 고정틀에 vacuum pillow를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chest marker와 leg marker를 이용하여 흉골부위 또는 등부위와 경골부위의 피부에 환자 위치 표시를 하였다. 이후 모의치료실로 이동하여 X선 투시기를 통해 횡경막의 움직임을 측정한 후 Diaphragm control을 사용하여 1 cm 이하로 횡경막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였다. CT-simulator를 이용하여 치료부위의 단층촬영을 시행한 후 치료계획을 세웠다. 매회 치료전 CT-simulator를 이용하여 단층촬영을 반복하여 최초의 단층촬영의 영상과 수동적으로 비교하여 치료의 정확성을 확인하고 오차가 5 mm 이내인 경우 치료를 시행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90% 등선량곡선에 10 Gy씩 1일 내지 2일 간격으로 3회 시행하여 총 30 Gy를 조사하였다. 결 과:중앙 추적관찰기간은 12개월이었다. 11명의 환자 중 1명(9%)의 환자에서 국소적 완전관해를 보였고 4명(36%)에서 부분관해를 보였다. 계획용표적체적은 3∼111 cc 였고 평균값은 18.4 cc 였다. 치료 오차를 측정한 결과 X, Y, Z 축으로 오차범위는 모두 5 mm 이내를 보였다. 치료 중 또는 치료 직후에 올 수 있는 고열, 통증 등의 급성후유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정위 체부 고정틀을 이용한 체부 방사선수술은 뛰어난 치료의 재현성을 보여주었고 간 혹은 폐종양에서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o evaluate efficacy and complication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stereotactic body frame. Methods and Materials : From December 1997 to June 1999, 11 patients with prima ry and metastatic tumors were treated with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stereotactic body frame(Precision Therapy™ ). Three patients were treated with primary hepatoma and seven with metastatic tumor from liver, lung, breast, trachea and one with a rteriovenous malformation on neck. We used vacuum pillow for immobilization and made skin marker on sternum and tibia area with chest marker and leg marker. Diaphragm control was used for reducing movement by respiration. CT- simulation and treatment planning were performed. Set- up error was checked by CT- Simulator before each treatment. Dose were calculated on the 80∼90% isodose of isocenter dose and given consecutive 3 fractions for total dose of 30 Gy (10 Gy/fraction). Results :Median follow- up was 12 months. One patient (9%) showed complete response and four patients (36%) showed partial response and others showed stable disease. Planning target volumes (PTV) ranged from 3 to 111 cc (mean 18.4 cc). Set- up error was within 5 mm in all directions (X, Y, Z axis). There was no complication in all patients. Conclusion : In primary and metastatic tumors,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stereotactic body frame is very safe, accurate and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 유방암 진단방법의 효율성에 대한 고찰

        정성후,김종훈,황용 의과학연구소 1998 全北醫大論文集 Vol.22 No.1

        Background : Palpable breast tumors have traditionally been diagnosed with open biopsy. We propose physical examination, fine needle aspiration(FNA) cytology, mammography and ultrasonography as a relia-ble, safe and cost saving initial diagnostic procedure in these patients. Methods : We performed 248 FNA cytology of breast tumors, among which 106 cases were histologically examined during the period of from jan. 1994 to Dec. 1997at the Department of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sults : Manin clinical symptom was palpable mass on breast at the time she visited the hospital. Clini-cal diagnosis based on symptoms and physical examination had 96.9% of sensitivity, 57.5%of specificity. Based on definite histologic diagnosis, the sensitivity of FNA cytology was 96.9%, specificity 91.7%, diagno-stic accuracy 93.5%, respectively. 86.1% of cytologic malignancy were proven as malignant histologically, and 100% of cytologically benign cases turned out hitologically benign. Mammography was performed in 96 case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ensitivity 89.3%, specificity 84%, accuracy 86.8%. Ultrasonography in 73 cases showed 93.5% sensitivity, 51.4% specificity, 74.6% accuracy Conclusion : A combination of physical examination, mammography, ultrasonography and FNA cytology of solid palpable breast lesions shoud be diagnostic procedure of choice for those patients classified clinically as probably bening or clinically as malignant. (Key Words : Breast tumor, FNA, Mammography, Ultrasonogra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