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생활 적응 향상 프로그램이 전ㆍ의경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자아존중감,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김종임(Kim Jong Im),윤혜선(Yoon Hye-Sun),한선옥(Han Sun Ok) 기본간호학회 2008 기본간호학회지 Vol.15 No.3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whether the program, improving adjustment to military life would have an effect on stress, depression, idea of suicide, adjustment to military living, and self-esteem in auxiliary police. Method: This quazi 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May 30, 2007.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researcher recruited 120 auxiliary police and randomly assigned each to either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n 8-week program to improv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Results: Anxiety, stress, depression, idea of suicide,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v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grams to improv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would improve psychological health and adaptation of military living in auxiliary police. Replication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s of this program and to identify the long-term maintenance effects of the program.

      • KCI등재

        요양시설 노인들의 건강상태,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수면과 인지기능정도와 관련요인

        김종임(Jong-Im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있는 노인들의 건강상태,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수면과 인지기능정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요양시설에서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2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요양시설 노인들의 인지기능 정도와 관련성은 규칙적 운동, 입소기간, 요양등급, 신체 부자유함 유무, 듣는 능력, 치아상태, 요실금, 일상생활수행능력, 수면 등과 관련이 있었다. 인지기능정도와 상관관계에서는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수면과 음의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시설 노인들의 인지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규칙적 운동을 하지 않을 때, 입소기간이 길 때, 요양등급이 높을 때, 듣는 능력이 나쁠 때,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이 의존적일 때, 수면장애가 있을 때 인지기능장애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요양시설 노인들의 인지기능과의 관련성은 노인 스스로 인지하는 건강상태와 감각영역 건강상태와 관련이 높으며, 이러한 인지기능장애 영향요인을 중재하기 위한 인지재활훈련 프로그램 등의 개발, 적용 및 지속적인 평가 및 관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cognitive functions, health conditions,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sleep states among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The subjects include 204 elderly people aged 65.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are related to their engagement in regular exercise, duration of residency, grade of care, lack of physical freedom, listening ability, state of teeth, urinary incontinenc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tate of sleep. Their cognitive function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tate of sleep. Their cognitive impairm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engagement in regular exercise, duration of residency, grade of care, listening ability, ADL, IAD dependency, and sleep disorder. In short,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are highly related to their health conditions as perceived and felt by them. It is thus required to develop, apply, and consistently assess and manag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s to provide interventions for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cognitive impairment.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 자아탄력성, 충동성,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김종임(Jong-Im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7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 자아 탄력성, 충동성,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11월부터 12월까지이며, 분석대상은 231명 이었다. 자료 분석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 백분율, t-test로 분석을 하였고, 스마트폰 중독과 중요변수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으며,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성별, 대학생활 만족도, 스마트폰 사용시간, SNS 사용시간, 자아 탄력성, 충동성,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련성에서는 성별에서 여학생이, 대학생활에 만족하지 않는 군에서,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SNS 사용시간이 많은 군에서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았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자아 탄력성은 스마트폰 중독과 음의 상관관계를, 충동성, 생활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과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성별, 자아 탄력성, 생활스트레스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5.6%이었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학생활을 개선하여 스트레스 환경을 최소화 하는 학교차원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자신의 삶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on self-esteem, ego resilience, impulsivity and life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include college students in some areas. Data was collected in November and December, 2018. Total 231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in the stud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frequency, percentage, and t-test to examine differences in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earson’s correlation was performed to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main variable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addiction were analyzed in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show that genera,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hours of using a smartphone, hours of using SNS, ego resilience, impulsivity, and life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martphone addiction. The study examined relations between general characters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found that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was high in female college students, those who were not satisfied with college life, and used a smartphone and SNS for many hours. Ego resilienc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martphone addiction, and impulsivity and life stres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it.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gender, ego resilience, and life stress were factors that had important influences on the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having explanatory power of 35.6%. In short, colleges and universities need to develop a school-level program to improve the college life of students and reduce their stress to the minimum and create an environment of encouraging them to grow power of controlling their lives so that they can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 KCI등재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생활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종임(Jong-Im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8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및 생활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C지역의 간호대학생 29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22년 11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지지, 대학생활 만족도, 생활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설명력은 19.3%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의 관련성에서는 대인관계, 경제상태, 전공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주관적 행복감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자아존중감(r=.123, p <.001), 사회적지지(r=.323, p <.001)는 양의 상관관계로, 생활스트레스(r=-.173, p <.001)는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 만족도가 주관적 행복감에 관련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를 위한 관계 형성 등 지지 체계를 강화하고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중재방안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life stress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98 nursing college students in the C area in November and December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0.0 software. The findings showed that social support,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life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se factors explained 19.3% of the variance in their subjective happiness. The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subjective happi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found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ased on interpersonal relations, economic stat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he nursing student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r=.123, p <.001) and social support (r=.323, p <.001)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tress (r=-.173, p <.001).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the college lif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heir subjective happiness. The findings raise the need to reinforce a support system involving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predecessors, and successors for social support and to develop and implement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would result in higher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to increase the subjective happin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체질량지수, 체형인식, 비만스트레스, 자아존중감에 따른 체중조절행동 예측요인

        김종임(Jong-Im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체중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C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조사기간은 2015.12.01-12.20일 까지였고, 분석대상은 289 명 이었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들은 자신의 체형에 대한 인식에 왜곡된 현상이 두드러지며, 특히 타인평가에 의한 체형인식과 비만스트레스, 체중조 절경험이 체중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조절행동과의 상관관계에서는 본인체형인식(r=.31, p<.001), 타인평가체형(r=.30, p<.001), 비만스트레스(r=.43, p<.001)등이 체중조절행동과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체중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비만스트레스(β=.37, p<.001), 타인평가체형(β=.15, p=.009)이 밀접하게 관련되는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20% 인 것으로 나타났다(F=37.30, p<.001).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체형 인식에서 타인평가체형, 비만스트레스가 체중조절행동관련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예측요인 등을 파악하여 자신의 체형을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인식할 수 있고 적절한 체중조절을 할 수 있는 정보제공, 식이와 운동을 격려하는 예방프로그램, 건강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weight control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included college students in the C area,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 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Dec 01 to 20 of 2015. Overall, 289 subjects were analyzed. Analyses consisted of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a prominent distortion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bodies based on evaluation by others and obesity stress, which had special impacts on their weight control behavior. Weight control behavior, body self-awareness (r=.31, p<0.001), assessment of body by others (r=.30, p<0.001), and obesity stress (r=.43, p<0.001) were closely related to their weight control behavior.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their weight control behavior was closely influenced by obesity stress (β=.37, p<0.001) and assessment of body by others (β=.15, p=0.009).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20% of the weight control behavior (F=37.30, p<0.001). Overall, assessment of body by others and obesity stress were found to be predictors of their weight control behavio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information programs and design appropriate prevention programs that can induce 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s. Such programs should include health education, as well as intervention programs to identify such predictors and help college students judge and perceive their body shapes objectively so that they control their weight in a proper manner.

      • KCI등재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종임(Jong-Im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5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C시 지역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분석대상은 207명 이었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26.2%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관련성에서는 셀프리더십은 학년과 성적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감성지능은 학년과 인터넷사용시간,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인터넷사용시간에서 차이가 있었고, 대학생활 적응에서는 학년에서 차이를 보였다. 대학생활적응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셀프리더십, 감성지능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간호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셀프리더십, 감성지능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스스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속적인 과정인 셀프리더십과 감성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included 207 nursing college students in C C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life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6.2%. Moreover,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revealed differences in self-leadership according to grades and marks, in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grades and hours on the internet, in academic self-efficacy according to hours on the internet, and i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grades. Adjustment to college life wa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short,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self-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important effects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reveal a need to reinforce the development of programs designed to improve self-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facilitate adjustment to college life.

      • KCI등재

        비만관리 교육을 포함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비만여성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

        김종임(Jong Im Kim),박주아(Ju Ah Park),지영(Ji Young Kim),이리나(Li Na Lee),전혜순(Hye Soon J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5

        본 연구는 비만관리 교육을 통해 비만에 대한 지식이 선행된 상태에서, 실천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비만여성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D광역시 A보건지소의 건강교실에서 참여를 희망한 자로 51세에서 79세의 비만여성 20명이 8주 동안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비만관리 교육이 포함된 수중운동프로그램은 주 2회, 20분 동안 비만관리 교육과 60분의 수중운동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총 120분으로 구성되었다. 비만관리 교육은 신체활동 실천과 식이섭취 교육에 중점을 두어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8주간의 비만관리 교육을 포함한 수중운동 프로그램 후 비만여성의 복부둘레, 체중, 체질량 지수가 감소되었고(p<.05, p<.001,p<.001), 악력이 증가되어(p<.05), 비만감소와 근력증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시 연구 대상자의 수를 늘리고, 대조군을 갖춘 실험설계 연구와 대상자가 직접 참여하고 주도하는 참여형 비만관리 수중운동 프로그램으로 개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속적인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추가적인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practiced aquatic exercise program on the body function of obese women in the community, with knowledge of obesity preceded by obesity management education. The subjects were 20 obese women aged 51 to 79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8 weeks among the participants of health program in S healthcare center in D city.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which includes obesity management training, consists of a total of 110 minutes, including twice a week, 20 minutes of obesity management training, and 60 minutes of aquatic exercise program. Obesity management education focuses on physical activity practice and dietary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including the 8 - week obesity management training decreased abdominal circumference, body weight and body mass index (p <.001, p <.001, p <.001),increased grip strength(P <.05), which is an effective program for reducing obesity and improving muscle power. In the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subjects and to develop the experimental design study with the control group and the participatory obesity management underwater exercise program that the participant directly participates and leads. It also suggests that additional strategies for continuous lifestyle improvement are needed.

      • KCI등재

        골관절염 환자를 위한 지역사회기반 수중운동 프로그램 참여 경험

        김종임(Kim, Jong Im),손행미(Son, Haeng-Mi),선애(Kim, Sun Ae),송영신(Song, Youngshin),선경(Kim, Sun Kyung)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017 근관절건강학회지 Vol.24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women with osteoarthritis in the community-based aquatic exercise program. Methods: A total of 13 women who lived urban-rural complex areas participated in 8 weeks of aquatic exercise.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focused group interviews of those who signed informed consent. Results: Four categories emerged from the contents analysis: 1) assisting a remedial program (participant-centered education, alleviation of physical symptoms, and relieving stress), 2) Pleasure of being together (group exercise, feeling of pleasure and joy, and strong and confident supporter), 3) burden of participation (economic burden, low accessibility and unaccustomed swimming pool), 4) organizing and activating a self-help group(acquired confidence over exercise, hoping for continue exercise, and Needs of self-help meeting). Conclusion: Aquatic exercise was good for women living urbanrural area as it gave not only reliving arthritic symptoms but also improving social relationships. It is optimal to assist in making of a self-supporting group and continuing activities through i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