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어 시제와 상

        김정오(Jeong-O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2

        본고에서는 시제의 일반적 정의와 상에 관한 개념들을 정리하였다. 시제는 시간을 나타내는 동사의 굴절형'이고 따라서 시제는 문법범주의 하나로서 영어의 경우 현재시제와 과거시제를 인정하고 있다. 시제처럼 상을 문법범주로 인정한다면 그 기술 대상은 당연히 문법적 표현에 국한될 것이고 반대로 문법범주가 아닌 의미범주로 간주하면 문법적 표현은 물론이고 어휘적 표현까지 기술대상이 될 것이다. 따라서 상은 문법범주로서 명시되어 있고 특히 영어의 상은 진행형과 완료형의 두 형태로 국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진행상(the progressive aspect)은 진행형, 완료상(the perfect aspect)은 완료형을 가리킨다. 이렇듯 시제와 상의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하겠다. 더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상에 관한 개념정의가 필요하고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한국 법문화의 원형과 변용

        김정오 ( Jeong Oh Kim ) 한국법교육학회 2008 법교육연구 Vol.3 No.1

        한 국가의 법체계에 있어서 법문화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법현실에 대한 논의는 법문화를 간과하거나 설령 다루더라도 그 논의는 형식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법문화에 대한 이러한 피상적 이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 논문은 먼저 법문화의 개념에 대한 논의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법문화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서구로부터 수용된 법체계와 전통적인 법문화와의 이질성을 어떻게 극복하는가이다. 이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현재 한국인들은 법체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에 대해서 어떠한 태도를 갖고 있으며, 그 체계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가 하는 점에 대해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탐구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한 사회에서 사인 간에 얼마만큼 분쟁이 발생하는가 하는 빈도수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법정을 얼마나 적극적 아니면 소극적으로 활용하는가를 판별할 수 있는 지표가 되는 민사 소송율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이 글은 한국의 법문화가 근대 법체계를 토대로 하여 형성되고 있으며 시민들은 자유주의적 가치관에 근거하여 행동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오늘날 우리 사회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는 자유주의에 근거하여 형성된 새로운 한국의 법문화 하에서 어떻게 공동체적 규범의식을 형성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Legal cul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 nation`s legal system. However, discuses on the legal reality in Korea have often dealt with legal culture lightly. This article deals critically with the dicourse recently formed around Korean legal culture. One of the controversial issues is how to overcom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odern legal system imported from the west and the traditional legal culture. To tackle this issue, we have to explore how Korean people think about the present legal system, what kind of attitude they have toward that system, and how often they use that system in their disputes. This article analyze the civil litigation statistics to find out how many disputes occur in private sector in Korean society and whether people use courts actively or passively. From this analysis, the writer concludes that Korean legal culture is based upon the modern legal system and the Korean people behave upon the liberal point of view. In the light of these trends, one of the important tasks is to build up communitarian legal consciousness within the Korean legal culture newly formed upon liberal legal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위암 환자에서 수술 전 복막전이 예측을 위한 혈청 종양 표지자의 유용성: CA 19-9와 CEA

        정오,주재균,박영규,유성엽,정미란,호군,동의,영진,Cheong, Oh,Joo, Jae Kyun,Park, Young Kyu,Ryu, Seong Yeop,Jeong, Mi Ran,Kim, Ho Koon,Kim, Dong Yi,Kim, Young Jin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3

        목적: 다른 소화기계 악성종양에 비하여 위암에서 종양표지자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다. 여러 연구들에서 종양표지자는 예후 및 재발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이 보고되었으나, 종양표지자를 이용한 수술 전 원격전이 예측의 유용성에 관한 보고는 매우 드물다. 대상 및 방법: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본원에서 위암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종양 표지자의 비특이적 증가를 초래하는 요인을 가진 환자를 제외한 78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CEA, CA 19-9와 임상병리학적 특성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CEA 양성여부는 연령, 성별과 같은 종양과 무관한 비특이적 인자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며, 림프절 전이여부와 독립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종양의 침윤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원격전이의 예측에서 CEA는 복막전이나 혈행성 전이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에 비해 CA 19-9는 종양의 침윤도 림프절 전이와 각각 독립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원격전이 중 복막 전이여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증가 정도에 따라 CA 19-9가 5배 이상 증가 시에 복막전이에 대한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보였다. 결론: CA 19-9는 측정이 간편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술 전 비치유인자인 복막전이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이에 따른 환자의 추가적인 검사를 통하여 적절한 치료 방침을 세우는데 임상적으로 유용한 도구라고 판단된다. Purpose: The usefulness of serum tumor markers for assessing gastric carcinoma is very limited compared to that for neoplasms in other digestive organs. Many reports have shown that serum tumor marker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rognosis and tumor recurrence in gastric cancer patient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usefulness of serum tumor markers as a predictor of distant metastasis for gastric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With excluding the non-specific causes of elevated tumor markers, a total of 788 patients with gastric carcinoma and who were seen at our hospitals between 2004 and 2006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operative level of tumor makers and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was analyzed. Results: CE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 gender and nodal metastasis, but not with the depth of tumor. The CEA level was not correlated with distant metastasis, such as peritoneal or hematogenous metastasis. In contrast, the CA 19-9 leve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not only with the depth of tumor and nodal metastasis, but also with peritoneal metastasis. Especially, the patients with over 500% elevation of the CA 19-9 level had a significant risk of peritoneal metastasis. Conclusion: CA 19-9 is useful for predicting peritoneal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patients. It can be used efficiently in making the diagnostic and the treatment plan, in combination with other diagnostic tools, for gastric cancer patients.

      • 원형 자동문합기를 이용한 체외문합을 시행한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 한 술자에 의한 연속적인 48명 환자의 수술성적분석

        정오,병식,육정환,오성태,임정택,갑중,최지은,박건춘,Cheong, Oh,Kim, Byung-Sik,Yook, Jeong-Hwan,Oh, Sung-Tae,Lim, Jeong-Taek,Kim, Kab-Jung,Choi, Ji-Eun,Park, Gun-Chun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1

        목적: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은 기술적 어려움과 환자수가 많지 않음으로 인하여 복강경 보조 위원위부 절제술에 비하여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본원에서 시행한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의 수술성적과 수술후 경과 및 합병증 발생 예측인자와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의 학습곡선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술 전 검사상 위의 중 상부에 위치한 조기위암(cT1N0)을 진단받고 한 술자에 의해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을 시행 받은 연속적인 4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바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중 합병증이나 개복수술로의 전환은 없었고 평균 수술시간은 $212{\pm}67$분이었다. 평균 적출 림프절 개수는 $29{\pm}10$개였고 모든 환자에서 안전한 종양 경계 면이 확보되었다. 수술 후 가스배출, 식이시작, 퇴원시기는 각각 평균 2.98일, 3.67일, 7.08일이었다. 외과적 합병증은 5명(10.4%)에서 발생하였고 모두 보전적 치료로 호전되었다.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에서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주는 유일한 인자는 체질량지순(P=0.035, HR=2.462)였으며 수술 시간을 기준으로 한 학습곡선 분석에서 20예가 학습곡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은 위의 중 상부에 위치한 조기위암에 대한 적절한 술식이며 수술성적과 수술 후 경과가 양호하다. 그러나 학습곡선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복강경 보조 위원위부절제술의 충분한 경험이 필요하며, 특히 초기경험에서는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이기 위하여 환자 선택에 있어서 체질량지수를 고려하는 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Many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on the feasibility and usefulness of laparoscopy assisted distal gastrectomy (LADG) for treating early gastric cancer.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few reports about laparoscopy assisted total gastrectomy (LATG) because upper located gastric cancer is relatively rare and the surgical technique is more difficult than that for LADG, We now present our procedure and results of performing LATG for the gastric cancer located in the upper or middle portion of the stomach.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2005 to Sep 2007, 96 patients underwent LATG by four surgeons at the 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 Among them, 48 consecutive patients who were operated on by asingle surgeon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the surgical results and the postoperative courses with using the prospectively collected laparoscopy surgery data. Results: There was no conversion to open surgery during LATG. For all the reconstructions, Roux-en Y esophago-jejunostomy and D1+beta lymphadenectomy were the standard procedures. The mean operation time was $212{\pm}67$ minutes. The mean total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was $28.9{\pm}10.54$ (range: $12{\sim}64$) and all the patients had a clear proximal resection margin in their final pathologic reports. The mean time to passing gas, first oral feeding and discharge from the hospital was 2.98, 3.67 and 7.08 days, respectively. There were 5 surgical complications and 2 non-surgical complications for 5 (10.4%) patients, and there was no mortality. None of the patients needed operation because of complications and they recover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s. The mean operation time remained constant after 20 cases and so a learning curve was present. The morbidity rate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periods, but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significantly better after the learning curve. Analysis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ostoperative morbidity, with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8MI is the only contributing factor forpostoperative complications (P=0.029, HR=2.513, 95% CI=1.097-5.755). Conclusions: LATG with regional lymph node dissection for upper and middle early gastric cancer is considered to be a safe, feasible method that showed an excellent postoperative course and acceptable morbidity. BMI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atient selection at the beginning period because of the impact of the BMI on the postoperative morbidity.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