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에서 광주학생독립운동 지지 운동

        김재기(Kim, Jaigi)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21 국제문화연구 Vol.14 No.1

        The year 2021 marks the 92nd anniversary of G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which is considered as the ‘big thre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2nd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which broke out in Gwangju in November 1929, 10 years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s considered as the largest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lthough students took the lead of independence movement, it was a holistic national movement that posed not only school issue but also colonial education, Japanese colonial rule issue, and national liberation. It started from teenage students of Gwangju but has spread to nationwide such as Seoul, Pyeongyang, Gyeongsang, Gyeonggi, Chungcheong, Gangwon, Pyeong-an, Hamgyeong and so on. It was nationwide and worldwide scale of independence movement as has spread to China, Japan, the Soviet Union, the United States, Mexico, Cuba and so on. So Government has commemorated November 3rd as ‘Student’s day’ since 1953, until the Park Junghee regime abolished it in 1973. This paper, firstly, deals with the support of G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from the United States. Second, it examines supporting activities of ‘Support Association for G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which was newly organized for support. Third, this research discusses ‘Korean Student Federation of North American’ and ‘Korean Women’s Patriots Association, which preexisted.

      • KCI등재

        쿠바한인 100년의 오디세이: 재미 쿠바한인의 연속적 트랜스내셔널 모빌리티 경험을 중심으로

        배진숙(Jin Suk Bae),김재기(Jaigi Kim)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다문화사회연구 Vol.14 No.3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연구가 매우 미진하였던 재미 쿠바한인들의 재이주 경험과 현황에 관해 고찰한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쿠바한인들이 어떠한 배경과 경로를 통해서 수세대에 걸쳐서 한반도-멕시코-쿠바-미국으로 연쇄적인 이주를 하게 되었는지, 특히 쿠바에서 미국으로의 재이주 동기와 경로에 관해 조사하였다. 또한 재미 쿠바한인들의 정체성과 한국과 쿠바 관련 양국 문화에 대한 지식과 관심도,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쿠바한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한 동기와 경로는 ‘쿠바혁명 이전’, ‘쿠바혁명 직후(1960년대)’, ‘1980년 마리엘 대탈출(Mariel Exodus)’, ‘2000년대 이후’의 네 가지 주요 시기와 계기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민족・인종 정체성은 대부분은 다중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고 쿠바계로서의 정체성이나 쿠바문화에 대한 애착 보다는 미약했지만 한국문화에 관심을 보이고 스스로를 한국계로도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쿠바한인들과 재미한인사회와의 직접적인 교류, 혹은 한국과의 연계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본 논문은 쿠바한인의 연쇄적 이주의 재조명을 통해 재외한인 이주와 정착에 대한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이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migration experiences and current status of Korean Cubans residing in the U.S., which have so far been extremely understudied. Based on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s, this research analyzes why and how ethnic Koreans have undertaken a series of transnational migrations from the Korean Peninsula, Mexico, and Cuba to the U.S. over several generations.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identities, knowledge, and interest in Korean and Cuban culture and the social relations of Korean Cuban Americans. Furthermore,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motives for and routes of Korean Cubans’ re-migration to the U.S. in four major periods: “before the Cuban Revolution,” “immediately after the Cuban Revolution (in the 1960s),” “Mariel Exodus in the year 1980,” and “after the 2000s.” Most research participants hold multiple identities in terms of their ethnic and racial backgrounds. In general, they expressed an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identified themselves as Koreans, although their identity as Korean or attachment to Korean culture proved to be rather weaker than their Cuban identity or attachment to Cuban culture. However, the findings show that Korean Cuban Americans have not actively formed any direct relationships with members of other Korean-American communities or transnational connections with their ethnic homeland, Korea. It is expected that this article, by shedding light on the serial migrations of Korean Cubans, will contribute to a multifaceted and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migration and settlement patterns of the global Korean diaspora.

      • KCI등재

        다인종 재미한인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하프코리안닷컴(HalfKorean.com)”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배진숙(Bae, Jin Suk),김재기(Kim, Jaigi)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20 디아스포라 연구 Vol.14 No.2

        다인종(다문화) 배경 한인에 관한 기존연구에서는 국내 사례만 주로 초점을 두어서 연구가 진행되었고, 다인종 재미한인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또한 최근 다양한 모빌리티와 정보통신 기기의 결합에 의해 사회공간과 사회관계가 재구성되어 왔다. 디아스포라 연구에 있어서도 디아스포라의 사이버 공간에서의 활동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하프코리안닷컴’을 비롯한 북미기반 다인종 한인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의 형성과 유지 요인을 파악하고, 이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 제고를 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방법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7명의 다인종 재미한인들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서 연구참여자들은 한국인 부 또는 모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서로 간의 성장 환경과 경험에 대해 반추, 비교, 공감하였다. 또한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정보 공유를 통해서 한인으로서의 정체성 강화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미 전역에 산재한 다인종 한인들을 네트워크화 하여 새로운 유형의 온라인 공동체를 창출하였다. 하지만 다인종 한인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회원들과 재미한인사회와의 직접적인 교류나, 모국과의 초국적 연계는 비교적 미약한 편이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지역뿐 아니라 해외 각국의 다인종 한인들, 그리고 코리안 디아스포라 공동체 형성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재외한인 ‘디지털 디아스포라’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revious literature on multiracial Koreans has focused only on domestic cases, neglecting research on the U.S.-based Koreans of mixed heritages. In addition, social spaces and social relations have recently been reconstructed by various forms of mobilities enhanced by highly develop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refore, in diaspora studies,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diaspora’s activities in cyberspace.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attempts to identify the contributing factors that form and maintain the online community of multiracial Koreans based in North America such as HalfKorean.com, an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s. Methodologically, a total of 37 mixed-race Korean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his research found that, through the online community, participants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parents and reflected, compared, and sympathized with each other’s experiences as being mixed. Also, involvements in such online communities brought about strengthening ethnic identities as Korean by sharing information about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 new type of online community was created by networking multiracial Koreans scattered across the U.S. However, it was found that multiracial Koreans have not actively formed any direct relationships with members of other Korean-American communities and transnational connections with their ethnic homel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on multiracial Koreans can be conducted worldwide, not restricted to those in the U.S., and on the digital diaspora that may function as a basis for the formation of the global Korean diaspora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