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동기시대 정치경제학과 권력의 재원조달 재론

        김장석(KIM Jang suk) 한국상고사학회 2014 한국상고사학보 Vol.86 No.-

        권력의 발생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전기청동기시대에서 송국리단계로의 전환이 한국고고학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필자는 전고에서 저장양상의 변화와 권력의 발생 간의 관계를 살핀 바 있는데, 최근 이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 비판은 토기의 저장량을 추산한 결과 송국리단계에 들어 전기청동기시대에 비해 가내저장이 오히려 증가하였기 때문에 송국리단계의 생산물이 공공재로 간주될 수 있다는 필자의 주장에 문제가 있다는 점, 송국리단계에 공동노동력 투입을 상정한 필자의 가설에 문제가 있다는 점, 그리고 필자의가설은 전기청동기시대에서 송국리단계의 변환에 대한 단절적 이해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 등을 골자로 한다. 대안으로서, 전기청동기시대말에 등장하는 지석묘의 축조 등과 같은 집단적 행위를 야심찬개인이 후원하는 자기확대적 행위가 누적된 결과로 집단적 저장시설의 등장을 이해하여야 한다는 가설이 제시되었다. 본고는 이에 대한 재반론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토기저장량 추정과 해석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권력의 재원조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송국리단계에 옥외저장시설에 저장되는 재고는 공공재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공공재에 대한 관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잉여전용이 권력재원조달전략이라는 필자의 기존주장을 구체화시킨다. 또한, 전기청동기시대와 송국리단계를 구분하여 대비하였던 것은 시대전환에 대한 단절적 인식 때문이 아니라,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이었음을 명확히 한다. The transition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the Songgukri period provides a critical clue to understanding the emergence of power in Korean prehistory. Recently a rebuttal of my model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storage and the emergence of power in the Songgukri period was published. It argues that my model has serious flaws because (1) estimation of pottery volume demonstrates that house storage increased in the Sounggukri period, suggesting that agricultural product was not public property, (2) communal labor investment in production did not exist, and (3) my model was based on a discontinuous understanding of the Early Bronze Age-Songgukri transition. The rebuttal proposes an alternative hypothesis that the appearance of collective storage resulted from aggrandizers'sponsoring activities for communal activities such as dolmen constructions and rituals. This paper is a surrebuttal. I question the methods for estimating pottery volume, and refine my model that exterior storage facilities were for communal property and managers'appropriation of communal property was an elite financing strategy. It is also argued that the contrast between the Early Bronze Age and Songgukri period was not because of a discontinuous understanding of the transition, but was a research strategy that I adopted to explain a macro-scale changes.

      • KCI등재

        신석기시대 경제 연구와 패총

        김장석(Kim Jang Suk) 한국신석기학회 2005 한국신석기연구 Vol.- No.9

        이 글에서는 현재 패총연구방법론에 대한 김건수(2004) 의 비판을 반박한다. 신석기시대의 패총연구자 생계경제에 대한 좋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고, 자연유물에 대한 동물고고학적 분석이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다른 접근법 역사 필요하다. 선사시대 생계경제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외국의 모델을 응용하였다는 자제가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It is obvious that zooarchaeological methods for shellmidden studie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prehistoric subsistence. Nevertheless, they are not the only, single most important research strategy and other approaches are also important. Application of models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is not problematic, as long as they successfully explain Korean data with appropriat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and have archaeolog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차량용 블랙박스 디자인에 대한 감성평가

        김장석 ( Kim Jang-seok ),진은미 ( Jin Eun-mi ),강나래 ( Kang Na-ra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5 No.-

        최근 차량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교통사고율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고의 원만한 해결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면서, 차량용 블랙박스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차량용 블랙박스 제품을 조사하고 그 특징 및 디자인을 분석하였으며, 소비자 감성 평가를 실시하여 차량용 블랙박스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는 4단계로 진행하였으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조사를 통하여 일반적인 차량용 블랙박스의 종류와 구조를 조사하였다. 둘째, 현재 출시되어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중 부착형을 대상으로, 국내·외 업체의 제품에 대하여 특징과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제품의 디자인은 조형과 컬러 부분으로 분류하여 특징을 분석하였다. 셋째, 차량용 블랙박스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별 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방법은 SD법을 이용하였으며, 분석은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근거로, 최종적으로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편리한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가로형의 직사각형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련된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직선적인 형태를 적용하며 흰색이나 유채색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as vehicle penetration rate increases, the traffic accident rate continues to grow. Accordingly, the market of vehicle black box is growing in order to take care of the accidents properly.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products design direction of the vehicle black box based on the researches which are the analysis of the several commercial black boxes in its property and design and sensitivity evaluation. The study is carried out in 4 steps as follows. First, the types and structures of the general vehicle black boxes a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Second, targets attached type in a vehicle black box in the marke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design of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of product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labeled as shape and color of product. Third, sensitivity evaluation are conducted for the each design of the black boxes. Was used to evaluate how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nalyzes. On this basis, we propose the design direction of the vehicle black boxes. In consequence, it is turned out that a horizontal rectangle shape is efficient for expressing easy usage. Also, a straight-line shape and white or color of high chroma is efficiency for exclusivity.

      • KCI등재

        중서부 신석기시대 편년과 패총 이용전략에 대한 새로운 이해

        김장석(Jangsuk Kim),양성혁(Seonghyeok Yang) 한국고고학회 2001 한국고고학보 Vol.45 No.-

        본고는 중서부 신석기시대 기존 편년안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작성되었다. 현재의 편년안은 토기문양이 시간차를 반영한다는 검증되지 않은 전제하에 토기문양의 나열과 교차편년에 의거하여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본고는 이 전제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기존의 편년이 토기문양의 지역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북한 고고학의 연구성과를 무비판적으로 답습하고 있다는 점을 비판한다. 또한 패총의 점유방식을 고려하지 않은 유물복합체 간의 교차편년과 순서배열의 문제도 제기한다. 대안으로서, 본고는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을 주거유적과 한정적 행위장소로 구분하고, 패총은 여러 집단이 병참적 이동에 의해 일시적으로 반복점유한 것임을 주장한다. 따라서 주거유적과 한정적 행위장소의 유물 구성은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패총 출토 토기군의 구성이 특정 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지역성을 반영한다는 점을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와 탄소연대를 볼 때,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후기에는 다양한 문양전통이 지역에 따라 공존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In this paper we criticize current chronologies of the Central-western Korean Neolithic and propose an alternative explanation. Based on an untested assumption that the Central-western Korean ceramic design is time-sensitive, the existing chronologies employ cross-dating and seriation of ceramic designs as the main dating methods. Questioning this assumption, we criticize the existing chronologies that they do not take geographical variation into account, and that they unconditionally follow the chronological scheme of the North Korean archaeology. We also question the reliability of the methods of current chronology, i.e., cross-dating and seriation, which do not consider the hunter-gatherer strategy for shellmidden exploitation. As an alternative, we divide the Central-western Korean Neolithic sites into residential sites and limited activity stations, and propose that the shellmiddens in the Korean West Sea were exploited repeatedly but temporarily by various groups on the basis of logistical mobility. We demonstrate that the composition of ceramic assemblages from shellmiddens differs from that from residential sites and that it does not indicate the timing of its formation but is a proxy measure of exploitation range. Both the results of our analysis and radiocarbon dates suggest that in the late Neolithic of the Central-western Korea various stylistic traditions coexisted.

      • KCI등재

        남한지역 장란형토기의 등장과 확산

        김장석(Kim, Jangsuk) 중부고고학회 2012 고고학 Vol.11 No.3

        이 글은 마한지역 원삼국시대의 대표적인 자비용기인 장란형토기 형성과정에 대한 기존의 견해를 탄소연대를 통해 살펴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작성되었다. 장란형토기는 낙랑 화분형토기의 영향 하에서 경질무문토기의 자비기능을 계승하면서 3세기 전반기에 등장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하지만, 이 가설을 경질무문토기가 발견되지 않는 지역에 적용할 경우 여러 가지의 풀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원삼국시대 마한지역과 중부지역의 탄소연대를 취합하여, 일련의 조정과정을 거친 후, 그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란형토기를 반출하는 유구 중 이른 시기의 탄소연대를 가진 것들은 모두 남부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한강유역 및 중부지역의 장란형토기는 상대적으로 늦은 시점부터 등장하기 시작한다. 기존의 가설을 통해서는 이러한 현상이 설명되지 않는 바, 본고에서는 장란형토기의 형성과정에 낙랑의 화분형토기보다는 요동반도의 연식부로부터의 영향을 주목한다. 요동반도의 전한대 연식부는 그 형태와 유물조합에서 마한 남부지역의 장란형토기의 조형으로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존의 가설보다 좀 더 설득력있는 대안적 가설이 제시될 수 있다. This paper reviews the existing hypotheses on "Jangran-hyung Jars" and proposes an alternative hypothesis, by analyzing radiocarbon dates. Previous hypotheses have argued that jangran-hyung jars appeared in the early third century AD under the influence from Nakrang, replacing hard plain pottery. However, when this hypothesis is applied to areas where no hard plain pottery is distributed, many questions remain unanswered. An analysis of radiocarbon dates of jangran-hyung jars indicates that early dates are distributed in southern area of Mahan and jangran-hyung jars then spread to the Han River Valley. Since previous hypotheses do not explain this process, this paper proposes Yan style calderons of the Liaodong Peninsula, especially those of the East Han Period, as an alternative origin of jangran-hyung ja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