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서부 후기신석기시대의 토지이용전략과 자원이용권 공유

        김장석 ( Jang Suk Kim ) 한국고대학회 2003 先史와 古代 Vol.18 No.-

        Based on microeconomic and ecological approaches, current discussion of hunter-gatherer logistical mobility does not consider possible competition between groups coexisting in a region and its socioeconomic effects. This paper argues that logistical mobility, as a type of hunter-gatherer land-use, is not merely an economic strategy but a kind of social strategy. Ceramic analysis shows that logistical mobility of hunter-gatherers during the central-western Korean Late Neolithic was based on open access to resource patches, and this was a strategy to avoid socioeconomic conflicts with other groups. It can be further proposed that sharing of access rights to resources was a strategy to minimize social risks of debt relationship resulting from sharing of already-procured resources as well as a economic-cost minimization strategy.

      • KCI등재

        신석기시대 경제 연구와 패총

        김장석(Kim Jang Suk) 한국신석기학회 2005 한국신석기연구 Vol.- No.9

        이 글에서는 현재 패총연구방법론에 대한 김건수(2004) 의 비판을 반박한다. 신석기시대의 패총연구자 생계경제에 대한 좋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고, 자연유물에 대한 동물고고학적 분석이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다른 접근법 역사 필요하다. 선사시대 생계경제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외국의 모델을 응용하였다는 자제가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It is obvious that zooarchaeological methods for shellmidden studie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prehistoric subsistence. Nevertheless, they are not the only, single most important research strategy and other approaches are also important. Application of models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is not problematic, as long as they successfully explain Korean data with appropriat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and have archaeological implic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청동기시대 정치경제학과 권력의 재원조달 재론

        김장석(KIM Jang suk) 한국상고사학회 2014 한국상고사학보 Vol.86 No.-

        권력의 발생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전기청동기시대에서 송국리단계로의 전환이 한국고고학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필자는 전고에서 저장양상의 변화와 권력의 발생 간의 관계를 살핀 바 있는데, 최근 이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 비판은 토기의 저장량을 추산한 결과 송국리단계에 들어 전기청동기시대에 비해 가내저장이 오히려 증가하였기 때문에 송국리단계의 생산물이 공공재로 간주될 수 있다는 필자의 주장에 문제가 있다는 점, 송국리단계에 공동노동력 투입을 상정한 필자의 가설에 문제가 있다는 점, 그리고 필자의가설은 전기청동기시대에서 송국리단계의 변환에 대한 단절적 이해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 등을 골자로 한다. 대안으로서, 전기청동기시대말에 등장하는 지석묘의 축조 등과 같은 집단적 행위를 야심찬개인이 후원하는 자기확대적 행위가 누적된 결과로 집단적 저장시설의 등장을 이해하여야 한다는 가설이 제시되었다. 본고는 이에 대한 재반론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토기저장량 추정과 해석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권력의 재원조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송국리단계에 옥외저장시설에 저장되는 재고는 공공재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공공재에 대한 관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잉여전용이 권력재원조달전략이라는 필자의 기존주장을 구체화시킨다. 또한, 전기청동기시대와 송국리단계를 구분하여 대비하였던 것은 시대전환에 대한 단절적 인식 때문이 아니라,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이었음을 명확히 한다. The transition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the Songgukri period provides a critical clue to understanding the emergence of power in Korean prehistory. Recently a rebuttal of my model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storage and the emergence of power in the Songgukri period was published. It argues that my model has serious flaws because (1) estimation of pottery volume demonstrates that house storage increased in the Sounggukri period, suggesting that agricultural product was not public property, (2) communal labor investment in production did not exist, and (3) my model was based on a discontinuous understanding of the Early Bronze Age-Songgukri transition. The rebuttal proposes an alternative hypothesis that the appearance of collective storage resulted from aggrandizers'sponsoring activities for communal activities such as dolmen constructions and rituals. This paper is a surrebuttal. I question the methods for estimating pottery volume, and refine my model that exterior storage facilities were for communal property and managers'appropriation of communal property was an elite financing strategy. It is also argued that the contrast between the Early Bronze Age and Songgukri period was not because of a discontinuous understanding of the transition, but was a research strategy that I adopted to explain a macro-scale changes.

      • KCI등재

        흔암리 유형 재고 : 기원과 연대

        金壯錫 嶺南考古學會 2001 嶺南考古學 Vol.- No.28

        기존의 전기무문토기시대의 연구는 흔암리식 토기를 반출하는 유적을 유형으로 설정하여 그 확산과정을 설명하려하고 있다. 즉, 흔암리식 토기는 전기무문토기의 후반부에 한강유역 또는 원산만과 같은 특정지역에서 형성되어 남한 각지로 확산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는데, 본고는 이에 의문을 제기한다. 첫째, 흔암리식 토기를 반출하는 유적은 주민집단을 반영하는 하나의 유형으로 규정하기에는 너무 유적간에 차이가 심하다 둘째, 최근 축적되고 있는 탄소연대를 보면, 가락동식 토기와 흔암리식 토기간에는 시차가 발견되지 않는다. 셋째, 가락동식 토기는 흔암리식 토기와 역삼동식 토기와는 지역적 분포를 달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고는 가락동 유형의 남한지역 등장이 청천강 유역으로의 미송리형 토기 확산으로 인한 이 지역 주민의 남하로 보고, 이들의 일부가 남한지역의 기존 역삼동식 토기 사용집단에 흡수-통합되면서 역삼동식 토기 분포권에서 흔암리식 토기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이해한다. Studies of the Korean Early Bronze Age have defined the assemblages from which the Heunamri Pottery is found as the Heunamri Assemblage, regarding it as a 'cultural assemblage' that indicates a specific group of people. Based on this assumed definition, the Heunmari Assemblage is considered to have been spread throughout South Korea after its establishment either in the Han River Valley or somewhere in the Wonsan Bay area in the late Early Bronze Age. This paper questions this explanation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Heunamri Pottery assemblage is too variable to define it as a cultural assemblage produced by a specific group of people that shared the same technological/stylistic tradition and group identity. Second, radiocarbon dates demonstrate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beginning date between the Garakdong Assemblages and the Heunmari Assemblages. Third, the Garakdong Assemblages clearly differ in geographical distribution from the Yeoksamdong assemblages and Heunamri assemblages. It is suggested that (1) the appearance of the Garakdong Pottery in South Korea resulted from migration of the Gakhyeong Pottery-using people from the Cheongchon River Valley, due to the advance of the Misongri Pottery/bronze-using people to this area, and (2) the formation of the Heunamri Pottery was a coincident byproduct of the integration of these people into various Yeoksamdong pottery-using groups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