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치료사가 인식하고 있는 임파워먼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자현 한국음악치료학회 2013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5 No.1

        이 연구는 음악치료 현장에서의 임파워먼트란 무엇이며 어떤 것인지를 음악치료 임상가들의 구체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네 명의 음악치료사의 경험을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면담내용을 분석한 결과, 14개의 하위구성요소와 7개의 구성요소들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음악치료사들의 임파워먼트의 파워(힘)에 대한 관점, 영향력 있는 임파워먼트의 형태, 치료사와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를 통한 영향력, 임상현장을 통한 자기 성장, 치료사가 소유해야 할 자질, 자신의 치료에 대한 책임감, 그리고 임상을 통한 임파워먼트의 추구에 대해 숙고하면서 임파워먼트를 자신의 임상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ifteen years have passed since music therapist was produced in korea, then practice of empowerment for music therapist is emerging as important attention. However, we still lack understanding that what is experience of empowerment; how appropriately is applied this experience in the clinical trials. This study will treat music therapist's concrete experiences in qualitative research, for what is empowerment in the clinical trials of music therapy, how appropriately is applied this experience in there.

      • KCI등재

        금산사 성보문화재를 통해 본 한국불교의 사상흐름과 태공월주의 보살행

        김자현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2 佛敎學報 Vol.- No.99

        Buddhist cultural heritage items at Geumsansa Temple reflect major Buddhist doctrines of the time. By analyzing these cultural heritage items, this paper diachronically overviews the history of Geumsansa Temple and illuminates the altruistic practices of Great Monk Wolju that are rooted in the Buddhist doctrines that prevailed at Geumsansa Temple. Geumsansa Temple preserves the heritage of Korean Buddhism ranging from the belief in Maitreya that has continued from the time of the temple’s foundation to Seon Buddhism that is based on the study of Hwaeom from the Joseon period. The Ordination Platform, Mireukjeon Hall (Hall of Maitreya), Daejeokgwangjeon Hall (Hall of ultimate silence and light), and other diverse components of the temple are precious treasures including important sources for the study of the flow of dominant Buddhist doctrines of Geumsansa Temple. The heritage of diverse Buddhist ideologies preserved in Geumsansa Temple also affected Great Monk Wolju who led major Buddhist projects at the temple. Based on the belief in Maitreya, he engaged in various social and altruistic activities of bodhisattva to advance Maitreya’s advent in the human world and creation of the Pure Land. Additionally, the Hwaeom doctrine influenced the world view of Great Monk Wolju. He asserted that all creations in the universe are connected like Indra’s net and affect each other’s lives. Therefore, he emphasized that we should consider pains and sufferings of other creatures in the world as our own and note that peace and comfort of others are connected to our life. 본 논문은 사상 변화에 의거하여 제작된 금산사의 성보문화재들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금산사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사상적 기반 위에서 발현된 태공 월주의 보살행을 재조명하였다. 금산사는 창건 이래 면면히 이어져 온 미륵사상부터 조선시대 화엄학을 기반으로 한 선종의 전통까지 한국 불교의 사상과 흐름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유서 깊은 사찰이다. 그리고 금산사의 현전하는 문화재들, 즉 방등계단, 미륵전, 대적광전을 위시한 다양한 석물들은 금산사의 사상적 흐름 변화와 역사를 조망함에 있어 간과해서는 안되는 매우 중요한 사료이자 성보이다. 또한 금산사에서 오랜 시간 주석하며 대대적인 불사를 통해 현대 금산사 가람의 기본틀을 구축한 태공월주의 사상 기저에도 이와 같은 금산사의 종지가 깊게 흐르고 있었다. 그가 행하는 실천행의 기저에는 사회 활동과 보살행을 통해 미륵이 하생할 용화세계 구현을 독려하고자 한 미륵신앙과 함께 화엄사상의 영향도 깊게 자리 잡고 있었다. 그는 삼라만상은 인드라망처럼 서로 이어져 서로의 삶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구촌 모든 생명의 고통이 곧 나의 고통임을 인지해야 하고, 그들의 평화와 안락이 나에게 직결되는 것임을 인식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즉 모든 인류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인지하고 모두가 함께 선업을 쌓아가며 고통을 덜고 안락한 세상을 만드는 것, 이것이 태공 월주가 꿈꾸었던 이 땅의 용화정토의 모습이었다. 그리고 이는 우리에게 여전히 깨달음과 실천으로 향하는 동력을 준다는 점에서 더욱 확장해가야 할 현대의 수행방식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 KCI등재

        HRD 분야 세대별 연구의 특징과 연구동향 분석

        김자현,장환영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0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and implications of generation related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hereafter referred to by its acronym “HRD”. For this aim, researchers selected 88 papers that included research themes about relations between generations or within a generation in the period between 2000 to 2019. The paper adopted four analytic frameworks, which were research year, method, field, and theme. Firstly, the distinct feature as the result of analysis by research year was that generation related studies were published more from 2016 till 2019 than in any other periods. As the analysis by research methods, the result showed that quantitative methods using surveys were most utilized in both studies about relations between generations and studies within a generation. The analysis by research field indicated that a variety of generation related issues were addressed in a total of 20 fields of study. Lastly, through the analysis by research themes, researchers could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by categorizing common themes such as work-life balance, the current status of the labor market, organizational commitment, occupational standards and mobility,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retirement preparation and experience,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and learning, and leadership.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paper discussed issues and implications that appeared to be in synthesis and provided a review about related studies, while including the limits that this research had in the field of HRD.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HRD 분야의 세대별 연구를 분석하여 세대별 연구의 특징과 연구동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기간을 설정하고 전체 세대 간, 개별 세대들을 대상으로 연구된 총 89편의 학술논문을 연구연도, 연구방법, 연구분야,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동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연도별 분석을 살펴보면 세대 간 연구의 경우 2016∼2019년 동안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고, 개별 세대 내 연구 역시 모든 세대가 2016∼2019년 동안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방법별 분석에서는 세대 간, 세대 내 연구 모두 대체로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연구분야별 분석에서는 총 20개의 분야에서 세대 별 연구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별 분석에서는 일과 삶의 균형, 노동시장의 현황, 조직몰입, 직업기준과 직업이동, 세대 간 갈등, 퇴직준비와 퇴직경험, 경력개발, 교육과 학습, 리더십의 공통주제로 범주화하여 전체 세대 간, 각 세대별로 다양하게 나타난 관심 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HRD 분야의 세대별 연구의 특징과 관련된 국내 연구의 동향 및 시사점과 한계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신경정신증상을 동반한 트리클로로에틸렌 중독 1예

        김자현,유성진,김병권,전형준,박종태,김해준 大韓産業醫學會 2008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0 No.1

        배경: 트리클로로에틸렌은 중추신경계에 주로 작용하는 유해 발암물질로서 사용 및 관리 에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까지도 영세사업장을 중심으로 트리클로로에틸렌을 사용함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트리클로로에틸렌 중독에 의한 산업재해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트리클로로에틸렌 중독에 관한 연구 및 보고가 많지 않다. 사례: 환자는 장기간 금속부품 세척 공장에서 트리클로로에틸렌에 노출되었으며,건망증 및 말더듬 증상과 함께 식욕감소와 성욕감소를 동반한 전반적 의욕부진과 우울감정이 양손의 이상감각 및 저림, 통증과 함께 나타났다. 신경전도검사에서 자율신경계의 이상소견을 보였으나,자기공명영상 검사 결과 소뇌의 위축 등의 기질적 이상 소견 및 중추신경계의 감염이나 종양 등은 없었으며 대사 장애나 전해질 이상도 보이지 않았다. 저자들은 환자가 전자부품 세척 공정에서 트리클로로에틸렌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중시하여 요중 총삼염화물의 농도를 검사한 결과 과량의 요중 총삼염화물이 검출되어 임상적으로 트리클로로에틸렌 중독을 진단할 수 있었다. 노출은 입원과 동시에 중단되었다. 요중 총삼염화물의 농도는 입원직후 3,331.1 mg/g creatinine, 입원 후 3일째 347.9 mg/g creatinine,입원 후 5일째 64.6 mg/g creatinne으로 감소하였다. 주요 증상이었던 손발 저림과 통증의 급격한 호전을 보였고,우울감 등의 기분장애와 술 취한 느낌,발기부전,말더듬 등의 증상이 입원 후 시행 한 요중 총삼염화물의 농도 감소에 따라 단계적인 회복을 보였다. 결과: 트리클로로에틸렌의 저농도 만성 노출에서 신경 정신증상을 동반한 중독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이로 인해 발생한 신경정신증상이 정신과적 절환으로 판단되어 적절한 진단,치료 및 노출 평가가 어려울 수 있다. 트리클로로에틸렌 취급 근로자에서 신경정신증상이 나타나는지를 검토하여 이것이 트리클로로에틸렌 노출로 인한 것인지를 조기에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Background: Trichloroethylene (TCE) has been widely used as a typewriter correction fluid, Paint remover, adhesive, spot removers and, particularly, as a degreasing agent in metal-fabricating operation. However, few studies have reported on the effects of TCE intoxication, in spite of numerous occupation al accidents arising from TCE intoxication, even until quite recently used in small companies. TCE affects mainly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and is carcinogenic, even when carefully used and managed. Case report: A 48-year-o1d male worker visited our hospital complaining of decreased motivation and general weakness, In history taking, the patient had suffered insomnia, memory disturbance, stuttering, loss of interest and sexual desire, depressive mood for 4 years, dysesthesia with tingling sensation and pain in both extremities, and a nauseas feeling similar to a hangover which had been aggravated for 4 months before admission. The patient had been engaged in metal degreasing with TCE for 8 years. Electromyography indicated disturbance of autonomic function, but there was neither peripheral neuropa-thy nor cervical radiculopathy. Organic abnormalities including cerebellar atrophy and CNS infection were ruled out, while there was no indication of malignancy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metabolic disorders and electrolyte imbalances in laboratory test. The authors performed biological monitoring for the possible exposed chemicals. Urinary 2,5-hexanedione, a metabolite of n-hexane, was undetected but 3,331.1 mg/g creatinine of urinary trichloro-compounds, a metabolite of TCE, was detected. The patient was diagnosed as TCE intoxication due to a level of urinary trichloro-compounds in excess of the normal range (300 mg/g creatinine), in addition to an occupational history and clinical symptoms. TCE exposure was stopped in admission and the neuropsychiathc symptoms of the patient were improved as the urinary thchloro-compounds were decreased from 3,331.1 mg/g creatinine to 64.6 mg/g creatinine in 5 days. Conclusion: Low-dose, chronic TCE intoxication shows neuropsychiatric symptoms, which are often misrecognized merely as a psychiatric disorder; its appropriate diagnosis, early treatment and exposure assessment are therefore difficult. The neuropsychiatric symptoms in workers who have been exposed to TCE should be monitored, detailed job history should be taken and biological monitoring should be conducted to gain early insight of chronic TCE exposure.

      • KCI등재

        조선시대 <석가설법도>를 통해 본 청문자도상의 연원과 수용

        김자현 동악미술사학회 2018 東岳美術史學 Vol.0 No.23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판본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석가설법도>의 청문자도상에 주목하여 청문자도상의 사례와 유입배경과 의미, 도상의 수용과 변화원인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재까지 알려진 조선시대 불화 중 청문자도상이 등장하는 <석가설법도>는 총 9점이다. 보살형청문자도상은 16세기부터 17세기 중반까지 제작되었고, 1653년 영수사 <석가설법도> 괘불을 기점으로 僧形으로 대체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16세기에 제작된 <석가설법도>는 모두 화풍과 표현기법에서 조선전기 왕실발원불화들과의 친연성이 엿보이며, 17세기 이후에 제작된 승형청문자가 등장하는 불화들은 4점 중 3점이 17세기 중반부터 18세기 초반이라는 일정한 시기에 충청도 일대에서 괘불화의 형태로 제작되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조선시대 <석가설법도>의 보살형청문자도상은 이 변상판화가 明代의 판본을 복각한 것이고, 元代 이래로 제작된 중국의 대장경에는 경전의 내용과 상관없이 몇 종의 설법도형식의 변상판화를 순서대로 돌려가며 삽입하였다는 사실로 미루어보아 특정한 인물로 규정짓기보다는 청문자를 대표하는 의미로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도상을 불화에 차용한 <석가설법도>의 보살형청문자는 비록 판본의 영향으로 기본적인 도상의 자세나 배치 등은 유사하지만, 청문자의 복식과 광배, 대좌의 표현 등의 세부적인 표현에서 판본과의 차별성을 명확히 하는 불화만의 표현방식을 만들어낸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보살형청문자 도상은 영수사 <석가설법도>(1653)를 기점으로 승형으로 변화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당시 불교계의 동향과 불전간행경향을 통해 연유를 짐작해볼 수 있으며, 17세기를 기점으로 불교미술에서 당시의 사상경향을 반영하여 기존의 판본이나 불화의 도상을 변용하였던 흐름과 맥을 같이 한다. 그리고 <석가설법도>표현된 뒷모습의 승형청문자의 형상은 公山本寺에서 간행된 『법화경』변상판화(1531)의 석가설법도상과 가장 친연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도상이 17세기 충청도 일대에서 조성된 불화에 차용된 점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판본은 1670년 공주 岬寺에서 간행된 『법화경』과 『선문조사예참문』이다. 이 두 판본을 통해 이 시기 충청도 지역에 공산본사본 계통의 『법화경』변상판화가 전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법화경』의 각수로 참여했던 明玉이 승형청문자가 등장하는 영수사와 청룡사 <석가설법도>의 畫師였다는 사실은 이시기 명옥을 비롯한 화사들이 경전간행불사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였음을 알려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이시기 화사들이 각 사찰에 소장되어 있던 다양한 판본을 접하였거나 또는 각수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양한 도상들을 인식했을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석가설법도> 청문자도상의 변화는 공산본사본 『법화경』과 같이 승형청문자가 등장하는 판본을 접했던 명옥과 같은 화사들이 이 도상을 <석가설법도>에 직접적으로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iconography of the listener as observed in paintings of Shakyamuni preaching produced during the Joseon period under the influence of illustrated Buddhist sutras. It applies case stud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is iconography and the reasons underlying the related iconographic shifts. A total of nine Joseon-period paintings of Shakyamuni preaching are known to feature a figure listening to Shakyamuni’s sermon. This listener seated before Shakyamuni with his back to the viewer is depicted as a bodhisattva in paintings from the sixteenth century. However, in the large hanging painting Shakyamuni’s Preaching at Yeongsusa Temple produced in 1653 and in other later paintings, the listener appears as a Buddhist monk. Furthermore, paintings of Shakyamuni preaching from the sixteenth century share stylistic similarities with Buddhist paintings commissioned by the royal court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In contrast, the surviving examples from later periods were produced in the form of large hanging paintings known as gwaebul(掛佛) in the region around the present-day Chungcheong Province at some time between the mid-seventeenth and early eighteenth centuries, with the exception of Shakyamuni Preaching at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South Jeolla Province dated to 1725. The iconography of the bodhisattva listener in Joseon paintings of Shakyamuni preaching is based on a reproduction of an illustrated Lotus Sutra from Ming China. In Chinese Buddhist canons from the Yuan and later periods, however, several types of illustrations of Shakyamuni preaching were inserted one after another, regardless of the content of the sutras. Therefore, it is more reasonable to consider the listener to be a representative of the body of devotees listening to Shakyamuni’s preaching rather than identifying him as a specific individual. Joseon-period paintings featured a pose and composition similar to those in Chinese sutra illustrations, but they developed a unique style as exemplified in the depictions of details such as the clothes, nimbus, and pedestal, which clearly differ from the Chinese originals. The reason the listener came to be depicted as a Buddhist monk rather than a bodhisattva in Joseon paintings of Shakyamuni preaching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onwards might be found in the situation within Buddhist circles and the publication and circulation of Buddhist sutras at the time. During the seventeenth century, Buddhist artists modified or replaced the existing iconography in sutra illustrations or paintings to reflect the dominant doctrines of the era. This trend likely influenced a shift in the iconography of the listener. The monk listener shows a circular halo around his head and sits in a rectangular space while wearing a kasaya with grid patterns made from multiple pieces of cloth. This iconography bears a close affinity with the illustration of “Shakyamuni preaching” in the Lotus Sutra published in 1531 at Gongsanbonsa Temple in Yeongcheon,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Lotus Sutra and the Prayers and Confessions to the Ancestral Seon Masters(禪門祖師禮懺文, Seonmun josa yechammun) published in 1670 at Gapsa Temple in Gongju, South Chungcheong Province require special attention since they demonstrate that the iconographies influenced by the illustrated Lotus Sutra from Gongsanbonsa Temple, including that of the monk listener, were introduced to the Chungcheong region during the seventeenth century and were applied in Buddhist paintings produced there. The monk artist Myeongok(明玉) engraved the illustrations of the Lotus Sutra from Gongsanbonsa Temple and also produced paintings of Shakyamuni preaching featuring a monk listener at Yeongsusa Temple in Jincheon, North Chungcheong Province and Cheongnyongsa Temple in Anseong, Gyeonggi Province, which belonged to Chungcheong Province until the early fifteenth century. This indicates that Buddhist monk painters participated as engravers in the publication of illustrated Buddhist sutras. This could explain the changes in the depiction of the listener in Joseon paintings of Shakyamuni preaching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onwards.

      • KCI등재
      • INTERVIEW - 한국C&T(주) 대표이사 김훈석

        김자현,Kim, Ja-Hyeon 한국시멘트협회 2013 시멘트 Vol.200 No.-

        포틀랜드 시멘트만이 유일하던 지난 1976년, 제설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슬래그(slag)를 재활용한 시멘트를 국내 최초로 생산한 한국C&T(주)는 1985년 무재해 3배 달성업체로 노동부 은탑산업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1986년 증권감독원으로부터 우량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양질의 슬래그 시멘트 생산을 통해 연관산업 발전에 이바지해왔다. 신뢰에 기반을 둔 경영과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토대로 2014년 힘찬 도약을 준비해 나가고 있는 한국C&T(주) 김훈석 대표이사를 만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