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종(種) 대황(大黃)의 외부(外部) 및 내외부형태(內外部形態)

        김자영,최고야,김홍준,주영승,Kim, Ja-Young,Choi, Go-Ya,Kim, Hong-Jun,Ju, Young-Sung 한국한의학연구원 2006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2 No.1

        The Following is a list of specific external and internal morphology of Rheum palmatum L. and R. undulatum L. in Rhei Rhizoma. 1. For the original plants of Rhei Rhizoma in the literatures. 18 plants are reported. 2.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original plant : R. palmatum has a large palmate leaf, its petiole of radical leaf has a simple bristle and its flower is purple and pink color. Whereas R. undulatum has a medium ovate leaf, its petiole of radical leaf is purphish, its stem leaf surrounds a half of stem and its flower is yellowish white color. 3. The character of herbal states : a. diameter and size-- R. palmaum is bigger and heavier than R. undulatum. b. in section--R. palmatum is dark brown color, R. undulatum is bright brown color Fibrovascular bundle is arranged in circle shape in R. patmatum. R. undulatum shows a distingushed wheel shape. 4.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 R. palmatum has a large intercellular space of cork layer, its cambium is clear and a xylem medullary ray is comparatively tight, Whereas R. undulatum has a tight intercettular space of cork layer., its cambium is a few clear and xylem medullary ray is verty tight. As these results, additional study is required to distinguish herbs and their effect among many kinds of same genus-degree of relatedness.

      • KCI등재

        일개 종합병원 의료종사자 직종별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비교

        김자영,김복자,Kim, Ja Young,Kim, Bog Ja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12 중환자간호학회지 Vol.5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ealth care workers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Methods: Participants were 296 health care workers including nurses, physicians, and medical technicians.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were measured with 4-point Likert scal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s and one-way ANOVA by using SPSS 18.0. Results: The mean scores of awareness were 3.72 in nurses, 3.62 in physicians, and 3.47 in medical technicia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awareness by occupational classification (F=12.39, p<.001). The mean scores of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were 3.45 in nurses, 3.19 in physicians, and 3.23 in medical technicia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formance by occupational classification (F=10.98, p<.001). In addition, the score of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wareness (t=11.89,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were different by occupational classification. To improv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distinct infection control program by occupational classification.

      • KCI등재

        정보센터 자동화시스템의 통합화에 관한 연구

        김자영,Kim, Ja-Young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1995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26 No.4

        이용자 서비스 강화와 효율적인 정보관리를 위해 각 정보센터들이 구축하고 있는 정보센터 자동화시스템의 개발이 최근 멀티미디어와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통합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과거 소장정보만을 제공하던 것에서 CD-ROM 등 소장 외부 데이터베이스외에도 인터넷과 PC통신망과 같은 외부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도 하나의 시스템에 통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연구를 통해 통합화 경향을 확인하고 통합할 정보와 비용의 측면에서 그 통합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포스코의 그룹차원 정보관리시스템인 MIPOS 정보자료시스템을 국내의 대표적인 통합화 사례로서 제시하였다. As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en developing rapidly, libraries are moving from an ownership-centered information service toward information access service. Consequently, integrated automation systems of information centers that give not only cataloging information of their own collections but also various electronic information have appeared. In this study, a model of integrated automation system of an information center is suggested in terms of information types and cost, by taking case studies of some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Furthermore, the MIPOS Information & Resource Center System of POSCO Group is introduced as a good example of integrated automation systems in Korea.

      • KCI등재

        안정화 미강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C57BL/6 Mice의 비만과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자영(Ja-Young Kim),신말식(Malshick Shin),허영란(Young-Ran H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8

        미강은 쌀 도정의 부산물로 다양한 연구에서 미강의 생리활성 구성 요소의 항산화, 항암, 면역 강화,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보고되어 미강을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미강을 첨가한 제품의 품질과 관능?기호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뿐이고, 미강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안정화 미강 첨가가 항비만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지 생리적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in vivo model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C57BL/6 마우스에 6주간 고지방식이를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고, 미강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제품 개발 시 기능성을 유지하는 적정 첨가비율을 확인하기 위해 안정화 미강 분말을 고지방 식이에 각각 20%, 40%를 첨가하여 7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고지방 식이에 미강을 20% 첨가한 HFRB20군은 HFD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고지방 식이에 미강을 40%첨가한 HFRB40군에서 체중 증가 억제와 지방 조직 무게감소 효과 및 혈당 저하와 leptin 농도의 감소를 보였고 항산화 효소 활성을 개선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안정화 미강의 식이 섬유소와 그 외의 주요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시너지효과를 나타냈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안정화 미강을 이용하여 생리적 효과를 나타내는 제품 개발에 안정화 미강의 첨가량은 40%가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7주의 단기 연구를 수행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HFRB20군에서 비만과 항산화 및 관련 지표가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므로 장기간 섭취 시의 효과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ice bran (RB), a by-product obtained during polishing of un-milled rice, contains a large quantity of essential nutrients such as minerals, vitamins, fiber, amino acids, and antioxidants. In this study, the anti-obesity effects of stabilized RB addition as a food material in a diet-induced obese animal model were investigated. For the analysis, a total of 32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diet group (ND, n=8), high-fat diet group (HFD, n=8), 20% RB added high fat diet group (HFRB20, n=8), and 40% RB added high fat diet group (HFRB40, n=8).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7 weeks. Body weight gain, various adipose tissue weights,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serum leptin level of the HFRB40 group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HFD group. Moreover, antioxidant enzyme activity of the HFRB40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HFD group. However, the HFRB20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val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RB (40%) addition reduces body weight gain and improves obesity-related parameters. These results suggest RB could be considered as a functional additive material for the manufacture of anti-obesity products, and 40% RB addition would be the physiologically effective level.

      • KCI등재

        북극 토착소수민족 아이들의 민족정체성 형성의 문제: 사하공화국을 중심으로

        김자영 ( Kim Ja Young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1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5 No.2

        러시아의 북극은 지구상 그 어떤 지역보다 다양한 토착민족들이 오랜 세월 삶의 영역을 이어나가고 있는 장소이다. 북극의 토착민족들은 자신들만의 경제활동, 관습, 독특한 문화, 혹독한 기후를 이겨내며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삶의 방식을 통해 살아왔고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 북극권 원주민들은 북극의 기후변화로 인한 직접적인 타격 뿐만 아니라 자원과 영토의 개발, 이주민 문제, 새로운 문화와의 융화라는 문제 속에서 환경의 훼손과 자신의 땅을 활용하면서 이익의 분배에서는 소외되는데서 오는 상실감, 민족 언어 및 전통문화의 소멸·해체문제, 법률적 보호의 미비 등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다. 인간의 거주공간으로써 북극을 바라보는 시점은 생물적 다양성을 보존하고자 하는 것과 유사하게 문화적 다양성을 보존하는 것이, 지난 세기보다 오히려 더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한 다양성 속에 살고 있는 현 인류에게 보다 통합적이고 건강한 사고와 합의의 고정을 배우게 하는 길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세계화라는 작금의 시대적 현상, 그리고 다민족, 다문화 국가인 러시아 전역의 이른바 ‘러시아화’에 대한 기대를 버리지 못한 러시아 국내의 목소리가 북극권에 사는 북부 토착민족이 민족어와 문화를 잃어버리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하고 쉽지 않은 상황 속에서 토착민족 사이에서는 퇴보되어가고 있는 어린 세대의 민족정체성을 확립하는 것만이 오랜 세월 가혹한 지리적, 기후적 환경 속에서도 민족고유의 전통을 잃어버리지 않고 살아온 자신들의 정체성을 유지·발전시킬 수 있는 길이라고 믿으며 아이들의 정체성을 고취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북극권 토착소수민족의 아이들에게 민족정체성을 일깨우고 확립하도록 하는 방법에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방식의 전망은 어떠한지 사하공화국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Russia’s North Pole is a place where indigenous peoples more diverse than any other region on the planet continue their lives for a long time. The indigenous peoples of the Arctic have lived and lived through their own economic activities, customs, unique culture, and a way of life in harmony with nature, overcoming harsh climates. However, at present, indigenous peoples of the Arctic circle are not only directly hit by the Arctic climate change, but also the development of resources and territories, the problem of migrants, and the problems of fusion with new cultures. They suffer from a variety of problems, such as a sense of loss that comes from the result, the disappearance and dissolution of national language and traditional culture, and lack of legal protection. The viewpoint of looking at the North Pole as a living space for humans is similar to the attempt to preserve biodiversity, and preserving cultural diversity is more integrated and healthy thinking and consensus for the present humanity living in a more complex and unpredictable diversity than in the previous century. It is judged that this is the way to learn the fixation of. However, the current phenomena of globalization, and the voice of Russia, which has failed to abandon the anticipation of the so-called’russianization’ of Russia, a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country, has caused the northern indigenous peoples living in the Arctic Circle to lose their national language and culture. In such a complicated and difficult situation, it is only to establish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younger generation, which is being deteriorated among indigenous minorities, to maintain their own identity, which has lived without losing the unique tradition of the nation even in the harsh geographical and climatic environment for many years. We believe that it is a way to develop, and we are looking for ways to inspire children’s identity and to sustain it stabl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children of indigenous minorities in the Arctic Circle can awaken and establish national identity, and what the prospects of this method are, focusing on the Republic of Sakha.

      • KCI등재후보

        관할권 중첩수역에서 한·일 간 해양관할권 행사 문제

        김자영 ( Ja-young Kim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일본공간 Vol.20 No.-

        관할권 중첩수역은 해양경계가 획정되지 못하였다 할지라도 공해가 아니므로, 연안국의 관할권에 속한다. 따라서 관할권 중첩수역에서 연안국은 유엔해양법협약에 따라 일정한 권리와 의무를 가진다. 즉 배타적 경제수역 또는 대륙붕 중첩 수역에서 연안국은 주권적 권리를 가지는 동시에 `잠정약정`을 체결하기 위해 신의 성실하게 교섭할 의무와 최종경계획정에 대한 합의에 이르는 것을 위태롭게 하거나 방해하지 않도록 노력할 의무를 부담한다. 그럼에도 연안국들은 관할권 중첩수역에서 국내법을 통해 관할권 행사의 범위를 설정하고 제3국과의 관계를 규정하여 관할권을 행사한다. 다만, 이 경우 일방적 관할권 행사로 인한 상대국과의 갈등이 불가피하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동해와 남해·동중국해 한·일 간 배타적 경제수역 및 대륙붕 중첩수역에서 해양경계를 최종적으로 합의할 때까지, 양국이 행사할 수 있는 관할권 행사의 범위와 한계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한·일간 관할권 중첩수역에서 1974년 대륙붕 협정 및 1998년 신한일어업협정 등의 잠정약정 시행의 경험과 아직 잠정약정으로 다뤄지지 않은 해양관할권 행사와 관련하여 발생가능한 문제를 검토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Areas of overlapping maritime claims are not high seas, and Coastal States have rights and obligations in these areas according to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Coast States with overlapping EEZ or continental shelf claims have a good faith duty to seek provisional arrangements and the duty to avoid jeopardising or hampering the reaching of a boundary agreement under article 74/83 para(3). Coastal States make unilateral attempts to make scope and application of their jurisdiction into a law and have legal basis for unilateral exercising their maritme jurisdiction. In this situation, unilateral enforcement can spill over into maritime conflict. Korea and Japan have overlapping jurisdictional claims in the East Sea and the East China Sea. This article considers diverse problems regarding exercise of conflicting jurisdiction between Korea and Japan by the time of final delimitation of the EEZ and continental shelf from all angles.

      • KCI등재

        A Study on the Tectonic Quality of Peter Zumthor's Works with a focus on materials, joint, break, structure and context

        Kim, Eunice Ja Young(김자영)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1 No.6

        The aim of this study is i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use of material and the tectonic and their influence on the spatial quality by analyzing Peter Zumthor"s projects as case studies. In the research, Zumthor"s choice of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detail and structure)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ontext were analyzed in order to illustrate Zumthor"s approach in making a strong tie with the locality. Three of Zumthor"s projects of different sizes and programs were chosen to heighten the sensitivity of Zumthor"s unique working method for each project. Peter Zumthor"s architecture is neither superficial nor visually complex. On the contrary, he aims to express through the use of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a unique relationship with the physical context, social context and most importantly the actual experience of the space itself.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wards increasing the awareness and the interest in the materiality and the tectonics which are the fundamentals in spatial experience and spatial identity.

      • KCI등재

        A Study on the Spatial Effect of Material and Light: Focusing on Peter Zumthor’s Projects

        김자영(Kim, Eunice Ja You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1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0 No.5

        최근의 현대 건축에서는 재료의 물성과 구축성이 두드러지는 프로젝트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의 배경에는 사양한 요인들이 있을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공간성(性)에 대한 근본적이고 회귀가 중요한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피터 줌터의 건축은 현란한 조형적 효과, 표현만을 위한 기술적 장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그의 건축은 장소와의 관계, 문화적 context 상에서의 맥락, 그리고 공간의 근원적인 경험을 주요한 매체로 사용 한다. 그리고 이러한 특수성은 대체적으로 빛과 재료의 고유한 적용으로 나타난다. 이는 장소와 문화의 특성을 관습적인 형태나 화려한 표현으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감’의 구현으로 구축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은 피터 줌터의 건축에 나타나는 빛과 재료의 구축 방식, 그리고 공간의 경험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의 건축 구축 방식은 일견 간단해 보일 수도 있으나 실제로는 프로젝트마다 고유한 빛과 재료의 적용과 텍토닉(tectonic)이 내재 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점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그러한 구축방식이 궁극적으로 어떻게 공간의 경험과 관계를 하는지 고찰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인 사례는 Bruder Klaus Chapel과 Kolumba Museum으로 한정된다. 프로그램은 다르지만 빛을 사용하여 관람자의 공간경험과 공간인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다루면서 결론 맺는다.

      • KCI등재

        청소년 인권의식의 형성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

        김자영 ( Ja Young Kim ) 한국법교육학회 2011 법교육연구 Vol.6 No.2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민주화에 대한 시민적 요구 속에서 우리 사회에서는 인권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이에 따라 인권에 대한 법과 제도가 상당부분 마련되었지만, 인권의식은 아직 이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가 많다. 인권의식은 자신을 포함한 사회 구성원이 가진 인권에 대해 인식하고, 자신과 타인의 인권을 존중하며, 이를 적극적으로 수호하고 옹호하려는 태도이다. 이러한 인권의식은 크게 인권판단력, 인권감수성, 인권행동의사로 구성되어 있다. 인권판단력은 인권과 관련된 지식과 인권의 옳음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판단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인권감수성은 인권 침해 상황속에 놓인 타인의 입장에서 공감하고, 불편함이나 괴로움, 분노 등을 느끼는 감정을 의미한다. 인권행동의사는 인권 침해 상황을 개선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행동에 참여하려는 의지를 말한다. 인권의식은 이 세 가지 요소가 결합하여 형성하는 복합적인 태도이므로, 이 세 가지 요소의 범주(높음, 낮음)에 따라 여덟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인권의식의 여덟 가지 유형은 수호자형, 관망형, 온정형, 무기력형, 원칙형, 무감각형, 맹목형, 무관심형으로 이러한 유형분류를 토대로 청소년의 인권의식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의 인권의식의 형성 및 유형에 대한 분석은 인권교육의 방향과 내용, 방법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된다. 청소년의 인권의식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인권교육의 문제점을 점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인권의식 함양을 위해 어떤 영역이 어떻게 보완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실천적인 해결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민주주의 사회에서 인권을 존중하는 민주시민의 양성에 기여할 수 있다. In recent years, concerns of human rights goes on increasing while demanding for democratization in our society. Accordingly, the legal system of human rights has considerably been enacted, but the human rights consciousness fell short of the system. Human Rights Consciousness is the attitudes that is cognized the human rights of people and is respected the human rights of themselves and other people, and is defended the human rights positively. This Human Rights Consciousness is composed of three dimensions: Human Rights Judgement,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Human Rights Behavioral Intention. The Human Rights Judgement means knowledge related human rights and ability to evaluate by principle that human rights are correct.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is emotion that empathies for other people`s situation in human rights abuse and that feels uncomfortable, pain, and anger. The Human Rights Behavioral Intention means willingness to improve and to solve the human rights abus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se three requisites for human rights consciousness, the human rights consciousness can be categorized into eight types. The types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are guardian type, wait-and-see type, compassion type, lethargy type, principle type, insensibility type, and blindness type. These classification helps to analyze of the situation and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youth`s human rights consciousness. The study on the formation and typology of youth`s human rights consciousness can serve to seeking directions, contents, and methods of human rights education. That is,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find practical solutions to be raising youth`s human rights consciousness. Eventually, it will be contributed to educate citizens who respect the human rights in democratic society.

      • KCI등재

        베트남전쟁 소설에 나타난 기억의 서사 분석 - 방현석의 「존재의 형식」, 「랍스터를 먹는 시간」을 중심으로 -

        김자영(Kim, Ja-yo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38 No.-

        본고는 방현석의 「존재의 형식」과 「랍스터를 먹는 시간」에 나타난 베트남전쟁에 관한 기억의 서사에 관해 분석하였다. 오늘날 한국과 베트남은 1992년 수교 이후 사회 경제 문화적으로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과거 두 양국이 대립할 수밖에 없었던 전쟁은 오늘날 과거 사건으로 존재한다. 방현석 소설에 등장하는 베트남인은 전쟁에 참전하여 조국의 통일을 위해 싸운 인물로 등장한다. 소설 속에서 그들은 가족과 동료를 잃은 슬픔과 아픈 기억을 현재에까지 안고 살아간다. 「존재의 형식」에서는 베트남전쟁에 관한 기억이 처음에는 개인 한 사람만이 전유하는 기억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이러한 기억은 작품의 마지막에 가서는 한국인과 베트남인 모두가 전쟁의 기억을 함께 공유하는 모습으로 나아간다. 「랍스터를 먹는 시간」에서는 베트남전쟁을 바라보는 작가의 한층 더 고양된 의식을 살펴볼 수 있다. 베트남전쟁에서 한국군이 저지른 민간인 학살과 라이따이한 문제를 방현석은 「랍스터를먹는 시간」에서 전면에 내세운다. 그러면서 그동안 한국 정부가 타자화 한 라이따이한과 민간인학살 문제가 더 이상 타자화 된 사건이 아님을 이 소설에서 보여준다. 이는 앞으로 우리가 함께 애도하고 해결해야 할 사건으로서 기억되어야 한다고 역설하는 것이다. 우리 모두가 베트남전쟁 중에 발생한 문제를 현재 우리의 문제로 일체화 했을 때라야 비로소 진정한 세계인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이 소설은 보여준다. In this paper, the narratives of the memories of the Vietnam War in Bang Hyeon-seok’s 「Form of Being」and 「The Time to Eat a Lobster」 were analyzed. Writer Bang Hyeon-seok, who usually created labor novels, wrote this short story and this medium-length story with the Vietnam War as the main frame. The fact that Vietnam was set as the spatial background of the two works proves that their main subject was the event of the Vietnam War. Today, Korea and Vietnam have been actively making exchanges with each other socially, economically and culturally since the establishment of a diplomatic relation in 1992. At this present point of time, the war where the two nations had no choice but confront against each other in the past exists only as an affair in the old days. The Vietnamese in the Bang Hyeon-seok’s novel is a person who participated in the war before and fought for the unification of his own country. In the situation of the war, they have lost their family and friends. They still live in pain with the memories and the wound and hurt of the war. In 「Form of Being」, to this Vietnamese, his memories of the Vietnam War in the past appear only as the memories that the person possesses exclusively as an individual. At the end of the work, these exclusively possessed memories of the war become shared by all Koreans and Vietnamese. In addition, 「The Time to Eat a Lobster」shows the writer’s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Vietnam War. Bang Hyeon-seok brought the civilian massacre by Korean soldiers in the Vietnam War and the problem of Lai Daihan to the forefront through this novel. And he says that Lai Daihan and the civilian massacre that have been otherized by the Korean government so far cannot work just as the memory of others any more. This novel shows the expansion of the writer’s consciousness that all of us should integrate the problems that occurred during the Vietnam War as our present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