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힌턴 미스터리의 『적절한 균형』: 전지구적 자본주의와 자급적 공간

        김임미 ( Kim Immi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본 논문은 인도 작가 로힌턴 미스터리(Rohinton Mistry)의 소설 『적절한 균형』을 통해 1970년대 중반 국가비상사태가 선포된 상태의 인도 사회에서 다양한 모순과 억압체계로 고통 받는 하층민들의 삶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전지구적 자본주의 체제가 이전과는 양상을 달리하며 심화됨에 따라 더욱 비참해진 상황 속에서도 인도 하층민들이 능동적으로 삶을 생산하는 자급적 공간의 창출 양상과 과정을 조명한다. 결국 주인공들이 함께 모여 음식과 서로에 대한 안부와 웃음을 나누는 디나의 오빠네 부엌은 이 하층민들의 의지 회복의 장소이자 생명 생산의 자급적 장소라 할 수 있다. 일상화된 제도적 차별 속에서도, 국가사업의 폭력적 수행으로 신체가 훼손당하고 목숨을 잃는 현실 속에서도, 서로에게 선물인 존엄한 인간관계는 가능하고, 이 관계는 자율적인 삶의 생산이 가능한 자급적 공간에서만 가능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자존과 자급의 삶을 위한 자급적 공간의 모색은 우리의 지속적인 과제일 수밖에 없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ves of subalterns suffering from various contradictions and oppressive systems in Indian society under the Emergency in the mid-1970s in the Indian novel, A Fine Balance by Rohinton Mistry. More specifically, as the contradictions of global capitalism have intensified with its faces and colors timely changing, the aspects of the creation and the process of the subsistence space reflecting the subsistence perspective which promotes the autonomous production of life in the novel can be found. After Dina, Maneck, Ishivar, and Om who lived together in Dina`s old apartment were robbed of the house and the tailoring work, and mutilated their bodies, and even Maneck committed suicide, they gather in the kitchen of Dina`s elder brother`s in every weekday, along with Dina`s old apartment, where transforms into a space for humanity, self-pride, and subsistence perspective. In addition, this can be solely possible in the subsistence space for an independent and autonomous production of subsistence life. The search for a subsistence space, hence, for the subsistence perspective is a lifelong task.

      • KCI등재

        『월든』을 통해 본 19세기 전반 미국의 근대화 양상

        김임미 ( Immi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1830년대에 미국은 산업화와 근대화 과정을 겪게되고 그 토대는 1820년대 운하와 철도 등의 건설에 힘입은 바가 크다. 『월든』의 저자 헨리 데이빗 소로우는 이 미국 근대화의 과정을 자신의 고향 콩코드에서 온 몸으로 목격하고 감지하게 된다. 본 논문은 『월든』에 나타나있는 당시 미국의 산업화 과정 특히 철도와 운하 등 산업기반시설의 건설과 자연 파괴, 그에 따른 인간들의 돈과 땅에 대한 무한 탐욕의 양상을 살펴보고, 근대화 과정에서 자연 파괴와 인간성 훼손이 어떻게 연동되어 있는지를 소로우의 호소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월든 호수로 대변되는 자연이 인간들의 파괴와 훼손에도 불구하고 스스로의 순수성을 지키면서 생명력과 탄성을 회복해가는 방식을 배우게 될 것이고, 이를 통해 포스트휴먼 시대의 참다운 인간의 삶을 재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자연 없는 인간은 불가능하다는 믿음이 여전히 유효하다면 이는 불변의 연구과제일 것이기 때문이다. America underwent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in 1830s owing to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such as canals and railways in 1820s. Henry David Thoreau witnessed and perceived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America in his hometown, Concor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industrialization of American society particularly by the national infrastructures such as railways and canals construction and its harming to nature, which accelerates the endless yearnings for money and land, and reassu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struction of nature and damage of humanity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American. In this process, we can learn the way nature keep its dignity and purity redeeming its vitality and flexibility grom some repetitive attacks and harassment of humanity, which can lead to reconsideration of the truly human in the era of posthuman society. As long as the belief that there’s no human who can live without nature lasts for some time, it can be in the field of limitless research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