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19년 深河戰役의 미결 지리 고증

        김일환,이승수,신춘호,임문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This paper summarized the detailed historical research results on the geographic data of a certain section in the battlefield of Sarhu broke out in March 1619. The relevant section is from ‘Pingdingshan Mountain’ from which 13,000 Joseon soldiers started marching in Niumaoling pass to about 40 km out of Hetualacheng fortress where about 4,000 to 5,000 Joseon soldiers who survived in the battle stayed as prisoners. In this geographic space did the tragic event occur for 8 days from Feb. 28 to Mar. 6, which was not too much to take a lesson for a long time and was very piercing when it was reviewed even today, 400 years from that time. However, the event was nearly forgotten by incompetent power and even moral meaning as well as tremendous pains were lost. This paper aims to remind the tarnishing history and furthermore provide the opportunity to ruminate the history by accurately criticizing and correcting the place of such traged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field investigation as well as field survey, several new information was acquired. In spite of field trips twice, the old Niumaoling pass couldn’t be perfectly reconfigured. However, this paper made definite progress for thorough reconfiguration through the further study. The theory of Wangcongan(王 從安) was applied to several spots including Niumaoling Pass. It was identified that ‘Shimha’ would be the village name not the river through the records in documents. It was newly identified that 8,000 to 9,000 Joseon soldiers died and remaining 4,000 to 5,000 Joseon soldiers escaped to Pushan Mountain and the field near Pushan Mountain. Such result is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 of this paper. Moreover, the detailed ground for argument and opinions on prisoners’ path of movement which was not discussed in detail up to now were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Pain and grief generated by this battle are still talking to us up to now, even 400 years since then. Furthermore, the incompetence and hypocrisy of the power who forgot and ignored this battle are still tormenting people as they were. This paper was prepared to listen to what pain and grief wanted to say and to face up to incompetency and hypocrisy. 이승수 · 김일환 · 신춘호 · 임문성, 2019, 1619년 심하전역의 미결 지리 고증, 183 : 171~201 이 논문은 1619년 3월에 있었던 심하전역(深河戰役)의 현장 중 일부 구간에 대한 정밀 지리 고증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이 구간은 조선군이 우모령(牛毛嶺) 행군을 시작한 ‘平頂山’부터 조선군 포로가 끌려가 머문 ‘奴城(赫圖阿拉城) 밖 10리 지점’까지이다. 2월 28일에서 3월 6일에 이르는 8일 동안 이 지리공간에서는, 오늘날 돌아보아도 가슴 아픈, 그리고 두고두고 교훈으로 삼아도 지나치지 않을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났다. 이 비극의 장소를 정확하게 비정함으로써, 희미해진 역사를 환기하고 반추하는 계기를 마련하자는 것이 본고의 취지이다. 문헌 검토와 현지 조사에 현장 탐문을 더하여 몇 가지 새로운 사실을 알아냈다. 深河가 강이 아닌 마을의 이름일 가능성을 확인했다. 8,9천 명의 조선군이 전사하고, 나머지 4,5천 군사들이 피신했던 장소는 釜山과 그 아래 벌판으로 비정했다. 조선군이 포로가 되어 끌려간 길을 처음으로 구체적인 논거와 함께 의견을 제시했다. 이 전투로 발생한 고통과 비애는 400년이 지난 오늘까지 여전히 우리에게 말을 걸어오고, 이 전투를 외면·망각했던 권력의 무능과 위선은 여전하다. 고통과 비애의 말을 들어주고, 무능과 위선을 직시하는 것, 이것이 본고를 작성한 이유이다.

      • DEM 기반 노면용 타이어 모델에 대한 연구

        김일환,강대오,전정일,이수진,이규진 (사)한국CDE학회 2015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하계

        For vehicle dynamics problem, a road profile is presented through two factors - road geometry & friction coefficient. But unlike the normal road, more factors besides these too factors are required to apply to the soft ground consisting of sand or gravel. Currently, the soft ground model is presented through DEM(Discrete Element Method) which is actively researched in the number of studies. However, for an application of DEM to the soft ground model, a new tire model is needed for calculating contact force -longitudinal/lateral force - between road and tire. In this study, tire model is made to calculate longitudinal/lateral force, using slip ratio vs. vertical force & side slip angle vs. vertical force respectively, and this model is validated through DEM road profile.

      • Pearls in Surgical Dermatology

        김일환 메디메디아코리아(주) 2004 피부과 전문의를 위한 Update in Dermatology Vol.2 No.4

        피부외과 술기는 기존 외과 수술과 다른 피부과적 특성을 보인다.즉, 대부분의 시술이 office-based surgery 위주로 발전하고 있고 피부과적 관찰력으로 새롭게 보고된 매우 다양한 시도와 경험이 다른 피부과 의사들에 의해 검증되고 공유되면서 더욱 발전하고 있다. 주요 외국 피부과 저널에는 이러한 practical surgical know-how가 surgical pearl이나 gem 등의 형식으로 지속적으로 연재되어 경험이 중요한 피부외과수술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앞으로 나아갈 길인 피부외과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는 정보 교환의 열린 광장이 필요하다. 국내 피부과 잡지에도 피부과 시술이나 처치와 관련된 surgical pearl을 정기적으로 소개하는 장이 생기길 기대한다. 이번 기회에 그 동안 저자가 경험한 내용과 국제 저널들(JAAD, Dermatologic Surgery 등)에 소개된 surgical pearls 중 일부를 요약하거나 한 장의 그림 형식으로 알기 쉽게 정리하였다.

      • SCOPUSKCI등재

        중루유문 (重壘幽門) 3예 보고

        김일환,안성훈,박승국,문신길,김약호,김준택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1983 Clinical Endoscopy Vol.3 No.1

        So-called, the double channel pylorus has been, relatively rarely, reported through out the world. All reported cases were almostly those of gastroduodenal fistula as a complication of peptic ulcer disease. The congenital forms of double pylorus were reported even more rarely. We found three cases of double channel pylorus in 25,000 cases endoscopy done at our unit. All those three cases were thought to be acqired form endoscopically, radiographically and histologically. One of those was undergone to operative resection because of uncontrollable bleeding and the others were on medical theraphy with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주민등록법에 대한 헌법적 고찰

        김일환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04 성균관법학 Vol.16 No.3

        Wir benutzen heute etwas, das die Menschen sich früher wünschten, und es werden wohl sicher in Zukunft die Dinge passieren, von denen die Menschen heute träumen. Das menschliche Zusammenleben verändert sich schon heute und auch weiterhin in der sogenannten "Technologiegesellschaft". Dieser Prozeß ist allerdings durchaus zweischneidig : Er birgt ebenso die Chance weitergehender individueller und gesellschaftlicher Emanzipation wie die Gefahr der Verhinderung und Unterdrückung eben dieser Vorgänge. Ziel ist es, daß die Technologiegesellschaft sich in einer mit dem Verfassungsrecht verträglichen Weise entwickelt. Diese Probleme betreffen gerade die moralische Grundlage einer Gesellschaft. Daher müssen wir gerade nachdenken, wie die Einzelne in der hoch entwickelten technologischen Gesellschaft effektiv geschützt werden soll. Daher müssen wir nachdenken, wie die vergangene verfassungswidrige Gesetze beseitigt geworden soll und gleichzeitig die Grundrechte in der technologische Gesellschaft effektiv geschützt geworden muß. In dieser Hinsicht müssen wir die Verfassungswidrigkeit des Einwohneranmeldungsrechts lösen. Dann können wir weiter die Verfassungswidrigkeit der Personenkennzeichennummner u. s. w. in dem Einwohneranmeldungsrecht überprüfen.

      • KCI등재

        개화기 잡지 코퍼스의 구축과 활용

        김일환,이도길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0 개념과 소통 Vol.0 No.25

        이 연구는 개념사에 대한 계량적 연구를 위해 기획된 개화기 잡지 코퍼스의 구축 과정을 소개하고, 잡지 코퍼스의 일부를 활용한 실험적 연구 결과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개념은 언어를 매개로 표출되므로, 언어의 사용 양상을 밝히는 것은 곧 개념의 변화를 포착하는 것과 직결된다. 따라서 개념사 연구를 위해서는 통시적인 대규모언어 자원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2018년부터 수행되어온 24종의 개화기 잡지 코퍼스를 구축해 온 과정을 상세히 소개하면서 개화기 잡지텍스트가 가진 여러 난제를 해결해 온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한글 표기의 변환 문제, 한글-한자 변환과 관련한 문제 등이 텍스트 변환 과정에서일으키는 문제에 대해 지적하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한편 구축된 개화기 잡지 코퍼스의 일부인 『소년』과 『창조』 텍스트를 대상으로 기초적인 계량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향후 개념사 연구의 계량적 접근을 위한 사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concern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corpus of magazines from the Korean age of enlightenment. Its purpose is to support quantitative research into conceptual history, and the results of an initial study based on a portion of the magazine corpus is also presented here. Concepts are reflected through language use, so that exploring how language usage changes reveals the history of conceptual changes. The creation of a vast diachronic language database is thus an essential tool for research on conceptual history. This paper details the process of capturing texts from 24 magazines published during the age of enlightenment and discusses some problematic issues which arose. Some Korean language texts were written in the indigenous Hangeul script, and some in Chinese characters, with each presenting a variety of problems for which solutions are actively being sought. Also, as an illustrative example for further quantitative research on conceptual history, a basic quantitative analysis is provided for the terms ‘Sonyeon (boy)’ and ‘Changjo (creation),’ using a portion of the newly established corpus of magazines from the age of enlighte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