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rom Revolt to Order; The Career of Walter Lippmann`s Progressivism, 1913-1914

        김일년 ( Ilnyun Kim )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13 미국학 Vol.36 No.1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interpret Lippmann`s progressive thought. By comparing his early major work Drift and Mastery (1914) with his debut book A Preface to Politics (1913), this article argues that his intellectual journey can be divided into two closely related but yet distinctive phases. Whereas Lippmann believed in 1913 that the search for a new order should be waited until liberation from the old order was fully accomplished, in 1914 he clearly revealed the belief that the old order was already demised. In this regard, this article delineates the career of Lippmann`s progressivism as the journey from a revolt against an old order to a search for a new order. By tracing his intellectual trajectory of the same era, it also maintains that Lippmann`s main object was to resolve a series of tensions between desire for liberation and for order, between liberalism and collectivism, and between the ideal of self-government and the human epistemological limitations. Lippmann, employing the concept of hypothesis, consistently struggled with those tensions. By giving a more complex picture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 Preface to Politics and Drift and Mastery, and situating those books within its intellectual lineage, this article demonstrates both the protean and coherent nature of Lippmann`s progressivism.

      • KCI등재

        대서양 좌측통행 :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민주당 진보파와 영국 노동당 좌파는 어디서 만났는가?

        김일년 ( Kim Ilnyun ) 영국사학회 2021 영국연구 Vol.45 No.-

        이 글은 2차 세계대전 직후 영국 노동당 좌파와 미국 민주당 진보파 사이의 교류와 그것이 양국 정치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이들 영미 진보정치세력 사이의 교류는 제 3세력이라는 개념을 정치지리학적 전략으로부터 정치경제학적 이념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이었다. 1940년대 중반 노동당 좌파 의원들은 영국이 미국과 소련 사이에 제 3세력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사이에서 사회주의라는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이념적 선언임과 동시에, 영국이 미소 간 냉전에서 독립된 서유럽을 이끌어야 한다는 외교 전략이었다. 냉전 초기 미국인들에게 서유럽의 중립이란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선택지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주당 진보파는 정치경제학적 측면에서만큼은 미국이 영국 노동당을 좇아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사이에 난 제 3의 길을 추구해야 한다고 설파했다. 이러한 모습은 노동당으로 하여금 미국 주도의 냉전 질서를 보다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만들었다. 만약 노동당이 끝까지 냉전을 거부한 채 독립된 서유럽의 정치지리학을 고수했다면, 만약 민주당이 미국의 예외성을 내세우며 사회주의의 정치경제학을 외면했다면, 클레멘트 애틀리와 해리 트루먼이 양국에서 추진했던 일련의 개혁 과제들은 훨씬 더 험난한 과정을 겪어야 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들 영미 진보정치세력 사이의 ‘대서양 좌측통행’은 자본주의의 착취와 공산주의의 압제 사이에 새로운 길을 개척하기 위한 이념적 노력이자 냉전의 척박한 토양에서 두 나라 사이의 ‘특별한 관계’를 키워 나갔던 외교적 움직임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essay explores the transatlantic interaction between the liberals of the American Democratic Party and socialists of the British Labour Party in the years following World War Ⅱ. Drawing on evidence from archival collections in both countries as well as newspapers, personal memoirs, and party records, this essay demonstrates that these Anglo-American progressive political forces had converged on a similar position at the onset of the Cold War. At the heart of their ideological convergence was the reinterpretation of the “Third Force” from a form of political geography to that of political economy. Coined by the British Labour leader Aneurin Bevan during WWII, the Third Force originally connoted an ambitious diplomatic strategy, envisioning Britain-led “socialist Europe” that would be autonomous from capitalist America and communist Russia. In the late 1940s, a group of American liberal Democrats, especially those from the Americans for Democratic Action, recast the Third Force. They heartedly embraced the Third Force’s ideological dimension―democratic socialism between capitalism and communism―while rejecting its diplomatic implication―an independent Europe neutral in the Cold War. Through their transatlantic conversation, the British socialists had gradually approached to the logic of their American friends, assuming that the Anglo-American democratic left could together construct a progressive third force across the Atlantic Ocean rather than Western Europe. Since the liberals and socialists were key members of the ruling party in each country, their convergence mad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urse of progressive politics in the United States and Britain. The Democratic Party pushed Harry Truman’s Fair Deal accepting the Labour Party’s political economy of democratic socialism, while the Clement Attlee government advanced a socialist experiment within the Cold War political geography of the free world.

      • KCI등재

        특별한 관계, 엇갈린 길: 월터 리프먼과 해롤드 라스키, 그리고 양차 대전 사이 미국과 영국 진보정치의 교차로

        김일년 ( Kim Ilnyu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20 사총 Vol.101 No.-

        본 논문은 미국의 언론인 월터 리프먼과 영국의 정치학자 해롤드 라스키의 사상적 경로를 비교분석하고 그것이 20세기 초반 미국과 영국 정치사에서 어떤 함의를 지니고 있었는지 탐구한다. 1915년 처음 만난 이후부터 2차 세계대전 직전 이념적 차이를 이유로 결별할 때까지, 두 사람의 뒤얽힌 정치적 여로는 하나의 뚜렷한 궤적을 보여준다. 그것은 국가의 역할에 대한 이들의 입장이 자유주의와 사회주의의 공유지반에서 출발하여 각각의 양극단을 향해 서로 엇갈리며 나아갔다는 사실이다. 리프먼은 국가 주도의 사회 개혁을 부르짖는 진보적 자유주의자로 정치 무대에 등장한 이후, 1920년대 다원주의의 전도사로, 뉴딜 초기에는 케인스주의의 화신이 되었다가, 1930년대 후반에 들어 소위 ‘자유시장’의 신성함을 신봉하는 보수주의자로 변모해나갔다. 반면 라스키의 경우 개인의 자율성을 국가의 주권보다 우선하는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자’로 시작하여, 점차 페이비언 사회주의가 내세웠던 엘리트 주도의 점진적 개혁의 방향으로 이끌리다가, 1930년대 중반 이후 공산주의 혁명과 무산계급 독재를 옹호하는 마르크스주의자가 되었다. 리프먼의 자유주의가 국가의 적극적 역할에 대한 요구에서 출발해 국가의 압제에 대한 두려움으로 이동해 나갔다면, 라스키의 사회주의는 반대로 다원주의의 가능성에서 중앙집권의 필연성으로 흘러갔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두 사람의 이러한 엇갈린 경로를 당대 미국과 영국 진보정치 흐름 속에 위치시키면서, 리프먼과 라스키사이의 개인적이고 사상적인 교류가 두 사람이 자국 정치를 분석하고 그것에 참여하는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intertwined political journeys of American journalist Walter Lippmann and British political theorist Harold Laski during the interwar period. Situating their interaction within American and British political context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ir divergent ideological paths were shaped by and helped reshape the divergence of Anglo-American progressivism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Since they had met in 1915, Lippmann and Laski maintained close friendship and exchanged ideas on a wide range of issues in their countries’ politics. At the heart of this transatlantic conversation was the role of central state in reforming capitalism. Before World War I, their ideas was overlapped closely with each other, reflecting the convergence of liberalism and socialism in Anglo-American politics of that time. Through their interactions as well as engagement with their countries’ political developments, their views of state diverged steadily. Lippmann, who began his career as a statist liberal attached to Theodore Roosevelt’s New Nationalism, became increasingly obsessed with the danger of central state to individual freedom. Conversely, Laski, once a self-proclaimed libertarian socialist upholding political pluralism, gradually moved toward Fabian socialism’s state-centered, top-down approach. On the eve of World War Ⅱ, Lippmann embraced the neoliberal notion of free market, as the rise of totalitarianism seemed to confirm his concern about a menacing strong state, while Laski converted to revolutionary Marxism concluding that reforming capitalism within the existing system was a hopeless project. As this article aims to demonstrate, their protean ideologies and eventual divergence illustrates how American liberalism and British socialism developed a set of common principles and why and where this Anglo-American progressivism collapsed.

      • KCI등재
      • 미국과 두 개의 중국 - 냉전 시기 자유민주주의가 낳은 두 개의 국가론 -

        김일년 ( Kim Ilnyun )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2024 평화들 PEACES Vol.3 No.1

        이 논문은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이어진 초기 냉전 시기 동안 슐레진저, 갤브레이스, 볼즈 등 미국 민주당 인사들은 자유민주주의 이념을 진보적으로 재해석하여 그것을 동아시아의 냉전에 적용하는 양상을 추적한다. 흔히 자본주의를 정당화하는 반공의 이념 정도로 인식되었던 미국의 냉전 자유주의(Cold War liberalism)는 이 시기 반공 좌파를 자처했던 인물들의 손을 거쳐 사뭇 진보적인 함의를 가지게 되었다. 그렇게 재해석된 자유주의를 동아시아의 냉전에 적용했을 때, 미국 자유주의자들은 익숙한 소련 공산주의가 아니라 낯선 중국 공산주의를 마주했다. 그들은 전에 예상하지 못했던 문제에 봉착했고, 따라서 전에 상상하지 못했던 해법을 구상해야 했다. 그 결과 중국 문제에 대한 두 국가 해법, 즉 두 개의 중국 정책(two China policy)이 탄생했다. 휴전선과 베를린 장벽, 요르단강, 대만 해협의 어제와 오늘을 보면 자유민주주의와 두개의 국가는 서로 쉽게 조응하는 개념이 아니다. 그러나 냉전 초기 미국의 진보적 자유주의자들에게 그것은 동전의 양면이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merican origins of the notion of two Chinas by investigating the political and intellectual history of Cold War liberalism the years immediately after World War II. It approaches this narrative through the ideas and activities of three non-communist left liberals of the American Democratic Party: Arthur Schlesinger Jr., John Kenneth Galbraith, and Chester Bowles. These and other progressive liberals of early postwar America reinterpreted the ideology of Cold War liberalism as a tool to oppose not only communism but also all forms of totalitarianism-including rightwing authoritarianism. With this reinterpretation, they criticized the U.S. Cold War policy in East Asia and supported grassroots social revolutions of the region. In so doing, they articulated their version of two state solution for the China question, which made the liberals possible avoid both the Communist proletarian dictatorship and Nationalist rightwing despotism. This early Cold War era’s liberal solution made a long shadow in the history of America-China relations.

      • KCI우수등재

        행복한 삶, 위대한 사회 -풍요의 시대에 개혁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김일년 ( Kim¸ Il-nyun ) 한국서양사학회 2020 西洋史論 Vol.0 No.147

        이 글은 1950년대 후반 미국의 경제학자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가 제시한 “풍요의 사회”에 대한 비판이 1960년대 중반 린든 존슨 대통령이 추진했던 “위대한 사회” 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한다. 1952년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은 공화당의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에게 패배했고, 이로써 프랭클린 루스벨트부터 20년 간 독점했던 정권을 상실했다. 민주당에게 이 패배는 일종의 성공이 낳은 역설이었다. 루스벨트의 뉴딜과 해리 트루먼의 페어딜로 대표되는 민주당 정부의 복지 및 경제 정책들은 미국을 대공황의 충격으로부터 구출하여 전후 장기호황의 시대로 인도했다. 그러나 이 새로운 풍요의 시대에 빈곤의 극복이라는 미국 개혁진영의 오랜 과제는 설득력과 적실성을 잃어갔다. 일부 민주당 인사들은 새 시대에 맞는 새로운 개혁과제로 경제성장과 이를 통한 국민 생활수준의 증진을 제안했다. 갤브레이스를 비롯한 몇몇 인사들은 미국의 당면과제는 경제성장이 아니라 시민 개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 과업은 오직 건강, 문화, 주거, 교통, 교육, 환경 등 모든 공공복지의 영역을 확충하는 것으로만 실현될 수 있을 것이었다. 이러한 갤브레이스의 주장은 린든 존슨에게 큰 영감을 주었으며, 그가 후일 위대한 사회라는 이름으로 추진했던 개혁정책들에 반영이 되었다. 갤브레이스의 풍요의 사회에서부터 존슨의 위대한 사회까지 이어진 이 글의 이야기는 개인의 행복한 삶과 사회의 공공복지가 전후 미국 복지국가의 구상과 실천에서 불가분의 관계로 연결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줄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how John Kenneth Galbraith’s critique of “the affluent society” in the 1950s provided President Lyndon B. Johnson with significant intellectual inspiration and ideological justification during the course of his creation of the Great Society programs in the 1960s. Throughout the 1950s, Galbraith and several like-minded liberal intellectuals argued that the Democratic Party should shift its ideological focus from economic growth and focus more on raising the quality of life for every citizen. According to them, a life of better quality required more than merely higher economic living standards; it additionally required a greater number of schools, libraries, hospitals, parks, roads, the right to clean water and air, and the overall creation and maintenance of safe and enjoyable neighborhoods. This political framework relied on the belief that the only way to provide such public services for all Americans was to build a more comprehensive welfare state, and that only with the goal of enhancing public welfare could every individual American’s happiness be guaranteed. As Johnson continued to draw upon the intellectual influence he had during the course of his interactions with Galbraith during the 1950s, he expanded his platform on welfare during his presidency and subsequently created the Great Society programs. As a result, Galbraith’s criticism of ‘the affluent society’, arguably one of the most perceptive analyses of postwar American society and economy, remains memorialized in the basic foundation of Johnson’s Great Society programs, which was arguably the most ambitious attempt to build a welfare state in American histo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ininkim@gmail.c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