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한 제품 패키지 디자인 연구 -두부류 식품 중심으로-

        김일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9 조형미디어학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assay is aimed for study related to the product package design centering bean curd foods. The one of the bottleneck matters of our middle-small enterprises may said that it would be the design development. Even if we made the goods by a lot of investment and efforts to the product development, they looked away from the customers with a low price products in the market, and therefore we have hard time to sell them. Such a factor will be come from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company's inferior environment for design, also it may be become not to employ the specialist consulting and not to employ the special manpower. As said the above, with package and brand logos type's design produced by non-specialists, it could not give satisfaction to desire of the consumers that is changable. As days go by, the modern persons will not believe, and they are preferring the well-known brand merchandises that will give their belief. In this kind of the veins, how do we will develope the excellent package and brand logos design and will have activate the medium-small enterprises ? In order to settle the method for that, we have studied with model of the Donghwa Foods Co, Ltd. who has differency to their management, even if they had more than 40 years of production experiences for Bean Curd Foods. As a studying method, we grasp the design trend based on analysis for the package surface design of the domestic bean curd foods that the brand was well-known. Since we analysis the problems for the package design and brand logos that are using the studying model company at present, we study the experimental design for the improving method and then we drew the results of the new package design after studying experimental design for the improving method. Like this, we hope it will be helped to activation of our medium-small corporations since this package design experimental assay will be practically used to the design management. 본 논문의 목적은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한 두부류 식품을 중심으로 제품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우리 중소기업의 애로사항 중 하나가 디자인 개발이라고 볼 수 있다. 제품 개발에 많은 투자와 노력으로 우수한 상품을 만들고도 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저 가격의 제품으로 외 면 당하고 있어 판매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요인은 디자인에 대한 인식 부족과 열악한 기업 환경도 문제가 되겠지만 전문가의 컨설팅과 디자인 전문 인력을 고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비전문가에 의해서 제작되어진 패키지와 브랜드 로고타입 디자인으로는 변화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 시켜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가 없다. 날이 갈수록 현대인들은 신뢰 할 수 있고 믿음이 가는 잘 알려진 브랜드 상품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어떻게 하면 훌륭한 패키지와 브랜드 로고타입을 개발하여 중소기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을까? 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 하고자 40년의 두부류 생산 기술을 가지고도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주)동화식품을 모델로 하여 연구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브랜드가 잘 알려진 국내 두부류 제품의 패키지 표면디자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디자인 트랜드를 파악하고, 연구 모델 기업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패키지디자인과 브랜드 로고타입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학문적 체계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에 대한 실험디자인을 연구하여 새로운 패키지디자인의 결과물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본 패키지디자인 실험 논문이 디자인 경영에 활용되어 중소기업 활성화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에너지 자립화율 향상을 통한 경영혁신

        김일관 한국지방공기업학회 2011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Vol.7 No.1

        조직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꾸준한 경영혁신이 요구된다. 대구광역시환경시설공단은 대구시 환경기초시설의 효율적인 관리 운영으로 시민의 편익도모와 복리증진에 기여하고자 2000. 7. 1 설립된 이래 다양한 경영혁신을 추진하여 왔다. 본 논고는 공단의 경영혁신을 위한 다양한 사례 중 현대사회 화두인 저탄소 녹색성장 중심에서 “공단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50%를 신 재생에너지 개발 및 에너지 과소비 대상시설 개선을 통하여 자립화 한다”는 목표달성을 위하여 추진한 서부하수처리장 에너지절약사업을 소개한다. 서부하수처리장은 시설용량 52만톤/일으로 매년 전력비를 약 37억원 정도 지출해 왔다. 이에 하수처리장에서 에너지소비율이 가장 높은 생물반응조 주요설비를 고효율 저동력설비로 개선하였다. 사업결과 전년도 대비 전력사용량 49.52%, 전력요금은 45.5%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정부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추진시점에 즈음하여 우리공단 에너지절약사업의 성공사례를 소개하게 되어 보람되게 생각하며, 유사사업장에서 벤치마킹되어 정보가 공유되길 기원한다. 앞으로도 대구광역시환경시설공단은 온실가스 감축 및 저탄소 녹색성장 선도공기업으로 에너지 자립화율 향상을 통한 경영혁신에 매진할 것을 약속 한다.

      • KCI등재

        한글창제 세종정신 계승을 위한 대한민국체 한글 2350자 디자인 연구

        김일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3

        Choi Jeong-Ho who created Uri Hangul, Gothic- and Ming-style fonts after years of hard work in Korea where was believed to a wild land in the development of fonts is credited with the birth of Gothic- and Ming-style letters currently used in Korea. A variety of new fonts, afterward, have been being created by font design specialists. From the standpoint of the flow of handwriting fonts, some fonts have neither contextual nor formative issues, while many others are poorly readable or demonstrated. It is quite regrettable that it may ruin Hangul which is recognized as the world’s best incredible alphabet. Therefore, developing a new font requires a long-term research with great atten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I have been studying Hangul handwriting with the mission of inheriting King Sejong’s spirit. During the time I made the handwriting Calligraphy Wondo which was intended to develop a quaint, friendly, new font that makes ordinary people use easily in every day life, and also studied with the purpose of making even a digital font later. The lately-developed handwriting especially shows the natural flow of brush. I gave a lot of efforts that formativeness, aesthetics and friendly feeling of font could add to this handwriting after repeated practices and experiments with writing brushes and ink stick for a long time. Especially I focused on the readability and attractiveness so as to make small letters clearly be expressed and big letters strongly be expressed, with Hangul’s characteristics (font’s flexibility and sound accent) emphasized. Although still lacking in many respects, I’ve finally published this thesis after completing Hangul handwriting ‘Daehanminguk Font Wondo’ 2350’s Calligraphy Wondo and illustration. I will continue to work toward putting ‘Daehanminguk Font’ to practical use in future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딕, 명조체의 서체들은 글꼴 개발의 불모지에서 각고한 노력 끝에 우리 한글, 고딕과 명조체를 탄생시킨 최정호 선생의 공헌이 크다. 그 뒤를 이어서 글꼴 디자인 전문가들에 의해 다양한 새로운 서체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반면 손글씨 글꼴들의 흐름을 보면 내용적 또는 조형적으로 문제가 없는 글꼴들이 있는가 하면, 조형성과 가독성이 떨어지는 글자들도 다소 포함되어 있다. 세계에서 최고의 문자로 인정받고 있는 우리 한글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어 안타깝게 생각한다. 따라서 서체 개발에 있어서는 긴 시간동안 연구하여 신중을 기해야 한다. 저자는 세종 정신 계승을 위해 사명감을 가지고 오랫동안 한글 손글씨에 대한 연구를 해오면서 우리 국민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예스럽고, 친근한 느낌의 새로운 서체를 개발하고자 그동안 구상해왔던 손글씨 묵필 원도를 제작하여 향후 디지털 폰트까지 완성 목표를 두고 연구하였다. 이번에 개발된 손글씨의 특징은 붓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나타내어 아날로그한 감성이 느껴지도록 오랜 기간 동안 지필묵으로 연습과 반복 실험을 통하여 글꼴의 조형성과 심미성 그리고 친근한 느낌을 담고자 노력했다. 특히 글꼴의 유연성과 강약을 소리에서 나오는 한글의 특징을 살려 작은 글자에는 선명하게, 큰 글자에는 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가독성과 주목성을 높였다.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그동안 연구한 한글 손글씨‘대한민국체’2350자 묵필 원도와 글꼴 한자 한자 일러스트 작업까지 완성하여 이번 논문에 발표하게 되었다. 향후 실용화가 되기까지‘대한민국체’로서 부족함이 없도록 계속 노력을 이어가고자 한다.

      • KCI등재

        우리 국민들에게 나눔을 위한 한글 손글씨 2350자 디자인 연구

        김일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4

        King Sejong the Great is one of the most admired historic figure who created Hangul, or Korean alphabets. Now, we are communicating based on Hangul in our daily life. Hangul was reborn into a new cultural content by the font designers. It will keep developing and stay beside us in various forms. Despite the value, however, the prevailing loanword on many products and signs are isolating and damaging Hangeu, which is very shameful. Hangul is the unique letter only the Korean have representing Korea. Now, it is time to take action. The author is leading the national campaign for Hangul for the 569th Hangul Proclamation Day promoting the beauty and the value of Hangul to the Korean, especially to the teenagers, as well as the meaning of Hangul representing Korea. In this context, the study looked into Hangul font design. Considering the originality, legibility, formability and aesthetic impression, etc. to inherit the spirit of King Sejong the Great and tried to realize the harmony between the dynamics of the fonts. The study also focused on representing the power which keeps the font unique while maintaining the order and rule. The study designed 2350 Hangul alphabets and made a digital font which are planned to be supplied to Koreans during the national campaign later on. 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제한 주인공으로서 오늘날 우리에게 가장 존경받는 역사적 위인이다. 이제, 우리 생활 속에서 한글은 함께 소통하고 누리는 한글문화가 되고 있다. 우리말을 담아온 한글은 한글 글꼴 디자이너 손에서 문화의 새로운 소재가 되어 우리 곁에 함께 있다. 앞으로 한글은 더욱 발전하고 변화된 모습으로 우리와 함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 한글의 소중함을 모르고 생활 속에 무수한 상품명, 각종 간판들을 보면 외래어 표기가 만연하여 한글을 외면하고 오염시키고 있다.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다.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빛나는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독창적인 글꼴이며,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이다. 이제, 더 이상 말로만 외쳐서는 안 될 것 같다. 저자는 569돌 한글날을 맞아 한글사랑 범 국민캠페인 운동을 추진하여 우리 국민, 특히 청소년들에게 한글의 아름다움과 소중함, 그리고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라는 것을 알려나가고자 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번 한글 글꼴 디자인을 연구했다. 특히 한글 창제 세종 정신을 이어가고자 독창성, 가독성, 조형성,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글꼴의 강약과 조화를 이루고자 했으며, 규칙과 질서가 존재하면서도 글꼴에 독창적인 개성을 나타내는 힘을 표현하고자 노력했다. 이와 같은 콘셉트로 한글 글꼴 2350자를 디자인하여 디지털 폰트로 완성했으며, 향후 발표 이후 국민캠페인과 함께 우리 국민들에게 나눔을 통해 보급할 계획이다.

      • KCI등재

        부산광역시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특산품 제안과 디자인 아이덴티티 연구

        김일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4

        It is thought that the future national competitiveness exists in our well-preserved cultural heritage and natural heritage. The 10 places except the Changdeok Palace registered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in December, 1997, the two places except Hallasan, natural heritage, the six places except Hunminjeongeum, Korean script, documentary heritage, and the seven places except the royal ancestral ritual in the Jongmyo shrine and its music,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 been registered as UNESCO's world heritage respectively. These results are thought to have been acquired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cholar, and those concerned who participated after a painstaking effort. Except these there are historical sites & places and the four rivers surrounded with beautiful natural landscape including the Upo Wetland registered as international Ramsar wetland for preservation with the primitive natural environment living as it is. Our nation's people have got a wonderful outcome so far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through a lot of endeavors in the respective sectors and active business activities aiming at the economic growth according to the government policy. As its result with the increased income level per capita we are breathlessly running toward the national income of 30,000 dollars per capita. Like this we will have to continue to try our best for the economic growth, but from now on we'll have to promote the cultural tourism industry as the nation's legitimate key industry. Accordingly equipped with appearance as a powerful nation in culture we'll have to create tourism income and jobs. With the quality of life improved it is deemed that from now on the demand for tourists to visit our cultural heritage & natural heritage will be increasing day by day. However the specialties & souvenirs containing our unique traditionality & symbolism to be shown to them are not properly prepared. According to the survey in the midst of our indifference it is quite a regrettable reality that the inferior imported goods have dominated our tourist attractions & traditional markets so far. I have derived a result through proposing a new something to eat, specialty as a gift containing traditionality & regionality for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tourists visiting Busan, an international marine city and a city of film, culture & art to be enjoyed by everyone and studying the design identity to the effect that a design major should participate in even a soft design sector and propose in order to cope with this problem. 미래의 국가 경쟁력은 잘 보존된 우리의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에 있다고 본다. 1997년12월에 세계의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창덕궁 외 10곳에 이어 자연유산 한라산 외 2곳, 기록유산 훈민정음 외 6곳, 무형유산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외 7곳 등이 유네스코 세계의 유산으로 각각 등재되었다. 이런 성과들은 그동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학자, 참여한 관계자들의 각고한 노력 끝에 얻었다고 생각한다. 이 외에도 유적지와 고적지 그리고 아름다운 자연경관에 둘러싸인 4대강을 비롯하여 국제 람사르 보존 습지로 등재된 원시적인 자연환경이 그대로 살아있는 우포늪 등이 있다. 우리국민들은 그동안 정부의 정책에 따라 경제성장을 목표로 하여 각 분야에서 수많은 노력과 활발한 기업 활동을 통하여 국제사회에서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 그 결과 국민 1인당 소득 수준의 증가로 국민소득 3만 달러를 행해 숨가쁘게 달려가고 있다. 이와 같이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계속 노력을 해야 하겠지만, 이제부터는 문화관광산업을 국가의 당당한 주력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 따라서 문화강국으로 면모를 갖추고 관광 수입과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앞으로 우리의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을 찾는 관광객의 수요가 나날이 증가 할 것으로 본다. 그러나 그 사람들에게 보여줄 우리의 고유한 전통성과 상징성이 담긴 특산품과 기념품이 제대로 준비되어 있지 않다. 조사에 의하면 그동안 우리들의 무관심 속에 조잡한 수입상품들이 지금 우리의 관광명소와 전통시장을 장악하고 있다고 하니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런 문제점을 디자인전공자의 입장에서 소프트한 디자인부분 한 분야라도 참여하여 제안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국제해양도시, 영화문화예술의 도시 부산을 찾는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전통성과 지역성을 담은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선물용으로 누구나 즐겨 찾을 수 있는 새로운 먹거리 특산품을 제안하고 디자인 아이덴티티 연구를 통하여 결과물을 도출했다.

      • KCI등재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한 브랜드와 패키지디자인 연구

        김일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3

        The modern market order shows that well-known brand products are grouped and massively displayed on the shelves of department stores, marts, supermarkets, convenience stores and such. Therefore, such places are considered to be the best place to introduce a company's brands. Because customers trust such brands they see every day, their purchase decisions are much influenced. Products manufactured by organized design systems are not only actively sold, but they heighten the brand's asset values day by day. That's why companies are fiercely competing with their competitive designs to get a space in department stores, marts, supermarkets, convenience stores and such. However, domestic smaller enterprises do not employee designers, but their CEOs who did not major in design leads the design parts. It will bring lack of customers' attention and disregard for non-brand products of businesses which leads to poor sales. Weakly competitive designs of today will cause the vicious cycle of business management. Such a sad reality. For faster resolution of poor business environment, the government has to seek measures of industry and school collaborations for designer employment promotion, so that smaller enterprises can be much vitalized. With the above mentioned ideas, I would like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for companies to build design systems of a research model company. The goal of the study is to show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of brands and package designs based on academical system, and let known the necessity of designer employment promotion and design management through training of the management. 현대사회의 시장구조를 보면 잘 알려진 브랜드 상품들은 대부분 백화점, 마트, 슈퍼마켓, 편의점 등의 진열대에 군별로 대량진열 되고 있기 때문에 자사의 브랜드를 알리는 최적지로 자리를 잡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매일 접하는 그 상품들에 대해서 신뢰를 하고 있기 때문에 구매결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체계적인 디자인시스템에 의해서 생산되는 기업의 제품들은 판매활성화는 물론이며 날이 갈수록 브랜드 자산 가치를 높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기업들은 자사의 브랜드 상품을 백화점, 마트, 슈퍼마켓, 편의점 등에 입점 시키고자 디자인 경쟁력을 갖추고 기업간의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중소기업을 보면 대부분 디자이너를 고용하지 않고, 비전문가인 경영자가 디자인 업무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제품 역시 소비자들에게 크게 호응을 받지 못할뿐더러 비브랜드 상품으로 외면당하고 있어 판매부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금과 같은 취약한 디자인 경쟁력으로는 기업경영은 날이 갈수록 악순환을 거듭할 수밖에 없다고 본다.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러한 열악한 기업환경을 하루빨리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디자이너 고용촉진을 위한 산학협력운동을 벌여나가는 방안을 강구한다면 중소기업 활성화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연구모델기업의 디자인시스템 체계를 구축하고자 그 기업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학문적인 체계를 바탕으로 브랜드와 패키지디자인을 연구하여 결과물을 보여주고, 경영자 교육을 통하여 디자이너 고용촉진과 디자인경영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 KCI등재

        4대강 주변 농촌마을 환경개선을 위한 정보화 사인디자인 연구 -함안보 인근 하내강변자연마을 중심으로-

        김일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2

        Gangbyeon Farm Village cherishes beautiful natural heritage and elegant traditional culture. However, some of the cultural assets are being destroyed and replaced by reckless industrial developments therefore this is our urgent pr oblem to solve as soon as possible. Hoping to restore the original farm village of the past, though it might be a little late, the first project to be executed would be installing sign to better guide the visitors around the village. The village selected for the research is a small farm village in Gangbyeon near "Hamanbo" of the Four Rivers. Most people there make living by producing the village's specialty hot peppers and onions. The riverside area near the farms are required to be clean and organized, but the farmers are too busy to execut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According to relevant resources, the village has cultural assets and traditional homes that are surrounded by beautiful natural landscapes along the Sannae River. Despite the many assets, the village has no sign except for the one by the gateway to the village, making it inconvenience for the visitors to tour the village.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is study suggests a experimental design of integrated information sign to contribute to the history and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the village. 우리의 강변 농촌마을에는 아름다운 자연유산과 고고한 멋을 풍기는 전통문화가 살아 숨 쉬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무분별한 개발로 인하여 문화유산들이 훼손되고 사라져가고 있어, 하루빨리 해결해야 할 우리의 당면과제이다. 늦은 감이 있지만, 옛 농촌마을의 모습으로 부활되기를 기대하면서, 그 첫 사업으로 방문객들에게 마을의 정보를 제대로 알려 줄 수 있는 사인의 설치에 있다고 본다. 연구모델로 선정한 마을은 4대강 ‘함안보’인근에 있는 강변의 작은 농촌마을이다. 그 곳 주민들의 생활모습을 보면, 대부분이 지역의 농/특산물인 고추와 양파를 생산하여 그 소득으로 생활을 하고 있다. 특히 농산물을 재배하는 강 주변은 깨끗한 환경이 필 수 적이나, 매일 바쁜 농사일로 마을의 환경 개선사업은 생각조차 못하고 있는 안타까운 실정이었다. 조사한 분석 자료에 의하면, 그 마을에는 문화재와 전통가옥 등이 있으며, 주위로는 산내강이 흐르는 아름다운 자연에 둘러싸여 운치 있는 경관을 연출하고 있다. 이러한 많은 정보가 있지만, 마을입구에는 지명 안내석외 별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안내도가 없기 때문에 이용자들에게 불편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이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통합된 정보화 사인 실험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그 마을의 역사 지키기와 환경개선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한글을 활용한 국가상징 기념상품 디자인 연구

        김일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4 조형미디어학 Vol.17 No.4

        I made business trips to a number of European countries in my early 30s. After business I toured around the ancient remains and relics of local cultural heritages. What was most noticeable to me were the souvenir shops by the entrances to the cultural heritages. I remember being impressed to see how well they displayed the souvenirs that symbolize and represent the tradition of those cultural heritages. At that time, I desperately hoped that Korea had such shops for its cultural products. Back then, only certain ancient remains and relics in Korea had souvnir shops. Today, Korea has souvenir shops wherever there are UNESCO World Cultural Heritages, natural heritages, relics, and ancient remains. According to Korea Tourism Corporation’s report on the analysis of Korean tourism market in 2013, there were 12,175,550 foreign tourists who visited in 2013 after a 9.3%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UNWTO resources show that Korea went up a place and voted 22nd most visited tourist destination in the world.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in Korea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is is the outcome of the efforts made by the Korean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Korea Tourism Corporation to improve and restore underdeveloped ancient remains and relics as tourism attractions to attract more tourists. However, the souvenir shops in Korea are struggling as they hardly carry any products that symbolize the national and cultural heritages of Korea and are mostly filled with cheep imported products. Not certain people, but all of us should be blamed for this. The related experts, designers, and souvenir shop owners are particularly responsible.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I suggest ‘symbolic national souvenirs using Hangeul and the national flower of Mugunghwa’ that are easy to find anywhere across Korea as Hangeul is the proud UNESCO Memory of the World. 저자는 30대 초반에 유럽 몇 개국에 출장을 간적이 있다. 업무를 마치고 관광차 그 지역 문화유산지의 고적지와 유적지를 찾았다. 그때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그 입구 주변에 자리한 기념상품을 판매하는 숍을 볼 수 있었다. 그곳에는 문화유산지의 상징성과 전통성이 담긴 기념상품들이 잘 진열되어 있었던 모습을 보고 감동을 받았던 기억이 난다. 그때 우리나라에도 저런 문화상품을 판매하는 숍들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간절했다. 그 시절에 우리나라에는 특정한 고적지, 유적지외에는 기념상품을 판매하는 숍들을 찾아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우리도 유네스코 한국의 세계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지역 등 고적지, 유적지가 있는 곳이라면 관광 기념상품을 판매하는 숍들이 준비되어 있다. 한국관광공사의 2013년 방한관광시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은 전년대비 9.3% 늘어난 12, 175, 550명이며, 유엔세계관광기구(UNWTO) 자료를 기준으로 보면 세계 22위로 전년도 비해 한 단계 상승했다고 한다.1) 이와 같이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동안 우리 정부, 지방자치단체, 한국관광공사 등에서 낙후된 고적지, 유적지에 환경개선 및 복원사업과 관광 상품개발 등 관광객유치에 부단히 노력해온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의 기념상품 숍에는 우리나라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성이 담긴 상품은 찾아보기가 힘들 정도이며, 오히려 우리 상품이 저가의 수입 제품들로부터 잠식당하고 있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누구의 탓이 아닌 우리 모두의 탓으로 봐야 한다. 특히 이 분야의 전문가, 디자이너, 관광 상품 숍 경영자들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한글 디자인 상품을 통해 전국 어디서나 손쉽게 구입할 수 있고, 소장할 가치가 있는 유네스코 한국의 세계 기록유산인 우리 ‘한글과 나라꽃 무궁화를 활용한 국가상징 기념상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