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서양인의 한국어 문자와 음운 현상에 대한 기술

        김인책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코기토 Vol.- No.73

        I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the nineteenth century showed the inception of the research method of the grammatical description. From the invention of Hunminjeongeum up to the eighteenth century (in which the backdrop for Silhak,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was formed), Korean linguistics was characterized by the research on Hunminjeongeum itself. The systematic description of the Korean language first began in the nineteenth century, particularly, by some Westerners. Given the situation,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n analysis and explication with regard to Korean graphemics and phonology,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theoretical description available in the Korean linguistic literature in the early and mid-nineteenth century. As most of the post-promulgation studies on the Korean language were concerned with Hunminjeongeum, this paper centers around the questions of (a) how the previous academic insight into Hunminjeongeum’s script and pronunciation systems was reflected and handed down in the academic works by the Westerners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b) how the system of Hangeul and its respective phonetic values were interpreted by those Westerners from their perspective. In the respect of Korean graphemics, the main attention is paid to the sequential order of the consonant and vowel letters in Hangeul as well as to the phonetic values of the respective letters. The sequential arrangement of the letters refers to that of Se-Jin Choi in Hunmongjahoe (1527). One noteworthy finding is that some single identical letter was observed to have two different pronunciations, which was, then, a linguistically fruitful discovery confirming the existence of the allophone in Korean. On the other hand, what drew attention in terms of the pronunciation is that the phonological phenomenon of euphony was highlighted and specified. In the linguistic description, phonologically distinctive phenomena―such as voicing, consonant assimilation, palatalization, initial liquid avoidance, and the final consonant rule―were taken into account and well elaborated in order to increase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Korean pronunciation. For the nineteenth-century Westerners, it was possible to spot those particular phenomena in Korean owing to the fact that they, as speakers of European languages, had the background knowledge of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the main methodological trend of those times. 19세기는 한국어 문법 연구의 태동기이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 실학 학풍이 배경이 되었던 18세기까지는 훈민정음에 대한 연구가 주종을 이루었다. 한국어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기술은 19세기에 들어서 서양인에 의해 비로소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19세기 초․중엽 한국어 연구서에 기술된 한국어 문자와 음운 현상에 대해 분석․해설하는 데 목적이 있다. 15세기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국어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이 훈민정음과 관련이 있다. 훈민정음과 발음에 대한 연구가 19세기 서양인의 연구서에 어떻게 반영되고 계승되었는가를 확인하는 것과 서양인의 관점으로 한국어 문자와 그 음가를 어떻게 해석하였는가를 고찰하는 것이 이 연구의 중심 내용이다. 문자와 관련된 것은 자모의 배열 순서와 음가에 대한 것이다. 문자 배열은 최세진의 배열 방법에 준하였다. 동일한 글자에 두 가지 발음이 존재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는 한국어에 변이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언어학적 수확이다. 발음과 관련된 것은 활음조 현상을 관찰하여 세세하게 기술하였다는 것이다. 유성음화, 자음동화, 구개음화, 두음법칙, 말음규칙 등과 같은 음운 현상을 관찰․기술하여 한국어 발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19세기 서양인이 한국어에서 이러한 현상들을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서양어 화자라는 것과 당시 역사비교언어학이라는 서양 언어학의 경향이 배경이 되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