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그래픽 디자인에 있어 다중적 이미지 창출을 위한 콜라주방식에 관한 연구

        윤서은 ( Sung Eun Yoon ),김인성 ( In Sohng Kim ) 디자인융복합학회 200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5 No.2

        다양성이 인정되는 세계화 시대에서, 하나의 절대적 이념이나 가치관에 근거한 사고는 더 이상 기능하기 힘든 사회가 되었다. 넘쳐나는 문화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사람들은 하나의 가치를 신봉하기 보다 다원화된 사고체계를 갖게 되었기 때문에, 대중들의 변화된 사고에 적합한 유연성 있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그래픽 디자인의 메시지전달에 있어서도 다원화된 수용자의 코드에 적합한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복합적인 시각적 근거에 의해 메시지가 이미지적으로 전달되는 방식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픽 디자인에 있어서 이미지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연구를 목적으로, 콜라주방식이 다양한 맥락의 이미지 요소들이 연결고리를 감춘 채 결합된 불확정적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식이라는 측면에서, 기법의 성격적 특성을 분석, 내재된 가능성에 대해 탐구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래픽디자인에 있어서 콜라주기법이 다원화된 사고체계를 가진 현대의 대중을 위한 수용자 관점의 접근에 용이한 메시지전달을 위한 방법적 전략임을 규명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할 표현양식을 확인, 다양한 방법 As globalization is expanding, the world is now showing a behavior of accepting cultural varieties and pluralization. In other words, we are living in a world where intellections based on an absolute ideology or a dictatorial valuation will not be accepted. Due to the deluge of information and culture varieties, people are now tending to have pluralized ways of thinking rather than adhering to one absolute valu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have a flexible communication method that fits into the public opinion. In the field of visual communication, a way to fulfill the pluralized public behavior is also necessary. Therefore, we would like to suggest a method that transfers a message as an image due to com positive visual basis. This study is based on the fact that collage is a way to provide uncertain messages with various combined imag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chnique, we would like to explore the capability of collage. We, therefore, suggest collage as an ‘image-concentrated communication method,’ which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multivocal understandings.

      • 무인택배기의 UI디자인 사용성 현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남숙희(Nam, Sookhee),김인성(Kim, In Soh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1 No.-

        정보화 시대는 현대인들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키오스크와 같은 무인 자동화 기기들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현재 우편 및 택배 분야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다. 이제는 직접 우체국에 방문하여 창구직원을 통하지 않고도 가까운 지하철이나 편의점 등에 설치된 무인택배기를 통해서 택배를 접수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서비스 되고 있는 무인택배기는 ㈜POSTcube에서 제작되어 우체국에서 관리하는 무인우편창구와 ㈜CVSnet에서 운영되는 포스트박스가 있다. 이 기기는 접근성이 뛰어나 사용자들의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나, 여전히 무인택배기 사용에 부담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이 있어 UI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무인택배기의 현황에 대한 선행조사와 실제적인 UI디자인의 선호도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와 에스노그라피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자들의 무인택배기 사용성에 관한 평가는 대체적으로 부정적이었으며, 무인우편창구와 포스트박스 모두 키패드에 관련된 지적이 가장 많았다. 그 외에는 선택옵션, 돌출버튼, 순서, 기타 하드웨어적 문제 등이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무인택배기 UI디자인의 개선에 참조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information era, automated (unmanned) devices like kiosk are becoming universal to meet various needs of modern people and currently are widely used in postal and home-delivery areas. Now people can get home-delivery services through automated home-delivery machines installed at places such as nearby subway stations and convenient stores without personally visiting and asking servicemen at the counter of post offices. The machines currently in service across the nation are “Postal Automated Service System” that is manufactured by Postcube Inc. and managed by post offices and “Postbox” that is run by CVSnet Inc. Their demand is increasing thanks to their superior accessibility, but many people still feel burden in using those machines, necessitating a study on their UI design. As such, this study has conducted a survey through questionnaire and an ethnography for grasping preferences and problems of the actual UI design as well as prior studies on their status in the country. As a result, users’ evaluation on the usability of the machines was mostly negative, mainly complaining of problems related to keypads. In addition, the negative evaluations include selective options, buttons for pushing, selection orders, other hardware-related problems, etc. Bases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would like to suggest guidelines that could be useful in improving the UI design of automated home-delivery machines.

      • 대구광역시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현황 및 제고

        이주현(Lee, Joo Hyun),김인성(Kim, In Soh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1 No.-

        글로벌 시대에 접어듦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도시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많은 도시들이 도시 브랜드를 개발하고 유지하는데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하지만 대구시는 서울을 포함한 7개 대도시 중 전국 3위의 도시 규모와 발전 가능성에 비해,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문제점이 있어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구시의 도시 아이덴티티는 현재 대구가 추구하는 방향에 맞지 않고, 도시상징으로서의 기능이 약해서 이후 생겨난 여러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활용도가 더 높으며, 기존의 도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일관성이 적다. 대구시가 나아갈 방향과 대구시의 문화와 전통성을 고려하여 도시 정체성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가 필요하다. 또한 하위 브랜드 아이덴티티와의 연관성을 고려한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지정하고, 도시 브랜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전략과 홍보가 동반되어야 한다. 대구 시민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하고, 나아가 대외적으로 대구시를 알릴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이에 대구시의 성공적인 도시브랜딩과 도시 이미지 향상에 도움이 되기 위해, 대구시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구광역시청 도시브랜드 담당자와의 인터뷰, 대구시민과 타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대구시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With the advent of the global age, competitiveness of a city takes a great role in that of a nation both at home and abroad. So, many cities are putting a lot of works into developing and maintaining a city brand. However, compared with number 3 in the urban scale and developmental potential among 7 biggest cities including Seoul, DAEGU city has a problem in the city brand identity, requiring improvements. DAEGU city identity doesn"t correspond to the direction now DAEGU city is pursuing, lacking in functions as an urban symbol. So, many brand identities occurred subsequently have a higher utilization, showing lower consistency in the existing city identity and brand identity. With the consideration on the future direction of DAEGU city, its culture and tradition, it is required to suggest a city brand identity showing an urban identity properly. In order to formulate a city identity, the lower brand identity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In addition to considering a connection between the city and lower brand identity, proper strategies and advertisements must be utilized. In this way, a common denominator among the citizens of DAEGU city is formed, and this could promote the city of DAEGU city to the world. So, in order to be helpful for successful city branding and image raising of DAEGU city,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n efficient improvement measure for DAEGU city brand identity through surveying present situations of its city brand identity, grasping problems and conducting a questionnaire for DAEGU citizens and other local residents in addition to interview with officials in charge of the city brand in Daegu Metropolitan City.

      • KCI등재

        한국 대표 수출 가공식품 영문표기법 통일안에 관한 연구 -한국 전통가공식품을 중심으로-

        김가형 ( Ga Hyung Kim ),김인성 ( In Sohng Kim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6

        한국식품의 가치와 인식은 매우 높아진 반면, 외국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포장재의 한국식품 표기법은 불분명한 표기로 인해 외국 소비자가 구매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 현지에 유통되고 있는 한국 상품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한글을 모르는 미국인들로서는 정확히 어떤 상품인지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결국 구매를 포기하거나 타 국가제품들 특히 일본산 제품들로 대체 구매함으로써 한국식품 매출에 적지 않은 손실을 주고 있다. 또한 상표권 분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세계적인 추세에서 한국 수출 식품들은 제대로 대처를 못하고 오히려 해외시장의 걸림돌로 작용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대표 수출식품 중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표기현황을 알아보고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Even though value and awareness of Korean foods have increased, Korean food labeling causes difficulty on purchasing process of foreign customers. Therefore, many of the foreign customers give up purchasing Korean foods and instead purchase products on other countries such as Japan, which causes significant damage on Korean foods export. As we look more carefully on imported korean foods in US stores, US customers face difficulty on understanding the products. This falls Korean foods behind the competition around the world, and works as an obstacle in the US market Indeed we try to look into food labeling especially on Korean processed foods and suggest some improvem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