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현경전>에 나타난 남장 모티프의 의미 -주인공이 남성으로 살 수 있었던 이유를 중심으로-

        김인경 ( In Gyung Ki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6

        본고에서는 ``남장 여성``인 주인공이 남성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남성으로 살 수 있었는가에 대한 의문을 품고, 초기 여성영웅소설 <이현 경전>을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현경전>은 주인공이 남성이 아니면서도 남성으로 살고, 여성이면서 여성이 되어야 하는 아이러니한 존재임을 흥미롭게 포착한 작품이다. 이 작품의 주인공은 단순히 남성과 똑같은 능력을 발휘해서만이 아니라, 남성과 ``다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오랜 기간을 사대부 남성으로 살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이분법적 성역할과 남복(男服)이라는 기표에 대한 오랜 고정관념과 선입관으로 인하여, 심지어 그녀의 여성적인 면모마저도 특출한 남성의 표징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의 착각과 오인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또한 사대부 남성의 일원으로 일상을 살아가면서 상황에 맞게 잘 대처한 주인공의 행동 방식과 화법에서도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주인공은 사대부 남성의 언행을 그대로 실천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의심을 받지 않을 수 있었다. 하지만 그 발화의 진짜 주체는 남장 ``여성``이라는 점에서 ``복화술``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그리고 주인공이 취한 언행과 태도는 사대부 남성과 그리 다를 바 없이 보이지만, 실은 "거의 같지만 완전히 똑같지는 않다"는 점에서 ``흉내(mimicry)``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흉내``는 재현 대상이 지니고 있는 본질적인 면을 들추어냄으로써 그 권위를 약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바, 주인공의 남장을 단순히 남성의 삶에 대한 선망이나 남성 중심의 이데올로기 추수(追隨)로 치부할 수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ason how the heroine wearing men`s clothes could live as a man in LeeHyeonGyeongJeon, one of the early heroine novels, and then reached the conclusion as follow: Lee Hyeon-Gyeong, the main character of this novel, is not a male but she could live as a man, especially the great officer, for a long time. There are two main reasons of that. First, those who had been used to the conventional notion of dichotomous gender role and male attire misidentified her as a good-looking young man and a weak student of Chinese classics. Second, while Hyeon-Gyeong lived as a gentry men, she tried to be flexible in dealing with a situation. Because of having a command of appropriate words and hitting the right notes of the gentry men, she was not suspicious of other people. But the real subject of the speech was the woman, her speech closed to ventriloquism. And her appearance in male attire looked like the gentry men, but actually “almost the same, but not quite”, it is akin to mimicry. Especially mimicry is one of the defense mechanisms of hiding or denial of anxiety about her living a lie. On this account, she hold fast to gentry men`s values and attitudes.

      • KCI등재

        ‘시름[愁]’에 대한 문예미학적 탐구로 읽는 <수성지(愁城誌)>

        김인경 ( Kim In-gyung ) 한국고소설학회 2023 古小說 硏究 Vol.56 No.-

        본고의 목적은 성리학적 심성론이나 역사철학의 측면이 아니라 문학창작에 대한 알레고리로 임제(林悌)의 <수성지(愁城誌)>를 이해하고, 그 메타문학적 성격에 유의하여 작품을 새롭게 읽는 데에 있다. 먼저 이 작품은 역사 인물에 감정이입을 하며 역사서를 읽는 과정에서 가을이라는 계절을 만나 ‘시름’으로 귀착되는 과정을 우의적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이때 시름은 문인지식인 계층으로서 경험했던, 독서와 문예창작 과정에서 일어나는 정서적 반응과 심리 작용에 가깝다. 이 시름의 실체를 충의(忠義)·장렬(壯烈)·무고(無辜)·별리(別離)라는 네 개의 항목으로 계열화함으로써 해명하고 있는데, 이때 사대문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바로 그 구체적인 사례를 보여줄 전고로서 기능한다. 다만 마음을 의인화한 작품이기 때문에, 마음속으로 전고를 떠올리는 과정을 해당 고사의 인물이 직접 ‘천군’을 ‘찾아온’ 것으로 표현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대문 설정을 통해, 뭉뚱그려서 ‘시름’이라고 표현되는 감정의 층위를 넷으로 나누는 한편, 그 속에서도 미세하게 발생하는 질감과 미감의 차이를 섬세하게 포착하고 있다. 하지만 성 밖의 한 사람을 등장시킴으로써, 이는 그저 전고를 나열한 것에 불과함을 지적하고 ‘나의 시’를 쓰기를 종용하는 비평적 자아의 목소리를 드러낸다. 시어(詩語)로 그린 자화상의 성격을 갖는 이 시에서는 앞서 제시된 네 계열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속절없이 흐르는 세월’에 대한 시름이 제시되는데, 이는 술을 마시는 행위와 자연스럽게 연동된다. 즉 덧없이 흘러가는 인생에 대한 무상감과 연동되어 ‘취락(醉樂)’이라는 미학적 포즈가 나타나며, 시름은 술을 마시는 행위에 미학적 의미를 부여하는 기제로서 존재 가치가 있게 된다. 이처럼 시름에 대한 문예미학적 탐구는 ‘취락’이라는 자장에 이르러 마무리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not to understand the Neo-Confucianism theory or historical philosophy, but to understand Imje's < Suseongji(愁城誌) > as an allegory for literary creation and to read new works paying attention to its meta-literary character. First of all, this work uncharacteristically shows the process of meeting the autumn season in the process of reading a history book while empathizing with historical figures and ending up as ‘sorrow’, which is close to the emotional reaction and psychological action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reading and creating literature that he experienced as a literary intellectual class. The reality of this anxiety is explained through four sequencing, and the characters in the four gates function as battlefields that show specific examples. However, since it is a work that personifies the mind, the process of thinking about the war in the mind came to express ‘Cheongun’ as ‘visited’ by the person in the examination.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divide the layer of emotion expressed as ‘sorrow’ by clumping together, while captu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xture and aesthetics that occurred finely in it. However, by featuring a person outside the castle, it leads to a critical voice that this is also just a text listing the war, and immediately recites ‘my poetry’ that finds anxiety within myself. In this poem, the anxiety of Tanro(歎老) presented is naturally linked to drinking alcohol. In other words, the aesthetic pose of intoxication(醉樂) appears in conjunction with the sense of impermanence about life that flows ephemerally, and heartbreak becomes a mechanism that gives aesthetic meaning to the act of drinking alcohol. In this way, the literary and aesthetic exploration of heartbreak ends with the magnetic field of intox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