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과업의 상호의존성과 적응적 성과의 관계에 대한 이슈리더십의 매개효과 검증

        김익택,백기복,Ik Taik Kim,Kibok Baik 대한리더십학회 2013 리더십연구 Vol.4 No.4

        본 연구는 과업의 상호의존성이 이슈리더십을 통해 적응적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검증하는 데 있다. 실증연구를 위해 제조업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그리고 서비스업에 속한 중소 기업 등 3개 기업의 사무관리직 전체를 대상으로 이슈 해결을 위한 네트워크 조사와 변수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3개사 각각에서 응답율이 네트워크 분석에 유의한 수준인 90% 이상, 177명의 네트워크 자료를 확보하여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과업의 상호 의존성은 이슈 리더십을 통하여 적응적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기초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으로는 과업의 상호 의존성이 높아질수록 예기치 못한 새로운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공식 혹은 비공식적인 이슈 리더십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집단지성을 창출하고, 적응적 성과를 제고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연구 방향으로는 조직 거시 변수인 조직문화와 최고경영자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할 필 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test a series of hypotheses concerning with how the issue leadership are dependent on task interdependence and how task interdependence influence adaptive performance through the issue leadership. 177 samples of office workers and managers from three different enterpris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data related to attribute variables and issue-solving network have satisfied the conditions of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response rate above 90% of populat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ask interdependence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issue leadership and influence partially adaptive performance through the issue leadership.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s proposed that because an unexpected new issues are likely to occur under high task interdependence, adaptive performance can be enhanced by enabling the cre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issue leadership.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is suggest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tyle is necessary to validate as moderating variables.

      • KCI등재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 대한 집단적 정체성의 매개효과검증

        김익택 ( Ik Taik Kim ),최영희 ( Young Hee Choi ),손무권 ( Moo Kwon Shon ) 한국생산성학회 2011 生産性論集 Vol.25 No.2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roles of collective identity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reative behavior, collective identity - a new key figure differs from the one represented as the origin of creative behavior. 649 samples of office workers and managers from five different enterpris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rough the collective identity positively influences creative behaviors of group-members. A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rengthens creative behavior when it focuses collective identity. Moreover, this study practically suggests that via an approach of collective identity, ``a sense of belonging to groups by mirroring self-identification`` fulfills the groups` demands amid the room for changing oneself. The resolution of this study appears to be limited as it is cross-sectional; thus, the longitudinal study with a gap of time is needed for a rigid confirmation of relevant hypothesis.

      • 적응적 긴장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 대한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 집단적 정체성의 매개역할과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역할

        김익택(Kim-Ik Taik) 대한리더십학회 2014 리더십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적응적 긴장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 대한 집단적 정체성의 매개역할과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역할을 결합한 “매개된 조절모델”을 검증하는 데 있다. 특히 적응 적 긴장의 효과가 변혁적 리더십에 의해 조절되고 집단적 정체성에 의해 매개될 것인지, 그리고 이 프로세스가 매개된 조절모델인지, 조절된 매개모델인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기업 3개사와 중소기업 2개사의 사무관리직 전체를 대상으로 846명 의 설문자료를 입수하였으며, 분석은 Muller, Judd, & Yzerbyt(2005)가 제시한 3단계 매 개된 조절효과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매개된 조절모델과 일치했다. 즉, 적응적 긴장은 집단적 정체성을 통해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변혁적 리더십이 강할수록 적응적 긴장은 창의적 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응적 긴장과 창의적 행동에 대한 집단적 정체성은 변혁적 리더십에 따라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무적 함의는 적응적 긴장을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리더는 변혁적 행동을 할 필요가 있으며, 집단적 정체성의 주목성을 강조할 때 조직 구성원들은 보다 더 창의적 행동을 할 것이라는 점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process of mediated moderation that links adaptive tension to creative behavior. In particular, I test whether the effect of adaptive tension is moderated b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mediated by collective identity, and whether this process corresponds to a mediated moderation, or a moderated mediation. To investigate this study I surveyed 846 respondents belonging to 3 large companies & 2 small companies to collect data related to attribute variables(for example, an adaptive tension, collective identity, creative behavior, &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irst of all, I tested whether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tension & creative behavior was moderated b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 tested mediation of collective identity following the three-steps procedure proposed by Baron & Kenny(1986). Finally, I tested the possibility of simultaneous modera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mediation of collective identity, following the approach outlined by Muller, Judd, & Yzerbyt(2005).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a mediated moderation process: adaptive tension is able to positively influence creative behavior when leader is perceived 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is moderation is mediated by collective identity, 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to positively influence creative behavior through a path of collective identity. On a practical level I suggested the findings that leader need to ac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order to solve adaptive tension of the organization, and when emphasizing the collective identity,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ill be more of a creative act.

      • 복잡계 과학을 통한 이슈리더십이론의 해석

        김익택(Ik Taik Kim),백기복(Ki bok Baik) 대한리더십학회 2010 리더십연구 Vol.2 No.1

        전통적인 리더십 개념들은 확실성 가정에 토대를 두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불확실성이 지배하며, 불확실성의 세계를 전제로 새로운 리더십 개념이 형성되어야 한다. 백기복(2002)은 "역동적인 상황에서 새로운 리더가 출현한다"는 강력한 가정 하에 이슈를 매개로 한 리더십행위이론을 제시하였다. 이슈리더십은 "이슈를 창안하고, 오디언스를 참여시키며, 이슈를 실행함으로써 오디언스를 안내하는 프로세스"로서 "균형에서 먼 상태에서 끌개가 형성되고, 이를 토대로 비선형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기조직화가 이루어진다"는 복잡계 과학의 자기조직화 이론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이슈 리더십의 이슈매개, 청중형성, 이슈리더의 출현, 이슈리더십 성과가 자기조직화의 적응적 긴장, 집단지성, 이머전트 리더, 학습과 적응 성과와 서로 대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슈리더십이론을 복잡계 과학의 자기조직화 이론과 대비하여 구체적으로 해석하고, 이슈리더십이론이 불확실성의 세계에 적용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Traditional views of leadership are based on an assumption of certainty. However, the complex systems science has challenged the certainty approach by arguing that uncertainty is a better starting point. In this paper, we have interpreted the issue leadership theory(Baik, 2002) from the view of the complex systems science. Baik(2002) defines issue leadership as a process in which a person guides audience by creating issues, involving the audience, and implementing the issue. Also, he argues that the issue leader emerges from the result of social interaction. In the view of complex systems science, the source of emergent leaders is self-organizing process; adaptive tension, collective intelligence, learning & adaptation. The issue leadership process also is similar to self-organizing process conceptually. After a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e issue leadership using complex systems science, we researched, and tried to answer the question. How do we apply the issue leadership theory to uncertainty of complex systems?

      • KCI등재
      • KCI등재

        자율과 창의의 경영모델에 대한 연구 -인간존중생산성을 중심으로-

        최동규 ( Dong Kyu Choi ),김익택 ( Ik Taik Kim ) 한국생산성학회 2012 生産性論集 Vol.26 No.1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human-centered productivity and its practical management model. The philosophy of the human-centered productivity seeks for autonomy, fairness as a way to respect the autonomy, and happiness as the ultimate goal. In this study, autonomy is a source of creativity while creativity and innovation are a driving force of productivity. This study also proposes various empirical results that show the happier employees would generate the more enhanced creativity and productivity. This study proposed Stafford Beer`s Viable System Model as a reference model to practice the human-centered productivity. Measures for management models are presented such as autonomous MBO(Management by Objective) system, minimum control system, creative innovation system, and participative policy-making system. Employees will achieve the higher level of creativity and productivity for happiness, and their desire to organizational objective will be linked productivity level by getting rid of command-based hierarchical structure and implementing viability-based view point with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CEO의 임파워링리더십이 기업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병대(Byung Dae Choi),백기복(Ki Bok Baik),김익택(Ik Taik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인사조직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한국 중소기업 CEO들의 임파워링리더십이 객관적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 수준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양자 관계에서 집단 잠재력의 매개효과와 환경 역동성의 조절 효과를 밝히려는 것이다. 기존 리더십연구들이 대체로 조직에 크게 영향을 주는 CEO들보다는 중간계층 관리자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했으며, 조직 차원의 객관적인 성과를 나타내는 재무지표 변수보다는 개인 또는 팀 차원으로 인지된 성과와 만족도 등의 주관적 성과에 중점을 둠으로써 조직 수준에서 CEO의 리더십이 회사의 객관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특히 중소기업 CEO가 회사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대기업 CEO의 경우보다 직접적이라는 점에서 중소기업을 연구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121개 중소기업 CEO의 임파워링리더십을 각 회사의 임원 또는 부장급 직원 4명으로부터 측정하고 회사의 객관적 재무성과(매출액 수익률)를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하였다. 총 응답자수는 484명이었다. 회귀분석 결과, 중소기업 CEO의 임파워링 리더십은 객관적 재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링 리더십이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집단잠재력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임파워링리더십과 집단잠재력 간의 관계에 대한 환경역동성의 조절효과는 가설과는 반대로 역동성이 작을수록 임파워링리더십과 집단잠재력의 관계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주는 이론적, 실무적 함의와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of analys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size company CEOs’ empowering leadership and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21 firms, from which survey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a CEO and 4 high-level managers of each firm. In addition, the performance data were objective data from an established data service institute in Korea. Leadership studies so far have mostly concentrated on middle level managers rather than CEOs and relied on perceived performance variables instead of objective financial performance. But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CEO leadership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utilized objective financial performanc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a CEO’s empowering leadership style was positively related to financial performance. Group potency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were also found to have links between the empowering leadership style and financial performance.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group potency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performance was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in the relation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group potency was also confirmed bu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hypothesis. In other words, contrary to our hypothesis, when the level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in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group potency lessened. Implications from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were suggested along with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이슈리더십 3차원과 리더십유효성의 관계에 있어 리더집단전형성의 조절효과 검증

        백규선(Baek Kyu Seon),백기복(Baik Ki Bok),김익택(Kim Ik Taik) 한국인사관리학회 2015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리더의 존재나 행동을 추종자가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따라 리더십의 효과성이 달라진다는 리더십의 지각론(esthesiologie)적 관점에서 시나리오 실험법(scenario experiment)을 활용하여 리더십 지각의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인지적 상호작용(cognitive inter- action)을 중시하는 이슈리더십의 3차원(이슈창안, 오디언스몰입, 이슈실행)과 추종자의 리더에 대한 인지적 평가인 리더십유효성(leadership effectiveness)과의 역학관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응답자의 리더집단전형성(leader group prototypicality)이 시나리오상의 이슈리더십 3차원과 리더십유효성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슈리더십 3차원 각각을 Yes/No로 나누어 조합한 8가지 경우에 대한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국내 7개 대기업에 종사하는 사무직 직원 34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이슈리더십 3차원 각각이 리더십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응답자의 리더집단전형성의 조절효과가 이슈창안과 이슈실행에 대해서 입증되었다. 즉, 응답자의 리더집단전형성 지각이 높을수록, 이슈창안, 이슈실행 행위는 리더십 유효성과의 관계가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결과들이 가지는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살펴보고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a leadership perception mechanism from a scenario experiment at the esthesiological point of view in which leadership effectiveness is argued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how followers perceive presence and behavior of their leader(s). First, we ask how three dimensions of issue leadership (issue creation, issue involving, and issue implementation) are related to leadership effectiveness; experimentally, how leader's cognitive interaction is related to leadership evaluation of the followers. Second,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leadership effective-ness, we ask how significantly leader group prototypicality influences the relationship. In order to proceed the experiment, we first divide each of three dimensions of issue leadership by two cases (e.g. 'Yes' or 'No') and then generate 8 scenarios by simple combination of all three dimensions. The scenario experiment is done with 340 white collar workers each of whom works for one of the 7 largest Korean conglomerates. It turns out that three dimensions of issue leadership positively affect leadership effectiveness. For the controlling effects of leader group prototypicality, it is experimentally proven to positively affect issue creation and issue implementation. In other words, as the level of respondents' perception over leader group pro-totypicality gets higher, leader's behavior of issue creation and issue implementation becomes more strongly related to leadership effectiveness. Finally, we discuss future research agenda after review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experimental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