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이테 다시 그리기

        김이선(Ee-Sun Kim),한신갑(Shin-Kap Han)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4

        사람들은 나이에 따라 사회적 위치가 달라지고, 경제활동이나 정치적 태도, 문화적 경험, 그에 따른 사회적 정체성과 행동양식까지도 변한다. 그래서 연령은 사회과학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기본 속성 중 하나다. 그러나 많은 분석 과정에서 연령은 그 중요성에 비해 지나치게 단순한 방식, 즉 5년, 10년 등의 등구간 범주로 사용되고 있다. 사회구조 안에서 발생하는 생애 사건들과 그에 따른 역할관계의 변화를 연령이라는 변수에 담아내기 위해서는, 나이에 따른 사회적 관계 변화를 반영하는 연령 구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사회적 도움이 필요한 세 가지 상황에서 누구에게 어떤 지원을 요청하는가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원 연결망을 구성하고, 이 연결망이 연령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를 분석하여 새로운 연령 구분선을 그어 보았다. 2004년 한국인의 사회적 지원 연결망은 배우자와 친한 친구로 구성된 중심층과, 부모·자식·형제로 구성된 중간층, 여타 주변층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망의 구성은 연령에 따라 달라졌는데, 혼인기에 배우자가 등장하여 중심층을 이루다가 노년기에 사라지고, 나이가 들수록 부모와 친구의 비중은 줄어드는 대신 자녀와 이웃의 비중이 늘어나는 등 한국인의 생애주기를 보여주었다. 이 변화를 기준으로 판별분석을 통해 연령구간을 재구성했다. 이렇게 재구성한 연령구간은 정치적 태도나 사회적 지원 행위, 가족과 친구에 대한 가치관과 같이 나이에 따라 변하는 준거변수들에서 연령구간별 차이를 기존의 방법에 비해 보다 명확히 드러내보였다. Age is one of the key indicators reflecting person’s social role and position. What they mark socially changes through the life course and is shaped by the social structures and norms therein. The ways in which age is typically employed in the social science research, however, do not account for this variable yet discrete nature ? either by treating it as a continuous and linear variable or a categorial variable with arbitrarily assigned intervals. It should denote and distinguish different statuses of life course and social positions. To illustrate the issue, we reconstruct age categories bas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grounds: social network theory and social support network data from KGSS 2004, respectively. In the analysis, we find the following: 1) The social support network of Koreans shows a three-tiered hierarchical structure with core (spouse and close friends), middle (parents, children, siblings, children, and neighbors), and periphery strata (the others). 2) Shape and content of the social network change through the life course, which could be categorized into six stages. The new categorization shows better ? statistically stronger and substantively cleaner ? performance with regard to some of criteria variables (political attitude, behavior of social support, values for family and friends).

      • KCI우수등재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

        이상직(Lee Sang-Jic),김이선(Kim Ee-Sun),권현지(Kwon Hyunji) 비판사회학회 2018 경제와 사회 Vol.- No.118

        1998년 경제위기 이후 청년 노동시장 구조 변화에 대한 통념은 양극화와 불안정화, 그리고 위기 전후의 단절로 요약된다. 특정 시점에서 요약된 횡단면 비교를 통해 구축되어온 이러한 통념에 도전하면서 우리는 개개인의 노동이력 집합이 만들어내는 주요 고용 패턴의 구성 변화를 통해 경제위기 전후 청년 노동시장 구조 변화의 성격을 지속과 변화의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한국노동패널조사’ 직업력 자료를 사용해 4년제 대졸자의 졸업 후 120개월 노동이력을 8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비중을 1990년대 초 · 중반, 1990년대 후반, 2000년대 초 · 중반 졸업 코호트별로 비교했다. 남성에서는 ‘안정 이력군’과 ‘유동 이력군’의 이분 구도가 경제위기 전후로 지속되는 가운데 두 군의 경계 영역에서 불안정화 추이가 나타났다. 여성에서는 ‘안정 이력군’과 ‘유동 이력군’, 그리고 ‘비취업 이력’ 간 삼분 구도의 무게중심이 최근 들어 취업 이력 쪽으로 대폭 이동하면서 구도가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변했지만 그 성격을 양극화나 불안정화로만 볼 수는 없다. 남성에 비해 ‘안정 이력군’의 비중이 작고 ‘비취업 이력’의 비중이 큰 젠더 격차가 지속되고 있지만, ‘안정 이력군’과 ‘유동 이력군’ 모두의 증가 경향은 불안정화나 비정규화라는 말로 요약하기 어려운 내부 분화가 여성 노동시장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남녀 모두에게서 나타난 특기할 만한 변화는 첫 취업 전까지 상당한 시간을 보낸 후에 중소기업 정규직으로 진입한 이력의 비중이 커졌다는 점이다. 이 점은 적어도 대졸 청년 노동시장에서 불안정화, 양극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대기업 정규직 감소나 비정규직 증가보다 중소기업 정규직 노동시장의 분화, 또는 불안정화 경향에 더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re is a social convention on the changes in the youth labor market structure in South Korea after economic crisis of 1998, characterized as punctuated changes - polarization and precariousness. This notion is based on cross-sectional researches that mainly focuses on the structure captured in discrete time with various categories such as type of employment, type of occupations, size of enterprise, etc. Apart from this approach, we attempt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structure of youth labor market after economic crisis focusing on work history as a unit of analysis. Us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we compare three cohorts (1993∼1995, 1998∼2000, and 2003∼2005) of college graduates’ work history of 120 months since grad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men, while two groups of career patterns, ‘stable career group’ and ‘unstable career group’, still remained, within each part, the proportion of unstable careers has increased. For women, on the other hand, three career patterns of ‘stable’, ‘unstable’, and ‘unemployed’ have shifted to two patterns of ‘stable’ and ‘unstable’. Nevertheless, cohort effects with attributes of people controlled was consistent for the both of men and women. The chances of entering careers as wage earners have increased and that of quitting or changing jobs have decreased. The most notable point here is that the chances of “delayed entry into regular work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ave considerably increased. These changes in the pattern of work history turn our attention from labor market of regular work in large company or that of irregular work to the differentiation in labor market of regular work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conclus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change in the structure of youth labor market in South Korea after economic crisis of 1998 is neither linear nor discontinuous.

      • KCI등재

        주변부 노동자 이해대변을 위한 비노동조합적 시도: "준노조"의 한국적 개념화를 위한 일분석

        박명준 ( Myung-joon Park ),김이선 ( Ee-sun Kim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6 산업노동연구 Vol.22 No.2

        최근 고용형태의 다양화와 노동시장의 양극화 속에서 노동이해대변의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주변부 노동자)의 확산이 한국 사회에서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노조를 주요 행위자로 하는 전통적 노사관계의 틀로 이들의 이해를 대변하는 데에는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노동조합이 아닌 조직형태를 취하며 노동조합의 기능을 일부 수행하는 조직체들이 등장하고 있으나, 그들에 대한 체계적인 개념화, 특히 그들을 통한 노동이해대변의 가능성과 의미에 대한 진단은 부족한 상황이다. 본고는 그들가운데 일정한 특성을 지닌 조직들을 준(準)노조(Quasi-Union)라는 개념으로 포착하면서, 현재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준노조들의 노동이해대변자로서의 역할수행 양상을 분석하고 준노조 개념의 실천적 및 이론적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는 사례분석을 토대로 하며, 대상사례는 주변부 노동의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는 세 개의 조직체들이다. 이들은 한편으로 주변부 노동의 요구를 응집적으로 끌어내 이해대변 사각지대의 취약성을 극복하는 작업에 일정하게 성공을 거두며 활동을 지속해 가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그러한 실천들이 보다 실질적인 법제도 적·정책적 결과로 이어지지는 못하는 한계를 갖는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외부 자원과의 연결·연대를 추구하는 등의 자구책이 모색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준노조 조직이 노동조합의 공백을 보완하면서 노동이해대변자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다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노조의 제도적 위상을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양자 간의 적극적인 소통과 연대를 통해 궁극의 양자의 적극적인 공존관계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Vulnerable labour groups(peripheral workers) have been expanded in the recent Korean society while employment patterns are being diversified and labour markets are being polarized. Representating the interests of those groups is limited by means of the traditional frame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Under this circumstance, new types of organizations are emerging to protect the interests and rights of the peripheral labour in the middle field between trade union and civil soci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se attempts with a conceptual frame of ‘Quasi-Union’ and tries to adapt it to the current Korean experiences. The three organizations analyzed in this study have recently emerged; are functioning in various fields to overcome the weakness of peripheral labour; and have found meaningful ways to represent their rights and interests. Since those are limited due to the non-union form in terms of their impacts, they should try to overcome the limits by seeking solidarity with external resources such as trade union or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 support for these ties is required to fill the gap in representing the interests of peripheral labour based on quasi-union organizations. Picking up the common functioning of the different practices of interest representation and applying the ‘quasi-union’ concept for them, this study explores a possibility to theorize it both practically and academically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