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 장의 저해상도 영상으로부터 고해상도 영상의 생성방법

        김응규(Eungkyeu Kim),이도겸(Dokyeom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C

        본 논문에서는, 한 장의 저해상도 영상으로부터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고해상도 영상과 저해상도 영상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형연립방정식을 푸는 원리에 기초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정식은 일의적으로 정해지지않기 때문에 고해상도 영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미지수를 축소하기 위한 이산코사인변환(DCT)의 에너지 집중특성을 이용하였다. 또한 그 구현방법으로 저해상도 영상을 일련의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 각 블록영상에 적용하는 블록분할법(block division method)과 전체 프레임 영상에 직접 적용하는 전 프레임법(full frame method)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제안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실험영상에 적용한 결과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 흉부 X선 영상에서 폐 종류 음영 검출필터

        김응규(Eungkyeu Kim),이도겸(Dokyeom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1C

        본 논문에서는, 폐 종류 음영검출에 대해서 다중해상도 필터를 에너지 차분 영상에 적용하여 기존 방법과의 비교평가 및 폐 종류 음영검출 자체에 관하여 그 검출성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선택해서 분석을 하였다. 다시말해서, 폐 종류 음영 검출자체에 관해서 복수의 분석인자를 선택해서 복수의 관점에서 성능을 분석하였다. 즉, 영상 인자로서 보통 X선 영상 및 에너지 차분영상을, 검출필터 인자로서 라플라시안-가우시안 필터, 최소방향 차분필터 및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다중해상도 필터를 선택해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폐 종류 음영검출에 있어서 에너지 차분 영상의 유효성, 최소방향 차분필터의 보통 X선 영상에서의 효과 및 다중해상도 필터의 에너지 차분 영상에 있어서의 유효성을 식견으로서 터득하게 되었다.

      •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중인증방식의 전자지불 시스템의 개발

        김성일(Sungill Kim),김용민(Yongmin Kim),김현익(Hyunik Kim),정창훈(Changhoon Jung),김응규(Eungkyeu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Ⅰ

        최근 전자상거래의 활성화와 더불어 기존의 유선인터넷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자지갑 (S/W)등 전자상거래 방식에서 Smart Cαrd 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독립적인 유/ 무선 단일을 사용하는 전자지불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지불 시스템에 Bluetooth를 이용하여 안전한 사용자 인증 및 종단간의 보안을 제공 전자화폐의 발행/지불이 가능한 전자지불 시스템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각 단일의 서브셋(subset)으로 Bluetooth 컨트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전자지불 시스템으로서 전자지갑 및 전자화폐 발행기/자동판매기를 구현하여 각각의 보안 통신과 전자화폐의 발행/지불이 가능함을 나타냈다. 구현 결과물은 실제 전자지불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