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간투자사업과 재정사업 성과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민간투자사업을 중심으로

        김은지 ( Kim¸ Eunji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3

        전통적 재정사업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민간투자사업제도가 도입되었고, 지방자치단체 역시 다양한 민간투자사업을 시행해왔다. 2020년도 기준 전라북도 민간투자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라북도의 민간투자 사업은 대부분 하수관거정비임대형 사업에 해당하고 시설임대료 대부분이 국가 및 도비 부담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업 유형은 이론적으로 민간자본 투입을 통하여 사업효율성이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장기적인 자본투입과 낮은 수익성으로 사실상 민간자본의 참여 유도가 쉽지 않다. 더욱이 전라북도 민간투자사업 상환금 세부내역을 살펴본 결과, 향후 전북지역 재정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민간투자사업의 성과를 높이는 것은 곧 정부 재정을 절감하고 재정운용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길이라는 점에서 민간투자사업의 성과와 재정사업의 성과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민간투자사업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업추진 단계에서 경제성 분석을 통한 수요예측과 정확한 비용 산정이 중요하다. 과거 사업추진 단계에서 무산된 전주 경전철 사례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 분석 결과를 주민에게 공개하고 민간투자사업에 대한 주민의 여론을 수렴할 필요가 있다. The PPP system was introduc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financial projects, and local governments have also implemented various PPP projec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Jeollabuk-do private investment as of 2020, it can be seen that most of the private investment projects in Jeollabuk-do are sewer pipe maintenance rental-type projects, and most of the facility rental fees are operated by the government and the provincial government. Although this type of business has the theoretical advantage that business efficiency can be secured through private capital input, it is difficult to induce private capital participation in reality due to long-term capital input and low profitability. Moreov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tails of the repayment of the private investment project in Jeollabuk-do, there is a concern that it may act as a heavy burden on the Jeollabuk-do region's finances in the future. The performance of the PPP project and the performance of the financial project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in that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PPP project is a way to reduce the government finances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financial management. For a PPP project to be successful, it is most important to predict demand and accurately calculate costs through economic analysis in the project implementation stage. In order not to repeat the case of the Jeonju Light Rail Transit, which failed in the past project promotion stage, it is necessary to disclose the results of thorough preliminary analysis to the residents and collect public opinion on the private investment project.

      • KCI등재

        경력개발과 번영감, 그리고 잡크래프팅 간의 관계

        김은지 ( Eunji¸ Kim ),문재승 ( Jaeseung¸ Moon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1 기업경영리뷰 Vol.12 No.3

        최근 국내에서도 조직행동분야에서 번영감에 대한 논의가 점차 관심을 받고 있다. 번영감이란 조직 구성원이 업무수행과정에서 지각하는 활력감, 학습감이 결합된 개념을 말한다. 번영감의 긍정적인 영향력 때문에 연구자와 실무에서 번영감에 관한 관심이 높고, 이에 따라 관련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여전히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그리고 메커니즘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번영감의 선행 요인과 결과영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력관리행동과 조직경력개발지원을 번영감의 선행요인으로 잡크 래프팅을 번영감의 결과요인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실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 기업에서 근무하는 477 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관리행동은 번영감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경력개발지원은 번영감에 정(+)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번영감이 잡크래프팅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번영감은 경력관리행동과 잡크래프팅 간의 관계와 조직경력개발지원과 잡크래프팅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Recently, ‘thriving at work’ has been receiving attention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riving at work refers to a concept that combines the sense of vitality and learning that employees perceive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asks.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interested in ‘thriving at work’ and related research is con-tinuing because of the positive impact of it. However, there is still a need for research to explore the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mechanisms. Thus,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riving at work’ that were not addressed in previous studies. Specifically, this study designed and demonstrated a research model in which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areer development support were antecedents for thriving at work and job crafting was a consequence of it. For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77 employees working in domestic companie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areer management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hriving at work.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career development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hriving at work. Third, thriving at 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Fourth, thriving at work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job crafting, and between support for organizational career development and job crafting.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를 위한 제언

        김은지,이성신,Kim, Eunji,Lee, Seongsi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현황을 노인 이용자들과 사서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나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를 위한 실질적 제언을 하고자함에 있다. 노인 이용자와 사서들의 노인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해 ALA 서비스 가이드라인을 활용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자료는 질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 이용자들은 다음과 같은 열 가지 사항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맞춤형 평생교육 프로그램,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강사진의 우수한 자질과 이의 유지를 위한 정기적인 평가, 셋째, 다양하고 새로운 정보자원의 제공, 넷째, 도서관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 홍보, 다섯째, 도서관 직원의 친절한 태도 및 전문성 유지, 여섯째, 정기적인 도서관 직원 교육, 일곱째, 노인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 편의와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교육, 여덟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맞춤형 자료, 시설 및 설비, 아홉째, 여가 시간 활용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의 역할, 열 번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편리한 맞춤형 도서관 서비스. 이에 덧붙여 도서관 사서들은 다음의 네 가지 사항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맞춤식 서비스와 프로그램, 둘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장서, 시설 및 설비, 셋째, 노인 서비스를 위한 예산 확보, 넷째, 노인 서비스를 전담할 수 있는 전문 인력. 두 집단 모두 노인이용자를 위한 맞춤 서비스, 프로그램, 장서, 시설, 설비가 필요하며 노인 서비스 전문 사서와 이들을 위한 정기적인 교육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mmend on the public library service for older adul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older adults and librarians.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interview method was employed. The interview questions are composed based on the ALA guidelin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ten factors were recommended by older adults: 1) various customized life long learning programs for older adults, 2) highly qualified staff for the public library life long learning programs and regular evaluation for the staff, 3) provision of various and new information resources, 4) promotion of public library services and programs, 5) public library staff's kindness and professionalism, 6) regular reeducation of the public library staff, 7) library user education, 8) customized resources, facilities, and equipments for older adults, 9) provision of the library space, and 10) customized library services for older adults. In addition, the following four factors were mentioned by librarians: 1) customized services and programs for older adults, 2) customized collection, facilities, and equipments, 3) adequate budget for public library service for older adults, 4) professionals for the public library service for older adults. The followings were recommended by both the older adults and librarians: 1) Customized library services, programs, collection, equipments, facilities for older adults, 2) Professionals for the public library service for older adults and Regular reeducation for the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족확대기 기혼간호사의 일-가정 양립에 대한 주관성 연구

        김은지(Eunji Kim), 김희정(Hee-Jeong Kim), 차혜경(Hye-Gyeong Cha) 다문화건강학회 2023 다문화건강학회지 Vol.13 No.1

        Purpose: This study categorized the work-family balance for married nurses during the period of family expansion and then applied the Q-methodology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customized family-friendly policies suitably attun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typ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married nurses working in hospitals during the period of family expansion. A total of 219 Q-populations were sele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Then, 39 Q-samples were selected, and 32 P-samples were extracted at online cafes and hospitals in Korea. After the subjects performed Q-sorting, they filled out the reasons for choosing the statement classified as extrem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C-QUANL Program. Result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s follows: 1) Harmony in work-family balance, 2) Crisis in work-family balance, 3) Family-centered work-family balance, and 4) Work-centered work-family balance. Conclusion: Customized family-friendly polic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should be developed to ensure that the careers of married nurses during the period of their family expansion period are not interrupted due to the requirements of childcare or job change, thus enabling them to work for a long time as skilled and experienced nurses.

      • KCI등재

        국고보조사업의 편익 범위에 따른 재정지원의 적절성 분석

        김은지 ( Kim Eunji ),김영록 ( Kim Youngrok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3 No.4

        본 연구는 중앙과 지방의 사무가 혼재되어 있는 국고보조사업을 대상으로 중앙과 지방의 사무배분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국고보조가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는 편익의 유출효과(spill over)가 발생하는 사업이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실제로 국가적 편익과 지방의 편익 비중에 따라 중앙과 지방 간 사무배분과 재정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인 2015년 국고보조사업 중 지방자치단체 경상보조 사업 710개를 대상으로 국고지원 비율이 50% 이상을 받는 경우, 50%인 경우, 50% 이하의 경우로 구분하고 사무의 편익이 중앙, 광역, 지방인지를 평정하여 국고보조금 비율과 사업의 영향력에 대한 모형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 전체에 대한 파급력을 갖는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국고보조금이 제대로 지원되지 않는 사업이 59%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방 혹은 광역사무임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재정지원이 상대적으로 큰 사업은 16.4%로 나타나 지방 혹은 광역 사업에 필요 이상으로 재정 지원이 과다하게 투입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편익의 외부효과 발생여부에 따라 재정지원 여부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기준으로 국고보조사업을 재검토한다면 상당부분 국가 재정 효율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whether central and regional business allocations are being made. For this purpose, we hypothesized that the high national subsidy rate should be a project with high national benefits. Among the fiscal subsidies in 2015, 710 local government subsidies were classified into 50%, 50%, and 50% subsidies. Awareness was assessed to estimate the model of the state subsidies and the impact of the project. As a result, despite the fact that the project has a ripple effect on the whole country, 59% of projects that the government subsidies are not properly supported are close. On the other hand, despite local or regional office work, 16.4% of the countries have relatively high financial support, indicating that excessive financial support is being provided to local or regional projects.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jurisdiction is similar in this way,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entral office and local office is not preempted in the transfer of office work

      • KCI등재후보

        李荇의 유배시에 나타난 정서 양상

        김은지(Kim Eunji) 국어문학회 2011 국어문학 Vol.50 No.-

        본 연구는 李荇이 충주, 함안, 거제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며 지은 유배시에 나타나는 시적 정서를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조선전기의 중앙집권체제는 중기로 접어들면서 서서히 붕괴되었고, 사대사화가 일어나면서 혼란은 더욱 심해졌다. 이로 인하여 관직에 나아간 이들은 뜻을 펴기도 했고, 정치적으로 뜻을 잃어 유배를 당하기도 했다. 유배는 죄를 범한 자를 죽이지 않고 멀리 유배지로 보내어 終身토록 돌아오지 못하게 하는 형벌인데, 이런 극적인 체험은 유배를 당한 인물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여기서 유배생활은 정치적 삶과 전원생활로 대표되던 당시의 삶에 빠질 수 없는 또 다른 삶의 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삶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는 李荇의 유배시를 대상으로 시에 나타난 정서와 정서의 변화양상을 살피겠다. 李荇은 연산 10년(1504)에 일어난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유배 길에 올라 3여 년 동안 충주와 함안을 거쳐 거제도로 유배지를 옮겨 배소되었다. 유배지를 옮길 때마다 충주에서는 ≪謫居錄≫, 함안에서는 ≪南遷錄≫, 거제도에서는 ≪海島錄≫을 제목으로 詩稿로 남겼다. 유배시에 나타나는 정서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기준으로 삼은 것은 현실을 바라보는 시적화자의 태도이다. 유배 상황에 대한 李荇의 시적 발화 과정을 현실에 대한 갈등 표출(외현화/내면화)이라고 보고, 각기 다른 상황에서 쓰인 시를 살피기 위하여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행의 유배시는 분류한 기준에 따라 정서 층위를 부정적 정서와 긍정적 정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유배자는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서 현실을 이야기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시에서 현실에서의 갈등을 어떻게 나타내느냐로 정서의 양상을 살필 수 있으며, 현실과의 갈등 또는 내적 갈등을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謫居錄≫의 초창기에 나타나는 좌절과 절망하는 自嘆의 정서는 ≪南遷錄≫에서는 스스로를 위안하는 自慰의 정서로 나타남으로써 긍정적 정서로 나아가려한다. 이러한 현상은 ≪海島錄≫에서의 유배온 여러 인물들과 교유를 통하여 그가 느낀 좌절과 고독감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 오히려 스스로를 되돌아 볼 기회를 찾은 듯 보인다. 그리하여 自照의 정서로 가닥을 잡았다. 이행은 자신의 내면에 관심을 가지고, 혼란한 현실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는 태도를 형성해 갔던 것이다. 현실의 불만을 적극적으로 내면화한다는 것은 시적화자가 갈등을 조화롭게 해결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런 과정은 시적화자이자 작가가 현실에서의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이행의 시세계와 문학이 가지는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믿고 여기에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poetic emotion shown in the poem made by Lee Haeng while exiling in Chungju, Haman province and Geoje Island. The centralism of early Chosun period slowly collapsed during the middle age and the society was in chaotic situation with the four events of massacre of scholars. Hence, the some people who entered the government service accomplished their will or some were exiled by losing the political power. The exile is a sort of punishment which criminals were sentenced for rest of their lives instead of the death sentence, then these extreme experiences influence the exiles. The exilic life is the other aspect which cannot be missed for the politicians of those times with the political and rural life. Let’s look at the poetic emotion and emotional changes shown in the poems by Lee Haeng during the exile. Lee Haeng’s exile was assigned to Chungju at first for 3 years then to Geoje Island through Haman province by involving in the Gapja massacre of scholars. As he moved the place of exile, he left manuscripts of poems with the tile of Jeokgeorok(≪謫居錄≫) in Chungju province, Namcheonrok(≪南遷錄≫) in Haman province and Haedorok(≪海島錄≫) in Geoje Island. The criterion of classifying the types of emotions in exilic poetry is the attitude of poetic mind toward the reality.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reality is changed depending on the exilic situation. The types of emotions can be described as the way how to express the conflicts against the reality and we can see how to solve the problem against the reality or internal conflict. The frustrated and the desperate emotion of self lamentation shown at the beginning of Jeokgeorok(≪謫居錄≫) changed into the positive emotion as comforting himself in Namcheonrok(≪南遷錄≫). This transformation seemed to somewhat solve the desperation and solitude through the friendship with the other exiles and rather to have the opportunity to look back himself in Haedorok(≪海島錄≫).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e poem attained the emotion of self enlightenment. Lee Haeng internally looked over himself and established the attitude of making more objective observation of his nature in the chaotic reality. The active internalization of dissatisfaction toward the reality shows poet himself solving the conflicts harmonically. This can be known as the process in which the writer or poet solves the problems of real world.

      • SCOPUSKCI등재

        리튬-황 전지용 폴리실세스키옥산 고분자 가교제로 제조된 겔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김은지 ( Eunji Kim ),이성수 ( Albert S. Lee ),이진홍 ( Jin Hong Lee ) 한국공업화학회 2021 공업화학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가교성 작용기가 기능화된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키옥산(LPMA64)을 합성하였고, 이를 액상 전해질의 열 가교 공정에 활용하여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겔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5 wt%의 낮은 LPMA64 고분자 가교제 함량으로도 전해질 내 네트워크 구조가 잘 발달하여, 우수한 형태 안정성과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가지는 전해질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하이브리드 겔 고분자 전해질이 적용된 리튬-황 전지는 안정적인 율속과 장수명 성능 및 높은 쿨롱 효율을 나타냈으며, 이는 완화된 리튬 폴리설파이드 셔틀 현상에 기인했다. 본 연구결과는 제조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겔 고분자 전해질이 리튬-황 전지 응용에 유망한 전해질임을 보여주었다. A ladder-like polysilsesquioxane (LPMA64) functionalized with a crosslinkable group was synthesized and used for the preparation of organic-inorganic hybrid gel polymer electrolytes through a thermal crosslinking process of the liquid electrolytes. A small weight percent of LPMA64 polymer crosslinker (5 wt%) was able to form a well-developed network structure, resulting in good dimensional stability with high ionic conductivity. The lithium-sulfur batteries fabricated with organic-inorganic hybrid gel polymer electrolytes exhibited stable C-rate and cycling performance with excellent Coulombic efficiency due to the alleviated lithium polysulfide shuttling effect during prolonged cycling.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organic-inorganic hybrid gel polymer electrolytes could be a promising candidate electrolyte for application in lithium-sulfur batte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