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SysML 기반의 안전성과 보안성을 위한 통합 해저드 분석 프로세스

        김은비,한혁수 한국정보과학회 2019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6 No.12

        In a safety-critical system, an accident may cause harm to people and th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thoroughly analyze potential hazards and elicit safety requirements from the concept phase of the system to be developed. Traditionally, component failure has been considered a major hazard. However, in modern systems, software faults and failed interactions among components are other major hazards that must be considered. As wired/wireless network connection plays a major role in recent systems, cyber security has become a major system safety concern. Such threats from hackers should be considered in hazard analysis. In the past, hazard analysis in safety and threat analysis in security have been treated as independent activities. As reports about the common assets and the complementary features of both techniques have been released, combining these two analysis techniques has attracted interest in the safety area. The major focuses of this study involved the analysis techniques and the assessment methodologies. Prior studies that have combined hazard and threat analyses have not provide systematic processes that can be followed by practitioners, which is a critical inconvenience in developing safety critical systems for the field. In this paper, we propose a hazard analysis process based on SAMM that integrates threats related to safety using SysML diagrams. We applied the proposed process to a remote parking assistance system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안전 필수 시스템(safety critical system)들은 사고가 나면, 사람과 환경에 큰 재난을 가져온다. 따라서 시스템의 개념 단계(concept phase)부터 잠재적인 해저드(hazard)를 철저히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안전 요구사항(safety requirement)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전성 분야에서는 전통적으로 컴포넌트 실패의 가능성을 분석하고 대비해 왔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소프트웨어의 결함과 컴포넌트들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실패까지도 해저드 분석에 포함하고 있다. 시스템이 유선/무선 네트워크 등으로 연결되는 것이 일반화 되면서 사이버 보안성(cybersecurity)이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해커들의 공격으로 인하여 시스템이 제어권을 잃으면, 이는 곧 안전성에 치명적인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에, 이러한 위협(threat)들도 해저드 분석 시 파악하고 대비해야 한다. 과거에는 안전성의 해저드와 보안성의 위협을 독립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두 분야의 분석 기법들에는 공통점이 많고, 상호 보완할 수 있는 부분들이 있다는 것이 파악되면서 이들을 결합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 분야의 연구들은 주로 분석 기법들의 공동 활용과 심사 방법에 중점을 두어왔다. 해저드 분석과 위협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들이 있기는 하지만,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제시하지 않아 실무자들이 현장에서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본 논문에서는 개념 단계에서 해저드와 위협 분석을 체계적으로 통합하기 위해 SysML의 행위와 구조 다이어그램들을 활용하는 SAMM 기반의 해저드 분석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제안한 프로세스의 효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원격 주차 지원 시스템에 적용해 보았다.

      • KCI등재

        이집트 엘시시(El-Sisi) 정권 안보의 취약성

        김은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중동문제연구소 2018 중동문제연구 Vol.17 No.4

        Therefore, a military regime puts efforts in 1) centralizing its authority, 2) preventing another coup by comforting its military, and 3) obtaining legitimacy. However, in order to centralize the authority, a military regime represses dissenters and restricts individual freedom; to comfort its military, it allows the military to intervene in politics and/or have economic privileges; and to obtain legitimacy, it tries to show better political / economic performance by differentiating itself from the former regime. Since El-Sisi came to power through a military coup, he has implemented such policies to survive in his office as well. However, unlike the other two factors, Egypt’s economic condition is not in the proper condition, which threatens the regime’s security. If the Egyptian economy improves, as there is no alternative political group or leader, Egypt looks likely to remain in a military regime. Nevertheless, the problems of human rights abuse need to be addressed and solved for the regime’s security in the long run.

      • 환경요인에 따른 언어습득능력의 차이에 관한 연구

        김은비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2 에니어그램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20-31개월 영아의 개인적 변인(성, 월령, 기질), 인적 환경 변인(어머니 변인, 가족 변인), 물리적 주변 환경 변인에 따른 언어능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 1]에서는 21-32개월 유아 10명을 대상으로 영아의 언어능력이 개인적 변인(성, 월령, 기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연구문제 2]에서는 유아의 언어능력이 인적 환경 변인인 어머니 변인(연령, 학력, 취업유무, 월소득, 양육행동)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문제 3]에서는 영아의 언어능력이 주변 환경 변인인 가정문해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유아들의 언어 학습은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유아들은 그들의 일상에서 끊임없이 언어사용에 대한 가설을 형성하고, 검증하고, 수정하면서 살아간다. 그들은 음식을 먹으면서, 놀면서, 대화하면서, 책을 읽으면서, 인사를 하면서 언어를 배운다. 이처럼, 생활 환경 속에서 자연스럽게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배울 수 있다는 것이 언어사용의 매력이기도 하다. 따라서, 유아들을 둘러싸고 있는 언어적 환경은 유아들의 언어 학습에 매우 중요한 변인이다. 유아들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은 유아들의 언어사용에 대한 가설을 검증시켜 주고, 더 나아가 이들의 언어사용을 경험시키고, 확장시키는 역할까지 한다. 유아는 그가 처한 환경에 따라 크게 다르게 행동한다. 유아는 적목 놀이 영역과 읽기 영역에서 크게 다른 행동을 한다. 그것은 환경에 따라 유아들이 기능적으로 행동을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같은 역할 놀이 영역에서도 어떤 교구들이 어떻게 비치되어 있느냐에 따라 유아들은 다르게 행동한다. 그것은 결국 유아들은 그들이 처한 환경 속에서 자연스럽게 언어를 기능적으로 사용하며 논다는 뜻이다. 환경과 유아 행동 간의 이와 같은 관계에 대한 인식은 우리가 환경을 구성할 때 아무렇게나 함부로 환경을 구성할 것이 아니라 매우 주의 깊게 구성할 것을 요구한다.

      • KCI등재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학과만족도의 관계와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김은비,김종윤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s a response to future societ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ollege students,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protean career attitude,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protean career attitude,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Third, protean career attitud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career preparation bhavior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 and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It is necessary to generally review the college’s directionality of career development services based on this study. 이 연구는 미래사회 대응능력으로서 프로티언 경력태도, 진로준비행동과 학과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4년제 대학교 재학생들에게 설문을 진행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학과만족도 그리고 진로준비행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학과만족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의 관계에서 학과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 기초하여 대학의 경력개발서비스 방향성을 전체적으로 검토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대졸 신입사원의 교육 및 훈련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은비,최지수,김정원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9 No.1

        Thi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college graduates, who are early-career employee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transfer and self-esteem. For this, an analysis was conducted by utilizing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 research was performed from February 2021 to April 2021 using “2017 GOMS DATA,” which is the data organized most recently regarding the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in 2018.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use of SPSS21.0, AMOS22.0, and PROCESS macro.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influe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on learning transfer was significantly positive, and the influence of learning transfer on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positive as well.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work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 between learning transfer and work performance was negative, and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 and training and self-esteem was not significant. Lastly, the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showe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transfer and self-esteem dur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which leads to increasing work performance. Based on this,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 and training for early-career employees should be preceded and development of specific programs to raise their self-esteem is necessary in order to enhance their work performance. 본 연구의 목적은 대졸 신입사원의 교육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학습전이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대졸자이동경로조사(GOMS)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장 최근에 조사 실시 및 자료 정리가 완료된 2018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인 ‘2017 GOMS DATA’(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를 활용하여 2022년 2월부터 4월까지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21.0, AMOS22.0,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 및 훈련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즉, 정(+)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학습전이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한 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에도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학습전이와 업무성과는 부(-)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교육 및 훈련과 자아존중감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PROCESS macro를 활용한 분석을 통해 교육 및 훈련과 업무성과 사이에 학습전이와 업무성과를 통한 매개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대졸 신입사원의 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기경력자의 교육 및 훈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통한 한국의 경력단절 여성정책의 수요탐색

        김은비,박수빈,문미혜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9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labor shortage related to career-interrupted women by training and utilizing manpower more effectively. It first classified the polici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secondly carried out a Delphi survey to verify the validity of experts. The Delphi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CVR value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the detailed policy, every expert highly agreed on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women leaders DB system and expanding career-customized and occupation-customized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female workers, re-entry of career-interrupted women to the labor market will be a way to solve the labor shortage caused by the decrease in productive population. Career-interrupted women are a huge potential labor force, so they are certainly important human resources to be secured. In order to help facilitate the re-employ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oci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where work and life balance is realized and create appropriate corporate working cultures. In addition, policie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s capabilities through lifelong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various jobs need to be created. 본 연구는 경력단절 여성이 수반하는 노동력 부족의 문제를 인력의 양성 부분으로 해결하기 위해 1차적으로 문헌연구를 통해 정책들을 분류하고, 이와 함께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전문가들로부터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델파이 기법은 수정된 델파이 기법으로 약식 진행되었으며, 평가영역별 최종 지표는 전문가들의 수정・보완 의견을 반영한 뒤 교육학 전공 박사 5인의 평가영역별 평가부문 통일과 어미 등 표현 일치 등의 검토 과정을 거쳐 최종 도출하였다. 델파이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경력단절 여성 정책에 대한 델파이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세부정책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CVR 값을 살펴본 결과, 여성인재 확대 영역의 ‘여성인재 DB 강화 및 경력, 직종별 맞춤형 교육 확대’는 모둔 전문가들로부터 정책의 중요성에 대해 높은 동의를 보였다. 여성인력 활용의 경우, 특히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의 재진입 또한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서 생산인구 감소에 따르는 노동력 부족 현상에 대한 새로운 해결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우리나라 경력단절여성은 노동 가능 여성인구의 22.4%를 차지하는 다수의 잠재 노동력으로 볼 수 있으므로, 경력단절여성은 현 상황에서 꼭 확보되어야 할 중요한 인적자원이다.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돕기 위해서는 일, 가정의 양립을 위한 사회적 환경과 분위기 조성, 기업 과 제도의 확립과 새로운 근로문화 정착이 매우 필요하다. 또한 경력단절여성들의 역량향상 및 실제적인 일자리 개발과 확보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날씨 기반 옷 추천 프로그램 구현: 오늘 뭐 입지?

        김은비,김지연,임순범 숙명여자대학교 ICT 융합연구소 2017 ICT 융합연구 동향 Vol.- No.5

        최근 스마트폰의 ㅇ사용이 보편화 되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등장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날씨에 따라 옷을 추천해주는 스마트폰 앱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된 앱에서는 기기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날씨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날씨에 맞는 옷을 추천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또한, 위치 정보를 게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날씨의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들은 날씨를 쉽고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고 날씨에 알맞는 옷차림을 고민 없이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