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적으로 신학하기(Doing Theology Publicly): 헤르만 바빙크를 중심으로

        김은득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3 조직신학연구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erman Bavinck’s theological prolegomena in terms of the current public-theological debate between the Chicago and the Yale school. Bavinck’s public theology represented by his prolegomena serves as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 of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Christian theology: Bavinck makes public arguments about the knowledge of God without losing Christian particularity. In his prolegomena, Bavinck argues for theology as a science 1) by articulating theological principia in a reasonable way that is open to all reasonable persons through the Logos theory and 2) by stressing the formal function of faith and correlating faith and special revelation in theological principi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undation of theological knowledge, Bavinck seeks to make theology a science belonging properly within the university. With his commitment to put theological principia on strictrly public grounds, Bavinck is a public theologian in terms of the standards of David Tracy and Linell E. Cady. On the other hand, Bavinck emphasizes the indispensability of theologian as a believer in doing theology as a special science. Also, Bavinck acknoweldges that there are no universal criteria which can be identifi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Christian faith outside the context of the community of all believers. Rather than determining the ground of faith in terms of the standards of universal rationality, Bavinck presupposes the validity of first principles of Christian faith as in other sciences scientists assume first principles as true until proven false. In this sense, Bavinck’s approach is similar to the position of the Yale school because postliberal theologians propose a public way of doing theology as emphasizing coherence of theological truth claims within a particular faith community with shared convictions and languages. 본 연구의 목적은 헤르만 바빙크의 신학서론을 최근 시카고 학파와 예일 학파 간 공적-신학 논쟁의 관점에서 살펴 보는 것이다. 신학서론에서 드러나는 바빙크의 공공신학은 기독교 신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논쟁의 이슈에 하나의 대안이 될 것이다. 바빙크는 기독교 특수성을 훼손하지 않고도 하나님 지식에 관한 공적인 논증을 제공한다. 바빙크는 신학서론에서 학문으로서의 신학을 위한 논증을 다음과 같이 제공한다: 1) 그는 로고스 이론을 통해 모든 합리적인 사람들에게 열려 있는 논리적인 방식으로 신학적 원칙들을 제시한다; 2) 그는 신앙의 형식적 기능과 신학적 원칙들 내 신앙과 특별 계시의 상호연관성을 강조한다. 신학적 지식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으로부터, 바빙크는 신학을 대학교 내에 합당하게 속할 학문이 되도록 추구한다. 신학적 원칙들을 공적 근거 위에 놓으려는 시도를 통해서 볼 때, 바빙크는 데이빗 트레이시와 리넬 캐디가 제시하는 공공신학의 기준에 걸맞는 공공신학자이다. 다른 한편으로, 바빙크는 특별학문으로서 신학을 수행할 때, 신학자가 신자여야만 하는 필수불가결성을 강조한다. 또한, 바빙크는 모든 신자들의 공동체 이외에 기독교 신앙의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는 보편적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한다. 보편적 합리성의 기준으로 신앙의 근거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바빙크는 다른 학문에서 학문의 제 1원칙들이 오류가 입증될 때까지 참으로 가정하는 것처럼, 기독교 신앙의 제 1원칙들의 타당성을 전제한다. 이런 측면에서, 바빙크의 접근 방식은 예일 학파의 입장과 유사하다. 왜냐하면 후기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신학을 공적으로 행하는 방식으로 특정 확신과 언어를 공유하는 신앙 공동체의 신학적 진리 주장의 정합성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세속 시대의 한국 교회를 위한 공공신학

        김은득 기독교통일학회 2023 기독교와 통일 Vol.14 No.3

        본 논문은 세속 시대의 출현에 기반하여 한국 교회를 위한 공공신학을 다룬다. 먼저 삶의 모든 영역에서 보편적인 규범이며 전제로 받아들여졌던 기독교가 세속화(사회적 분화과정이든 세속주의든지 간에)로 인해 공적 영역에서 주변화되고 사사화된다. 더 나아가 세속 시대에는 초월적 혹은 초자연적인 세계관이나 가치가 없어도 내재적 프레임만으로 충분하게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한다. 찰스 테일러가 강조하는 이런 변화의 중심에는 “믿음의 조건” 즉 무엇이 믿을만한지에 대한 전제가 바뀌었다는 것이다. 기독교 사회(크리스텐덤)에서 전혀 상상할 수도 없던 배타적 인문주의도 세속 시대에는 우리의 대다수가 가장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본 옵션이 된다. 부풀려진 자아로 대변되는 세속 시대에서 종교의 선택과 판단 기준은 오로지 자신에게 달려있기에 표현적 개인주의가 득세하게 된다. 이런 표현적 개인주의의 사회적 상상력이 지배하는 시대를 또한 “진정성의 시대”라고 일컫는다. 이런 시대를 지배하는 가치는 선택의 자유이며, 그런 시대에 유일한 죄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불관용이다. 사실상 한국 사회 역시 세속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면, 한국 교회에 필요한 공공신학은 무엇인가? 먼저 한국의 분단 상황에서 기독교 신앙을 가지고 공적 영역에 참여할 때, 그런 공공신학은 하나의 이데올로기가 될 수도 있는 위험을 경계해야 한다. 다양한 공적 이슈들에 대한 기독교적 대안들을 제시하는 공공 신학은 언제나 필요하다. 그러나 공론장에 참여할 때 한국 교회는 보편적인 합리성에 기반해야 한다. 여기서 보편적인 합리성은 계몽주의가 강조한 그런 가치중립적인 것이 아니라, 토론이 가능할 수 있는 열린 태도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세속 시대의 필요한 공공신학은 이런 부류의 공공신학을 체화한 공동체 그 자체이다. 진정성의 윤리가 실현되는 현장이 중요하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모든 생각과 모든 사회적 상상력을 그리스도에게 사로잡히도록 만들기 위해 공공성이 체화된 공동체이다. This paper examines public theology for the Korean church based on the emergence of a secular age. Initially, Christianity, universally accepted as a norm and premise in all areas of life, becomes marginalized and privatized in the public sphere due to secularization as social differentiation process or secularism. Furthermore, in the secular age, individuals find meaning and purpose of life solely within an immanent framework, even without a transcendent or supernatural worldview or values. The central aspect of the changes emphasized by Charles Taylor is the shift in the “conditions of belief,” meaning a change in the premises of what is considered believable. In the secular age, an exclusive humanism that was unimaginable in Christian society becomes the most easily accessible basic option for the majority. In the buffered self of the secular age, where religious choices and criteria are entirely subjective, expressive individualism prevails. This era, dominated by the social imaginary of expressive individualism, is also referred to as the “Age of Authenticity.” The most prevailing value in this era is the freedom of choice, and if there is any sin in such a time, it is undoubtedly intolerance. If Korean society is indeed entering a secular age, what kind of public theology does the Korean church need? Firstly, when participating in the public sphere with Christian faith in the context of Korea as a divided nation, one must exercise caution to prevent public theology from degenerating into a political ideology. Public theology that presents Christian alternatives to various public issues is always necessary. However, the Korean church must engage in public discourse with universal rationality. Here, universal rationality is not the value-neutral concept of the Enlightenment but an open attitude that allows for debate. Above all, the secular age calls for a community embodying public theology, where the ethics of authenticity are realized. We need a community that draws all our thoughts and social imaginations toward Christ.

      • KCI등재

        공공신학자로서 아브라함 카이퍼의 명암: 칼빈주의 강연을 중심으로

        김은득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3 조직신학연구 Vol.45 No.-

        이 소논문은 아브라함 카이퍼의 칼빈주의 강연을 공공신학의 카테고리에 비추어 살펴본다. 비록 카이퍼가 스스로를 공공신학자로 지칭하지 않을지라도, 그의 대표적 저서, 칼빈주의 강연 은 카이퍼가 최근 학문적 의미에서 공공신학자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칼빈주의를 기존의 교리서술 방식, 즉 로치(loci)가 아닌 세계관으로서 소개할 때 카이퍼의 명암도함께 살펴본다. 몇몇 신학자들(예를 들어, 로널드 띠먼, 맥스 스택하우스, 윌리엄 플래처)은 공공신학을 정치, 학문, 예술 등과 같은 공적 영역에서 활동할 수 있는 신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으로 여긴다. 카이퍼의 자체 저술이나 그에관한 최근 연구도 카이퍼가 기독교 신학과 교리를 공적인 활동에 얼마나잘 적용했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모든 삶의 영역에 하나님의 주권”으로 대표되는 칼빈주의 삶의 체계 아래, 카이퍼는 공적 영역들에 참여할 수있는 신학적 근거들(예를 들어, 예정, 일반은총, 영역주권)을 제공한다. 그는 그 신학적 근거들을 공리적 원칙들로 재구성하는데, 칼빈주의자들의공적 참여에 구체적인 방향성을 끌어내도록 돕기 위함이다. 그러나, 최근 학문적 의미에서 공공신학에 걸맞은 칼빈주의를 구축함에 있어서, 카이퍼는 신적 주권을 칼빈주의의 중심교리로 간주하고 칼빈주의 교리들을 공리적 원칙으로 재구성하는데, 이는 기존의 고전적 교리서술방식이 아니다. 카이퍼가 삶의 체계로서 칼빈주의를 구축하는 방식이 그의 레이든 스승인 스홀튼의 방식과 유사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braham Kuyper’s Lectures on Calvinism in terms of the current public-theological debate. Although he never described himself in this exact term, his Lectures on Calvinism, the broad manifesto of his ideas demonstrates that he is a public theologian in the current academic sense. Describing Calvinism in terms of not theological loci, but worldview, however, Kuyper is criticized by his own standard, the antithesis to modernism. Some scholars (e.g., Ronald Thiemann, Max L. Stackhouse, William C. Placher) consider public theology to be the task of providing theological grounding for activity in the public sphere, including politics, science, art, and so forth. In this sense, Kuyper’s own corpus of writing and recent scholarship on Kuyper show clearly his application of Christian doctrine and theology to public life. Under the Calvinist life system, represented by the expression of “God’s sovereignty over all spheres of life,” Kuyper provides theological principles (e.g., predestination, common grace, and sphere sovereignty) for engaging in public spheres. He reformulates them into axiomatic principles, from which concrete directives for Calvinist public engagement are to be deduced. Seeking to construct Calvinism as public theology in the current academic sense, however, Kuyper considers divine sovereignty as Calvinism’s central dogma and reformulates Calvinist doctrines into axiomatic principles which are not a species of classical dogmatics. This clearly shows that Kuyper’s method of constructing Calvinism as a life system is similar to that of his Leiden teacher, Scholt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