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인의 한국어 치경폐쇄음에 대한 변별학습이 양순폐쇄음의 변별지각에 미치는 전이효과

        김윤현,김정오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17 No.4

        본 연구는 한국어를 학습한 경험이 없는 일본인의 한국어 치경폐쇄음 음소들(/ㄷ/, /ㄸ/, /ㅌ/)의 변별학습이 양순폐쇄음 음소(/ㅂ/, /ㅃ/, /ㅍ/)의 변별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한 선행 연구(김윤현과 김정오, 2005)는 일본인들이 한국어 치경폐쇄음을 학습한 뒤에 기식성 및 긴장성과 같은 음소의 변별 자질에 선택주의함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었다. 변별 학습으로 음소들의 범주화에 적절한 단서에 주의 하였다면, 치경폐쇄음 학습 후 음향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양순폐쇄음에 대한 범주화 수행이 향상될 것이다. 양순폐쇄음 세 음소가 치경폐쇄음의 경우와 동일한 변별 자질에 따라 구분되기 때문이다. 실험 결과, 치경폐쇄음 자극(/다/, /따/, /타/)만으로 이루어진 동일-상이판단 학습 과제에서 치경폐쇄음 파악의 정확율은 29.1% 증가하였고, 양순폐쇄음의 정반응율도 15.8% 향상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관찰한 이러한 전이효과는 치경폐쇄음의 변별학습 때문에 일본인들이 양순폐쇄음의 음소들을 구분하는 지각 차원들에 선택주의하게 되었음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We explored an effect of the Japanese' perceptual learning of Korean alveolar stop consonants(/t, t*, th/, /ㄷ, ㄸ, ㅌ/ in Korean) on discrimination of Korean bilabial stop consonants(/p, p*, ph/, /ㅂ, ㅃ, ㅍ/ in Korean). A study reported by Kim & Kim(2005) suggested that the Japanese can selectively attend to distinctive features(e.g., tense, aspirated) of Korean alveolar stops after learning these phonemes. If the Japanese attend to perceptual features of Korean alveolar stops through learning, they should be able to discriminate Korean bilabial stops more correctly, because those two consonant types have the same structure of three phonological contrasts(lenis, fortis, asperated). Our experiment showed that correct response on alveolar stop phonemes increased to 29.1%, in comparison to a pretest, after participants learned alveolar stops through a discrimination task. In particular, bilabial stop consonants, an identification rate for the bilabial stop consonants was raised to 15.8%, though these phonemes were never experienced. This transfer effect can be regarded as evidence that the Japanese can selectively attend to distinctive dimensions discriminating three phonological contrasts of Korean stops by perceptual learning.

      • KCI등재

        일본인의 한국어 치경폐쇄음의 변별지각 학습에서 표상의 변화

        김윤현,김정오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17 No.2

        This study explored changes for Japanese in perceptual representations of Korean Alveolar stop consonants(/t, t*, th/, /ㄷ, ㄸ, ㅌ/) during discrimination learning tasks. In Experiments 1 and 2, participants seemed to develope perceptual dimensions for Korean stop consonants through identification training of phonetic stimuli. The categorization of three phonetic stimuli greatly improved. According to a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within-category phonetic stimuli were perceived more similar to each other than between-categories phonetic stimuli. This result suggested that discrimination learning led to classification of the unfamiliar phonemes into new phonological categories. The identification rate of /t*/ in the post-test of Experiment 2 was higher than that of /t/ or /th/.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showing the influence of Japanese phonological structures on the phonological perception of Korean consonants, because phon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ense(for example, /t*/) were similar to that of a voiced consonant(/d/) in Japanese with respect to VOT. Selective attention to a VOT dimension is believed to be responsible for discrimination of /t*/ from other consonants. 본 연구는 일본인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어두 치경폐쇄음 3 계열(/ㄷ, ㄸ, ㅌ/)의 지각표상이 변별지각 학습에 의해 어떻게 변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실험 1의 참여자들은 본 실험 이전에 한국어를 학습한 경험이 있었고, 실험 2의 참여자들은 한국어 학습 경험이 전혀 없었다. 실험 1과 실험 2는 변별지각 학습(정체파악과제)에서 폐쇄음 3 계열의 음운 범주화를 조사하였다. 두 실험에서 지각 학습 후 3 음운 범주의 지각 반응율이 높아졌다. 실험 2에서는 학습 후 실시한 검사에서 /ㄸ/ 음운의 범주화가 두드러졌는데, 이 결과는 VOT에 따라 음성 자극들을 범주화하는 모국어(일본어) 폐쇄음 지각 체계의 영향 때문이다. 변별지각 학습을 통하여 참여자들은 동일 범주 자극들을 더 유사한 것으로 지각하였고, 상이 범주 자극들은 덜 유사한 것으로 지각하였다. 이 결과들은 변별지각 학습이 선택주의의 가중치를 조정하여 3 계열의 한국어 치경폐쇄음 범주 형성에 기여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 KCI등재

        두 개내 동.정맥 기형에서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의 유용성

        김윤현 대한영상의학회 199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30 No.1

        목 적: 두 개내 동.정맥 기형(AVM)의 진단 및 치료방향 설정에 있어서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의 유용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술과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검사에 의해 AVM으로 확진된 14예를 대상으로 3-D TOF 와 2-D PC, 3-D PC 기법으로 스캔한 MRA에서 관찰되는 AVM의 핵의 위치와 크기, 급양동맥과 유출정맥의 묘출되는 수와 해부학적 일치성을 자기공명영상(MRI) 및 고식적 혈관 촬영설(CA)에서 관찰되는 것과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 과: 핵의 위치 및 크기 파악에는 MRI와 MRA에서 큰 차이가 없었고 또한 이는 CA와도 큰 차이가 없었다. MRI에서 뇌혈종에 가려 AVM의 핵을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 3-D PC 기법을 이용한 MRA로 확인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급양동맥은 3-D TOF와 3-D PC 모두에서 잘 보였고 유출정맥은 3-D PC 기법에서 가장 잘 나타났으며 이는 CA의 결과와 큰 차이없이 관찰되었다. 결 론: 두 개내 AVM이 의심된 환자에 있어서 MRI와 MRA를 병행한다면 핵의 크기나 위치, 급양동맥과 유출정맥 등을 잘 파악할수 있어 동맥색전술이나 방사선치료 등 CA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핵의 정확한 위치나 급양동맥 및 유출정맥의 검사만으로 충분하여 MRI 및 MRA가 CA에 의한 뇌혈관검사를 대치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usefulness of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MRA) as a diagnostic modality and for treatment planning of intracrani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AVM)Materials and Methods : In 14 patients with intracranial AVM which were confirmed by operations, radiologic studios and clinical evalu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MRA and conventionalangiography(CA)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with specific regards to nidus depiction, detectability of feeding arteries and draining veins, and number and anatomic consistency of these vessles. MRA was obtained by 3-D TOF, 2-D PC, and 3-D methods with adequate VENC selection.Results: Nidus of AVM was well demonstrated in MRI and MRA, and no remarkable difference in defection and size estimation of nidus among MRI, MRA and CA except 2 cases of associated intracranial hemorrhage, in which 3-D PC MRA well depicted nidus that were not visualized on MRI because of subacute hemorrhage. Feeding arteries were well demonstrated on 3-D TOF and 3-D PC MRA. Dilated draining veins were well depicted on 3-D PC MRA by scannig with adequate VENC selection, and the results were no remarkable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ones on CA.Conclusion: MRA of a consecutive scan after MRI is a excellent modality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planning of intracranial AVM, and possible substitutive method for CA except for radiotherapy or transarterial embolization.

      • KCI등재

        배전반 전력측정용 전자 변류기 개발

        김윤현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중인 변류기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력계통의 시스템화를 위하여 전자변류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현재 무철심 잔류센서의 오차 범위는 5[%]이상이므로 정밀한 측정을 위한 1[%]이내 정밀도를 가진 전자변류기를 개발하며 차폐 및 내압 및 부분 방전 시험을 통한 코일 절연 설계 성능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적분기 회로및 고조파와 직류 오프셋 제거를 위한 필터 회로 설계와 전류 측정의 선형성, 위상 오차, 저전류 측정 가능 범위 등 성능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 고정밀 변류기 개발로 사고전류의 정확한 측정에 의한 전력계통의 안정성 도모 및 정확한 전력량 측정 등 배전반 등의 전력설비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전력계통에 사용중인변류기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력계통의 시스템화를 위하여 높은 정밀도를 갖는 무철심형 전자변류기(로고스키코일)를 개발하였다. 개발 결과 기존 변류기보다 상당한 수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무철심 구조에 의해 포화의 문제점도해결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 전력량의 측정의 기본인 전류의 측정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또한 무철심전류 센서 전용 검출 회로를 개발하여 검증하였으며 그 성능도 검증하였다. 성능의 검증을 위해 시험을 수행하였으며시험결과 정격전류 및 정격전류의 40배 이상의 대전류에서도 매우 우수한 측정 정밀도를 갖는 전류센서가 개발되어 즉시 사업화하여 양산개발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혀에 발생한 전이성 미분화다형태육종 증례 보고

        김윤현,홍진호,정재환,한승용,김현실,김형준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 2022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Vol.46 No.5

        Sarcoma is rare malignant tumors that develop from mesenchymal cells. Metastasis to the oral cavity is a rare occurrence. Undifferentiated Pleomorphic sarcoma(UPS), formerly known as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MFH), is rare spindle cell neoplasm that can have poorly prognosis with metastasis and local recurrence. This report describes a case of a 77-year-old man who was diagnosed with Undifferentiated Pleomorphic Sarcoma of the chest wall and underwent adjuvant radiation therapy after surgical resection. Although there was success of wide excision, two years later, he presented with metastasis to the several organs including tongue. W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of Next Generation Sequencing(NGS), and we figured out RB1 gene mutation. Until now targeted therapy of RB1 gene mutation is not established. Surgeon needs to consider metastatic tumors through identifying patients’ chief complaints and past medical & dental history. We need to research through NGS, and take a step closer to find targeted therapy for tum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