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우울과 삶의 질의 관계

        김원옥 ( Won Ock Kim ),강현숙 ( Hyun Sook Kang ),왕명자 ( Jmyung Ja Wang ),김정화 ( Jeong Hwa Kim ),최진이 ( Jin Yi Choi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우울,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서 일상생활동작,’ 우울, 삶의 질 정효〉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안구의 주요한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뇌졸중 환자들의 일상활동 수행능력을 측정하는 도 구로 FIM, Modificd Barthel Index (MBI) 등이 많이 쓰 이고 있는데 FIM은 분야에 상관없이 표준화를 통한 높은 실용성,실행성, 이해도로· 인하여 널리 사. 하고 있는 도구로 이를 이용하여 측정한 본 연구에서는 872점으로 국내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와 퇴원 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85. 9점 (Hw떼g, 2004) 과 85. 3점 (Kim, 2004) , 85. 8점 (Hong et al., 1998) 에 비하 여 약간 높아졌으나 비슷하였고, 일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77. 1점보다는 높은 결과이었다 (Hama et al., 2007) . 특히 하부역역인 운동영역은 다 른 연구에 비해 높았으나 인지영역은 다른 연구에 비 해 낮은 편이었다 (Hwang, 2004二 Hama et al. , 2007, Hong 嫩 al. , 200긱 Kim, 2004) . 미국의 지역사회시설 에 있는 뇌졸중이 처음 발병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재 활 후 5년간 환자를 추적한 연구에서 3년 후까지는 FIM점수가 상승하였으나 그 이후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고 본 연구에서는 친단 후 경과 기간이 35.5개월 (87.2점)로 퇴원 후 3년 된 시점의 결과no도4점) 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편이었다〈 Leonard, Mnler, Griffiths, Mcclatchie, & wherry, 1998) .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 회와 집에서 간호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지속적인 재활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입원을 한 직후부티 환 자에게 적절한 재활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시작하고 퇴원 후에는 연계되어 재활을 받을 수 있는 시설과 연결하여 환자가 지속적으로 재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병원과 지역사회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시행하는 개활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우울은 뇌졸중을 진단 받은 환자들의 급성기와 회 복기에 많이 동반되는 증상으로 본 연구에서도 CES- D를 이용하여 우울을 측정한 결과 23. 8점으로 Bak (2003) 의 연구와 비슷한 정도로 높게 측정되어 이 전의 연구결과와 같이 뇌졸중 환자의 가장 흔한 후유 증이 우울임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Cho et al. 2003, `` Chon & Rhee, 1992, `` Kim, 2005, `` Kim, Seo, & Kang, 2000; singh et al. , 2000) . 그러므로 입원 시부터 신체적인 증상 뿐 아니라 우울도 같이 사정하고 우울이 진행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찰과 정서적인 간호가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재활프로그램에 포함이 되어야 한다. 삶의 질은 3 ``03점으로 뇌졸중 환자 l이명을 대상으로 한 chung (2000) 의 연구에서 의 3. 41점보다는 낮았으나 Kim과 Kim (2003) 의 연구의 3. 17점과는 비슷하였고 전체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이런 결과는 최근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이 감소 되고 만성적인 뇌졸중 환자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재가뇌졸중 환자들에 대한 재활과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뇌졸중과 삶의 질은 단기간에 향상되는 것이 아니므로 개활 프로그램이 단기적인 것보다는 체계적으로 계획되고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져 삶의 질을 관찰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일상생활 동작을 잘 할수록 우울점수가 낮게 나타났고 삶의 질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우 울 정도가 심할수록 삶의 질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환자들에 대한 선행연구결과들을 살 펴보면 뇌졸중은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같은 신체적인 문제, 우울, 대인관계 감소 등의 사회적 문제가 발생 되고 장기적인 치료와 간호를 요구하는 질병으로서 최종적으로.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Chung, 2000; Hama et al. , 2007, `` Ingrid, Kwakkel, Bruin, & Lindeman, 2007; Khan, 2004; Kim & Kim, 2003; singh et al. , 2007) .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상생활동작, 우울, 삶의 질이 단계적으로 순환되는 관계로 서 모두 뇌졸중환자를 위한 재활프로그램 내용에 포함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런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뇌졸중은 환자 의 뇌손상을 일으켜 장기적인 우울과 신체적인 기능 장애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으므로 뇌졸중 환자의 재활프로그램은 입원을 하자마자 계획하여 치료와 동 시에 시작하고 특히 우울은 뇌졸중의 만성적인 건강 문제로 재활과정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신체적인 중 재와 더불어 정서적인 중재를 포함한 포괄적인 내용 의 프로그램이 바람직하고 장기적으로 삶의 질을 평 가함이 바랑직할 것이다. 또한 뇌졸중은 장기적인 재 활이 요구되는 질환이므로 단기간의 재활 프로그램을 병원에서만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퇴원 후 병원과 지 역 사회에서 연계하여 치료적인 연속성을 가지고 유지 할 수 있는 재활 프로그램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 라고 본다.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stroke pat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QOL).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51 stroke patients at 5 hospitals and 2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and Kyonggi-D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from Grange, Hamilton, and Sherwin(1986), the Korean CES-D scale from Randloff(1977), and quality of life scale from Bang, Hwal-Lan(1991). Result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t-test, and ANOVA with SPSS/WIN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The subjects consisted of 110 females and 141 males. The mean score of activity of daily living was 87.2(range 18-126). Age, family history, comorbidity, paralysis site, and duration after diagnosi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ctivity of daily living.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23.8(range 11-44). Age, gender, education, and job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e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scale was 3.0(range 1-5). Gender, religion, education, job, economic status, and duration after diagnosi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Relationships among activity daily liv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scale: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score.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QOL score. The depression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QOL score.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un rehabilitation programs to improve stroke patients`` ADL, depression. Also, it research for of identifying stroke patients``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rehabilitation program.

      • KCI등재

        Isoflavone 이 골모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 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원회(Won Whe Kim),이규섭(Kyu Sup Lee),이상훈(Sang Hoon Lee) 대한폐경학회 2002 대한폐경학회지 Vol.8 No.1

        N/A The real mechanism of bone loss leading to osteopenia or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is yet to be studied further, but both increased bone destruction and/or decreased bone formation, in other words, either increased activity of osteoclasts or decreased activity of osteoblasts, or both must be responsible. Various kinds of substances administered in vitro have shown activation or suppression in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Recently, phytoestrogen, especially isoflavone derived from soy, has been under attention by various authors. Human osteoblasts (RCB0454) supplied by Riken Cell Bank of Tsukuba, Japan were grown in DMEM media with 10% fetal bovine serum. The cells were treated with isoflavone 10㎕ and 50㎕, for 2 and 4 days respectively, and then, alkaline phosphotase activities were analyzed by means of Mouse Monoclonal Antibody Reagent (Zymed, U.S.A.). Followings are brief summary of this study. 1. The osteoblasts after treatment with isoflavone 10㎕ for 2 days had increased to 80×104/㎖ of cells, 46.5 percent of that were stained indicating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Those after treatment for 4 days had increased to 220×104/㎖ of cells and 52.9% were alkaline phosphatase positive. 2. Osteoblastic cells treated with 10μ of isoflavone increased to 200×104/㎖ and 56.9 percent of activity after 2 days while those went up to 280×104/㎖ and 71.9 percent after 4 days. 3. Osteoblastic growth as well as its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osage and duration of its treatment with isoflavone. 4. Alkaline phosphatase mostly were found in the cytoplasm on 2nd day but on the 4th day, they were mainly present extracellularly and in their periphery of the osteoblas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isoflavone, one of the phytoestrogens, may stimulates matrix development and induces the primary step of mineralization in human osteoblast (RCB0454) cell line to ultimately stimulate to form new bones as it provokes increased alkaline phosphotase activities of the cells.

      • 농업환경 및 농산물 중 비소오염 연구동향

        김원일 ( Won Il Kim ),이지호 ( Ji Ho Lee ),( A. Kunhikrishnan ),고우리 ( Woo Ri Go ),이정미 ( Jeong Mi Lee ),백민경 ( Min Kyoung Paik ),류지혁 ( Ji Hyock Yoo ),김지영 ( Ji Young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2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2 No.-

        농촌진흥청 및 환경부의 폐금속 광산인근 농경지 중금속 오염 모니터링에서 비소에 의한 오염이 상당수 확인되고 있고, 또한 코덱스오염물질분과위원회에서는 2010년부터 쌀의 비소기준 설정을 위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어 농업환경 및 농산물에 대한 비소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표에서는 우리나라 농업환경 및 농산물의 비소오염 기준설정, 모니터링, 환경 위해성 및 독성, 작물로의 흡수이행, 복원을 통한 오염 저감화에 대한 화학물질안전과 무기화학연구실에서 수행한 현재까지의 현황 및 연구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초록에서는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수행한 우리나라 폐금속 광산인근 지역에서의 비소오염 현황 및 환경위해성 평가 결과에 대해서만 언급하고자 한다. 국내 24지점의 폐광산 주변 지역에서 논토양, 용수 및 재배된 쌀의 비소 오염도를 조사하였고, 인체에 대한 평균 일일 노출량(ADD)을 산정하여 발암 위해 확률을 평가하였다. 광산인근에서 재배된 쌀 중 총 비소의 평균 농도는 0.123 mg/kg으로 조사되었다. ADD값은 총 비소농도함량을 고려하여 FAO/WHO에서 정한 2.1 ㎍/kg b.w./day의 PTDI값을 초과하지 않았다. 그러나, 일부 폐광인근에서 재배한 쌀을 섭취했을 경우, 인체의 발암 위해 확률은 허용수준인 10-4 범위를 초과하였고, 따라서 비소로 오염된 쌀을 장기간 섭취하게 된다면 인체 독성영향의 가능성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결과를 통하여 비소오염 논토양에 적절한 관리방안을 도출하고 안전농산물 생산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PCM 혼입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의 잠열성능 평가

        김원일 ( Kim Won Il ),윤다애 ( Youn Da Ae ),장석준 ( Jang Seok Joon ),윤현도 ( Yun Hyun Do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7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2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latent heat properties of cement mortar with different contents of phase change material (PCM). The paraffin PCM with melting point of 44℃ used in this study. PCM was added in the mixture with contents ranged from 0 to 30%.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heat storage performances of cement mortar were improv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PC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불가리아어에서 활동체와 불활동체 표현 기제와 언어학적 특성 연구

        김원회(Won hoi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1

        격변화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러시아어의 경우에는 활동체와 불활동체의 차이가 명사, 형용사, 대명사 등에서 격변화 형태로 잘 나타나고 있으나 불가리아어와 같이 분석적인 언어(analytic language structure)에서는 그 구분이나 표현이 상대적으로 덜 생산적이라는 것이 활동체와 불활동체와 관련된 기존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불가리아어에서도 문법 형태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기존의 주장들보다 훨씬 다양하고 정교한 활동체-불활동체 표현 기제들이 존재하며, 규칙성을 발견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가정할 수 있으며, 그러한 표현 기제들을 연구하고 그 법칙성을 찾는 것이 본 논문의 전체적인 연구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1차적으로 기존의 선행연구를 포함하여, 활동체, 불활동체를 지칭하는 다양한 용어들과 정의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개념들이 불가리아어 활동체와 불활동체 형태 기제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가를 살펴보았다. 논문의 중심 말에서는 불가리아어에서의 분석적인 언어구조로 인하여 활동체-불활동체의 구분이 미비하다는 주장에 반대되는 용례들을 살펴보았다. 우선 중심말의 초반부에서는 활동체-불활동체의 구분에 대한 학자들(주로 불가리아 학자들)의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그 개념을 정리해보았다. 다음으로 본론의 중반부터는 활동체-불활동체 문법 기제가 나타날 수 있는 명사의 성, 명사의 수, 수사, 대명사 부분에 대한 연구를 구체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를 통하여, 불가리아어 명사류에서 활동체와 불활동체의 활용은 남성 성 표지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수사에서는 남성 활동체를 특별히 지시하는 двама, трима 등등의 독특한 형태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대명사의 경우에도 비록 격 표지 상실이라는 큰 흐름 때문에 흔적이라고 주장되기고 하지만, 목적격 대명사 남성 형태에서는 매우 생산적으로 활동체 표지가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ulgarian language is one of the Slavonic languages like Russian and Serbian etc. But, because of its analytic language structures and very close linguistic features with Balkan languages, Bulgarian is regarded as the south slavic with special linguistic features among the Slavonic languages. Animateness is the one of these linguistic features that make Bulgarian some special. For this reason, in this paper, the author analyzes animate expressions and its relations to gender, singular-plural form of nouns, numerals and pronouns in Bulgarian. Each noun in Bulgarian belongs to one of three genders: masculine, feminine or neuter.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Bulgarian animateness can be found specially in masculine none, denoting a person. And in the singular-plural form of nouns, numerals and pronouns in Bulgarian, animateness can be found also specially in masculine none, denoting a human being. Even though, Bulgarian has many special grammatical expression tools like quantified numerals(двама, трима, два-две), case form traces in accusative case(кого, някого, никого ). On the basis of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even though animateness in Bulgarian is relatively weak feature, still has many expression ways as following examples. (1) *два бълг аря → двама българи, *три писателя → трима писатели(special quantified numeral, denoting human being with masculine none). (2) стол - два стола - много столове(inanimate noun in singular, quantified plural, plural). (3) жена - две жени - много жени(feminine noun in singular, plural) (4) Кого избра режисьорът? Тойизбра мъж/двама души/актьор(interrogative pronoun with accusative case form).

      • KCI등재

        고대교회슬라브어시기의 음운현상과 기호학적 상관관계 연구

        김원회(Kim, Won-Hoi)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2 동유럽발칸연구 Vol.32 No.-

        본 연구 논문은 고대교회슬라브어 시기에 새롭게 창제된 최초의 슬라브 문자들이 기호로서 당시의 음성-음운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었는가를 연구하는 것이 그 주된 목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다음의 3가지 연구 小 주제로 연구, 기술되고 있다. 우선 본론의 첫 번째 장에서는 음성과 표기의 불일치 현상이 당시 존재했었는가 여부에 대한 연구이다. 이 장에서는 당시 존재하던 음성과 실제 표기 사이에 일대일 대응관계가 성립되었는지 여부, 소리와 표기 사이의 괴리는 없었는지 여부가 연구되었다. 특히 고대교회슬라브어 Jats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두 번째 장에서는 고대교회슬라브어 바로전 시기인 공통슬라브어 시기에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가장 대표적인 음운 현상 인 구개음화 현상을 기호학적 관점에서 조명해 보았다. 특히 1, 2, 3차 구개음화와 그 결과음 그리고 이것의 표기문제 등을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여기에는 소리와 기호 간의 상관관계, 스타일화 여부 등을 다루었다. 다음으로 본론의 3장에서는 고대슬라브어 당시, 소리와 의미가 어떠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는가 여부를 간략하게 연구 기술해 보았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Old church slavonic alphabets and phonological phenomenon from the view point of the semiosis. As it is well known that in the Old church slavonic alphabets, Ѣ(Jats) represented two phonological entities. They are /ě/ and /ja/. These two phonological entities were represented by Ѧ in Glagolitic alphabet and Ѣ in Cyrilic alphabet. Unlike the Latin alphabet, there were sounds in the spoken slavic language and in 863 were created first literary alphabet, Glagolitic alphabet, on the basis of these sounds. After that, by the help of "Styling", Glagolitic alphabet transferred to Cyrilic alphabet in the beginning of 10-11th century. The creating alphabet process, related to palatalized consonants, was same to above mentioned process. On the result of 1, 2, 3rd palatalization, in the slavic spoken world were created many palatalized consonants. They were *č', *ž', *š'. On the basis of these sounds, the old church slavic alphabets were created. They were ч, ж, ш, ц, з, с. So we can make the following process: Sound ⇛ Alphabet. Concern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ound and sign(=Alphabet), we can say that from the influence of the styling on the alphabet, we can investigate the movement or changes of the alphabets. For example, transferring from one alphabet to the other alphabet in the same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