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척추옆굽음증 여성 환자의 슈로스 운동요법이 척추만곡 및 척추옆굽음 각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원문,서현,서용곤 한국발육발달학회 2021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29 No.2

        Aims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effects of 16 weeks of Schroth exercise program on spinal curvature axial rotation angle in patients with adult scoliosis. Sixteen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enrolled for the study and were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order to participation into the exercise group(n=8) and the control group(n=8). The Schroth exercise program with four t imes a week for 16 weeks was conducted by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received only physical therapy for duration of the study. In the results of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oracic kyphosis angle(p<.05), lumbar lordosis angle(p<.05), sacrum tilt angle(p<.05), and Cobb's angle(p<.05) after intervention. According to this results, authors suggest that 3-dimensional Schroth exercise is a more effective intervention compared with only physical therapy on spinal curve and axial rotational angle in adult women patients with scoliosis.

      • KCI등재

        만성 허리 통증 여성 환자의 교정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균형 능력, 허리 통증 장애 지수 및 근 단면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원문 한국융합과학회(구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만성 허리 통증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12주간 교정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균형 능력, 허리 통증 장애 지수, 그리고 허리 근 단면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자기 공명 검사 상 허리 원반 탈출증 진단을 받은 만성 허리 통증 성인 여성 환자 30명을 교정운동 집단(CEG, N=15), 물리치료 집단(PTG, N=15)으로 분류하여 12주간 각각 적용한 후 처치 전, 처치 후의 결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균형 능력의 변화는 상호작용(P<.05), 그리고 CEG에서 처치 후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5). 허리 통증 장애 지수 변화는 시기, 상호작용(P<.001), 그리고 CEG에서 처치 전에 비해 처치 후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1). 허리 근 단면적 변화는 시기(P<.01), 그리고 처치 전에 비해 처치 후 CEG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1). 결론: 이상의 결과, 만성 허리 통증 여성 환자의 증상 개선을 위한 맞춤형 교정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균형 능력, 허리 통증 장애 지수, 그리고 허리 근 단면적 변화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추후 연구에서는 모든 성별과 다양한 연령층을 포함한 임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changes in balance ability, oswestry disability index(ODI), and lumbar cross-sectional area after applying during 12 weeks of corrective exercise program in femal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Methods: Thirty adult female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rrective exercise group(CEG, N=15), physical therapy group(PTG, N=15). After 12 weeks, clinical outcomes, including balance ability, ODI, and lumbar muscle cross-sectional area were measured pre and post-intervention. Result: The change in balance a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reatment in the interaction(P<.05) and CEG(P<.05). Changes in oswestry disability index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reatment in time, interaction(P<.001), and CEG compared to before treatment(P<.01). The change in the lumbar muscle cross-sectional area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timing(P<.01) and CEG after treatment compared to before treatment(P<.01). Conclusion: The corrective exercise program led to improvements in balance ability, ODI, and lumbar cross-sectional areas in female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address an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orrective exercise on the difference of genders and ages.

      • KCI등재

        보존적 치료와 재활운동의 병행이 어깨관절 큰결절 골절 및 급성 전방 탈구환자의 골융합 및 어깨관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증례보고-

        김원문,김상훈 대한운동사협회 2011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3 No.2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e this case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conservative treatment and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in acute shoulder dislocation associated with a fracture of greater tuberosity of the humerus. [METHOD] The subjects was forty eight-year-old female who fell down from stairs. The patient was received conservative treatment and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The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progressively along with recovering ROM and strengthening exercise three times per week for 25 weeks. [RESULTS]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higher improved KSSI index, radiological examination and shoulder instability in post than pre treatment. [CONCLUSION] Conservative treatment and exercise program were effective on a acute shoulder dislocation associated with a fracture of greater tuberosity of the humerus. [서론] 이 연구는 어깨관절 큰결절 골절을 동반한 급성 전방탈구환자에게 보존적 치료와 재활운동요법을 병행하여 골융합과 관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증례] 본 증례의 대상자는 48세의 여성이며, 2009년 12월 15일 회사 퇴근길에 계단에서 넘어져서 부상을 당하여 대학병원 응급실에서 도수정복 후에 본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시작했다. 4주간의 팔걸이 고정 후 약 25주 동안 주 3회, 운동시간은 60~80분으로 관절가동범위운동과 근력운동 그리고 고유수용성 감각운동과 유산소 운동 등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였다. 보존적 요법과 재활운동을 병행하여 치료 전 · 후에 걸쳐 KSSI(통증 및 기능검사 설문지)와 방사선 검사, 불안정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25주 동안의 처치 후 KSSI(통증 및 기능 설문 점수) 총 100점 중 치료 전에는 0점이었으나 치료 후에는 92점으로 높은 개선양상을 나타냈고 방사선 검사상에서도 골융합과 연부조직이 정상으로 회복됐으며 불안정성 검사 결과 건측과 비교할 때 정상적인 움직임을 나타냈다. [결론] 어깨관절 큰결절 골절 및 전방 탈구 환자의 체계적인 재활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사례로서 향후 어깨관절 큰결절 골절과 급성 전방 탈구환자의 비수술적인 치료방법으로서 선례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 학습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원,박은아,천성 한국교육치료학회 2016 교육치료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 학습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 학습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하는 7개 중학교 학생 452명을 표집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부모양육태도 중 부모-돌봄과 부-과보호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부모-돌봄은 자기주도 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돌봄과 자기주도 학습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 학습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해 초점을 두고 개입해야 할 중요한 변인임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among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Further, it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subjects were 452 students from 7 middle schools in Busan and Gyungsangdo. The result indicated that mother's care and father's overprotection from the parenting attitudes had a meaningful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that father's care and mother's care have a meaningful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partly mediat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care and self-directed learning. This research has its importance in finding that academic self-efficacy is the key varia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for self-directed learn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편평배부 증후군 환자에 대한 교정운동 프로그램이 척추 구조, 목 장애지수 및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원문(Kim, Won Moon),서영삼(Seo, Young Sam),서용곤(Seo, Yong Gon) 한국사회체육학회 202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 No.85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a 12-weke corrective exercise program on the structural variables of spinal curvature, neck disability index and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flat back. Method: In this study, 24 patients with flat back participated, and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 corrective exercise group (CEG: n=8), resistance exercise group (REG; n=8), and physical therapy group (PTG: n=8). The CEG and REG performed corrective exercise3 times per week and 70 minutes at a time for 12 weeks and REG conducted the exercise with thera-band. The variables of spinal curves included cervical lordosis, thoracic kyphosis, and lumbar lordosis were measured by X-ray test. The function of the neck was checked using a questionnaire with a neck disability index. The balance ability was measured by a balance machine and the 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exercise intervention for 12 week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ervical lordosis ang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group and period, interactions p(<.00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EG p(<.001), at each group period, (p<.05) in the groups (p<.001), as a result of paired t-test, REG and PTG, and in CEG and PTG (p<.001) post-testing. Thoracic kyphosis ang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group and period, interactions (p<.00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EG (p<.001), at each group period (p<.01) in the groups (p<.05), as a result of paired t-test, REG and PTG, and in CEG and PTG (p<.001) post-testing. The lumbar lordosis ang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group and period, interactions (p<.00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TG (p<.001) and CEG (p<.001) levels in each group, and (p<.001) levels between groups. As a result of paired t-test, REG and PTG, and in CEG and PTG (p<.001) post-testing. The neck disability index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group and period, interactions(p<.001). At the time of each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TG (p<.05), REG (p<.01), and CEG (p<.001) levels. Between groups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EG and PTG as a result of post-mortem examination (p<.05). The balance abil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ing, timing (p<.001), and group main effect (p<.05). In each group perio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REG (p<.01), among groups (p<.001), compared with REG and PTG, and compared with CEG and REG (p<.01). Conclusion: The corrective exercise program is a more effective exercise intervention than resistance or physical therapy on the spinal curvature and the improvement of spinal curvature was associated with improving neck function and the ability of body balance although resistance exercise showed improvement of these variables. Therefore, corrective exercise is recommended as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spinal curve, neck function, and the ability of body balance in patients with flat back.

      • KCI등재

        주관절 외측상과염환자의 8주간 체외충격파치료와 운동프로그램의 병행이 통증, 근력 및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김원문(WonMoonKim),윤진호(JinHoYoon),김상훈(SangHoonKim),오재근(JaeKeunOh)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6

        본 연구는 주관절 외측상과염환자를 대상으로 최근 시술이 증가하고 있는 체외충격파치료와 운동요법을 병행하여 대상자들의 통증, 근력 및 고유수용성 감각을 분석하고 그 치료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주관절 외측상과염으로 서울 K병원에 내원한 30~50대 남성 31명의 환자를 체외충격파와 운동 프로그램 병행집단(10명), 체외충격파 집단(11명) 및 운동 프로그램 집단(10명)의 세 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여 8주간의 처치를 거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체외충격파치료와 운동 프로그램을 병행 실시한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통증감소, 악력 증가, 수관절 신전/굴곡근력, 주관절 신전/굴곡근력 및 고유수용성감각에서 더 높은 향상율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결과는 주관절 외측상과염환자에게 체외충격파치료 또는 운동 프로그램을 단독적으로 실시하는 치료방법에 비해 더욱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체외충격파치료법을 적용하고 있는 다른 근골격계질환 중 운동프로그램의 적용이 가능한 기타 질환을 대상으로 본 연구와 같은 병행요법의 치료효과를 검증할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pain, muscle strength and propriocepation of lateral epicondylitis patients and identify the effects of combination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nd exercise program. We choose 31 male subjects and divided them randomly into 3 groups, combination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nd exercise program group(n=10), exercise program group(n=10),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group(n=11). We tested them for 8 week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combination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nd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group, they showed pain reduction, grip strength improvement and more improvement of wrist joint extensor/flexor strength, elbow joint extensor/flexor strength and propriocepation comparing to other two groups. These results show that combination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nd program is more effective than combination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or exercise program alone. It is considered that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for more musculoskeletal diseases.

      • KCI등재

        재활 필라테스 운동이 허리원반 탈출증 여성 환자의 ODI, 허리뼈 앞굽음각 및 근 횡단면적에 미치는 영향

        김원문(Kim, Wonl-Moon)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12주간의 재활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이 허리원반 탈출증이 있는 여성 환자의 허리뼈 앞굽음각, 허리통증장애지수, 그리고 허리 근 횡단면적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운동 프로그램은 연구대상자들에게 주 3회, 1회에 70분, 총 12주간 수행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들은 30-40대 허리원반 탈출증 환자 20명을 재활 필라테스 운동집단(EG, n=10), 물리치료집단(CG, n=10)으로 무선 배정하였으며, 본 연구대상자를 대상으로 실험 전, 실험 12주 후 결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자료 처리는 이원변량반복분석, 대응표본 t-검증,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허리통증장애지수는 운동 집단에서 시기와 상호작용(P<.001), 집단(P<.05)에서 유의차가 나타냈고, 허리뼈 앞굽음각은 재활 필라테스 운동 집단에서 시기, 집단, 상호작용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P<.001). 그리고 허리 근 횡단면적은 시기(P<.05), 상호작용(P<.001)에서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운동집단에서(P<.001)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각각 요소에서 12주 후 긍정적인 양상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30-40대 허리원반 탈출증 중년 여성 환자의 경우 재활 필라테스 운동을 통하여 허리 원반 탈출증 질환 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50-60대 이상의 연령대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비교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12-week rehabilitation Pilates exercise program affects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lumbar lordosis angle, and lumbar muscle cross-sectional area in female patients with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The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by subjects 3 times a week, 70 minutes at a time, for a total of 12 weeks. The study subjects were assigned 20 patients with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in their 30s and 40s wirelessly to the rehabilitation Pilates exercise group (EG, n=10) and the general physical therapy group (CG, n=10), and the results were observed 12 weeks after the experiment. Data processing is two-way repeated ANOVA,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 significant level of hypothesis verification is set-up (p<.05).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oswestry disability index in the period and interaction (P<.001), and in the group (P<.05). Lumbar lordosis ang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iod, group, and interaction in the rehabilitation Pilates exercise group (P<.001). Lumbar cross-sectional area is used b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iod (P<.05), interaction (P<.001), As a result of the paired t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in the exercise group, and each element showed a positive pattern after 12 week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middle-aged female patients with lumbar disc herniation in their 30s and 40s can improve the degree of lumbar disc disease through rehabilitation pilates exercis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lumbar disc disease through rehabilitation Pilates exercise in middle-aged female patients with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in their 30s and 40s. In future studies, there is a need for comparative studies conducted on patients in their 50s and 60s or older.

      • KCI등재

        교정운동 프로그램이 특발성 밖굽이 무릎 청소년의 Q-각, 종골각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원문 ( Kim¸ Won-moon ) 한국융합과학회(구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발성 밖굽이 무릎 청소년을 대상으로 16주간 교정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Q-각, 종골각, 그리고 균형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Q-각 이 18° 이상, 보행 시 무릎 통증을 호소한 만 13-15세 청소년기 환자 20명을 교정운동 집단(CEG, n=10), 물리치료 집단(PTG, n=10)으로 분류하여 16주간 교정운동과 물리치료 프로그램을 사전, 사후의 결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자료처리는 이원 반복 측정 분산분석과 대응표본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결과: Q-각의 변화는 오른 다리, 왼쪽 다리 모두에서 집단(P<.05), 시기와 상호작용(P<.001), 그리고 CEG에서 처치 후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1). 종골각의 변화는 오른 다리, 왼쪽 다리 모두에서 시기, 상호작용(P<.001), 그리고 CEG에서 처치 전에 비해 처치 후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1). 균형능력의 변화는 시기, 상호작용, 그리고 처치 전에 비해 처치 후 CEG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1). 결론: 이상의 결과, 특발성 밖굽이 무릎 체형을 가진 청소년의 맞춤형 교정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Q- 각, 종골각, 그리고 균형능력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추후 연구에서는 모든 연령층과 성별을 포함한 다양한 임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changes in Q-angle, calcaneal angle, and balance ability after applying a 16-week corrective exercise program to adolescents with idiopathic genu valgum. Methods: The study classified 20 patients aged 13 to 15 years of age with a Q angle of 18° or higher and complained of knee pain while walking as a corrective exercise group (CEG, n=10) and physical therapy group (PTG,n=10) for 16 weeks to produce the following findings: The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with a two-way random repetitive analysis and a corresponding sample pair t-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is P<0.5 Result: Change in Q-angl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in right and left leg, group(P<.05), in the time and interaction(P<.001), in both, and CEG examples(P<.001).Change in calcaneal angl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in right and left leg, in the time, and interaction(P<.001), in both, and CEG examples(P<.001). Change in balance abil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in right and left leg, in the time, and interaction(P<.01), in both, and CEG examples(P<.01). Conclusion: As a result, the application of the customized corrective exercise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idiopathic genu valgum showed positive results for Q-angle, calcaneal angle, and balance ability. In future studies, various clinical studies including all age groups and genders are considered necessary.

      • KCI등재

        골반 안정화 운동이 엉치엉덩관절 기능부전 환자의 관절가동범위, VAS 및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원문 ( Kim¸ Won-moon ),서용곤 ( Seo¸ Yong-gon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엉치엉덩관절 기능부전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12주간 골반 안정화 운동과 근 에너지 기법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관절가동범위, VAS, 그리고 근 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이학적, 자기 공명 검사 상 엉치엉덩관절 기능부전 진단을 받은 엉치엉덩관절 통증 성인 여성 환자 20명을 근 에너지 기법집단(MEG, n=10), 골반 안정화 운동 집단(PSG, n=10)으로 분류하여 12주간 각각 적용한 후 처치 전, 처치 후의 결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관절가동범위의 바깥 돌림 변화는 시기, 상호작용, 집단에서 유의한 변화와 Paired t test 결과 MEG(P<.05), PSG(P<.001), Independent t test 결과 PSG에서 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P<.001). 안쪽 돌림 변화는 시기(P<.001), 상호작용(P<.003)의 유의한 변화와 Paired t test 결과 MEG(P<.05), PSG(P<.01), Independent t test 결과 PSG에서 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P<.05). VAS는 시기(P<.001), 상호작용(P<.001)의 유의한 변화와 Paired t test 결과 MEG(P<.01), PSG(P<.001), Independent t test 결과 PSG에서 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P<.01). 근 기능의 변화는 전방, 후방, 우측, 좌측 기울임 모두 시기, 상호작용에서만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고, Paired t test 결과 MEG와 PSG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Independent t test 결과, PSG에서 더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 엉치엉덩관절 기능부전으로 통증을 호소하는 여성 환자의 증상 개선을 위한 중재 방법 중 PSG에서 MEG에 비해 더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이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를 포함한 많은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여 임상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effects of different type of exercise on range of motion (ROM),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myofunction in patients with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SID). Method: Twenty patients with SI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llocated to two different exercise groups according to the order of enrollment; muscle energy technique group (MEG, n=10) and pelvic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PSG, n=10). The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with 3 times per week, 1 hour for 12 week. ROM of external rotation (ER) and internal rotation (IR), VAS, and myofunction in hip joint was evaluated before and after exercise intervention. Result: In ROM of ER,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MEG and PSG but PSG showed more increase. A significant increase in IR showed in MEG and PSG. VAS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MEG and PSG but PSG showed more increase. In change of myofunction, all variab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dependent t test results for ROM, VAS, and myofunction showed more significant changes in PSG than MEG. Conclusion: This study demostrated that MEG and PSG showed a positive result to improve ROM, VAS, and myofunction and pelvic stabilization exercise is more beneficial exercise intervention than muscle energy technique in patients with SID. Further study with large sample is needed to confirm the result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