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에 서식하는 고라니(Hydropotes inermis) 먹이식물의 미세조직분석법 적용 가능성 연구

        의경 ( Eui Kyeong Kim ),박영철 ( Yung Chul Park ),김원명 ( Won Myeong Kim ),종국 ( Jong Kuk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는 2006년 9월부터 10월까지 고라니가 주요하게 섭식하는 먹이식물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있어 배설물에 포함된 식물세포의 미세조직분석 방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고라니 먹이식물의 미세조직분석을 위해 배설물로부터 고구마, 딸기, 콩, 칡 등 4가지 식물의 배설물 식물세포를 준비한 후 이들의 세포를 대조식물세포의 세포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배설물 식물세포의 4가지 식물종의 세포는 모용의 기저 세포의 형태와 선단의 모양, 표피세포의 형태, 기공복합체의 구성 및 세포 모양, 장세포의 나열 형태와 세포에 포함되어 있는 결정체의 유무로 식물의 동정이 가능하였다. 배설물 식물세포와 대조식물세포를 비교 분석한 결과 배설물에서 나온 식물의 세포와 대조 식물세포에서 발견된 식물의 세포는 모용, 표피세포, 기공, 장세포가 모두 동일한 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고라니의 섭식 식물종과 연관된 세포 도감을 작성한다면 향후 고라니 및 유사 초식동물들의 식이습성을 및 기후변화에 따른 행동생태 연구에 유용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microhistological analysis to collect information on food materials of korean water deer from september to October 2006. For microhistological analysis we extracted type-materials of 4 plant species (Ipomoea batatas, Rubus coreanus, Glycine max, and Pueraria thunbergiana) from fecal pellets of korean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nd then made preparations of the fecal materials for microscopic analysis. The fecal preparations were compared with reference preparation under the microscope. In microscopic analysis of fecal preparations, we could identify the four plant species by the followings: tip shape and morphology of trichomes, epidermal cell, morphological composition and shape of stomatal apparatus, arrangement of long-cell, and distribution of crystals in cells. According to the comparisons of the preparations, the morphology of trichome, epidermal cell and stomata are similar between both preparations of the fecal pellets and the references, respectively. This methodolog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feeding behavior and behavioural ecology by climate change of other hervibores as well as korean water deers.

      • KCI등재후보

        잣나무임지 내 청설모(Sciurus vulgaris coreae)의 행동권 및 일일 행동 특성

        의경(Eui-Kyeong Kim),유병호(Byung-Ho Yoo),김원명(Won-Myeong Kim),박영철(Yung-Chul Park),종국(Jong-Kuk Kim) 국립공원연구원 2011 국립공원연구지 Vol.2 No.2

        본 연구는 청설모에 의한 잣구과 피해를 방지하고 효율적인 개체군 밀도 유지를 위한 과학적인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2003년 3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우리나라 잣나무림에 서식하고 있는 청설모(Sciurus vulgaris)의 행동 특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청설모의 행동권은 2±1 ha였으며 세력권은 1.4±0.7 ha로 잣나무림 내 안정적인 세력권을 형성하고 있었다. 서식지내에서의 일일 활동 시간은 여름철과 가을철에 오전 과 오후에 각각 1회씩 활동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실내 최초 활동시간은 월별 일출 시간에 따라 최초의 활동시간도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식지별 ha당 서식밀도는 잣나무 임지에서 1.1개체로 임도 지역의 0.9개체 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ciurus vulgaris coreae inhabiting in pine forest in Korea from March, 2003 till June, 2004 to prevent damage on pine cones caused by Sciurus vulgaris coreae and establish scientific foundational data to maintain the density of population efficiently. Sciurus vulgaris coreae home range was 2±1 ha, and their scope of power was 1.4±0.7 ha, so they built a stable scope of power in the pine cone forest. Regarding the daily activity hours in the habitat, they showed a high activity index separately once in the morning and in the afternoon during summer and winter. About the initial activity hours in the lab, there was slight difference of initial activity hours by the time of sunrise of each month. And the population density per ha in the habitat was 1.1 population in the pine forest, so it was slightly higher than 0.9 population of the forest r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