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경인지재활치료 도구 디자인 개발

        김원령,이향숙,강현정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0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2 No.-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of new design panel the effect of tactile and sp-acious cognitive task training the parts of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Methods : The panel size was 145×145×9 mm with shape size was maximum 120mm and 3 mm thickness. Development of new design theme based on geometric and korean fan shape. The panel were made six and in front of painting by red, yellow, blue color spray, inside of attached skidproof. Conclusion :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prove that the effect of new panel on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for various type patient. 목적: 본 연구는 신경인지재활치료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상지의 인지운동치료 중 공간과제와 접촉과제에 사용하는 패널의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론: 디자인의 주제는 기하학적으로 곡선과 직선이 혼합된 도형과 부채모양을 변형시킨 한국적이고 창의적인 도형을 디자인 하는 것이다. 인지문제의 복잡화를 위해서 도형의 길이,방향,배치에 대한 차이를 두었다. 패널의 재료는 목재로서 자작나무와 삼나무이다. 패널위의 도형의 재료는 중간밀도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 MDF)이다. 디자인마다 다른 색을 칠하여 시각분석을 용이하게 하였다. 결론: 상지의 기능개선을 위한 한국의 문화와 정서에 친근한 새로운 인지운동치료 도구 개발을 하였다. 앞으로 이도구를 활용한 임상효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다양한 디자인 개발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 실행증 환자에서의 인지운동치료가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원령,정원미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09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 No.-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about the effects of sensory information conversion training based on the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on executive capability. Methods: Single strock subject was recruited and evaluated by LOTCA. A 3 week intervention period five times a week for thirty minutes was followed during which the patient participated in sensory information conversion training. LOTCA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change between pre-and post-intervention effects. Results: Participant showed increase in spatial perception and motor praxis areas, and improvement in executive capability. Conclusion: The definition of Apraxia is not yet clear and treatment is also limited. Such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has a positive effect on executive ability related to LOTCA subareas and will be effective on Apraxia as a new approach. 목적: 인지운동치료에 근거한 감각정보변환 훈련이 뇌졸중으로 인한 실행증 환자의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실행증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방법: 2009년 9월부터 10월까지 뇌졸중으로 인한 실행증 환자를 대상으로 3주 동안 주 5회 30분씩, 총 14회 인지운동치료이론에 근거한 감각변환훈련을 실시하였다. 실행증 환자의 치료 전후의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LOTCA를 실시하였다. 결과: 감각변환훈련 전에 비하여 공간지각과 운동실행 항목에서 LOTCA 점수가 증가하였다. 인지운동치료 프로파일을 통한 관찰에서도 수행능력의 변화를 보였다. 결론: 인지운동치료이론에 근거한 감각변환훈련은 실행증 환자의 전반적인 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보인다. 앞으로 다양한 환자에서의 수행능력변화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중국기업의 국제인수합병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자원기반시각을 중심으로

        김원령,박영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9 국제경영리뷰 Vol.23 No.1

        Due to the continuing growth of Chinese firms and the change of the global market ,many Chinese firms are exploring overseas markets. China is a developing country which has a short history of merger and acquisition and insufficient experience, therefore the recent explosion of mergers and acquisitions has depended on its abundant foreign reserve and financial capability. The fundamental causes of this phenomenon include the Chinese government raised the banner of "Go global" and actively supported overseas investments by Chinese firms, and predicted that in order to secure resources, technology, market and professional skills, it is necessary to promote mergers and acquisitions. Therefore,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Chinese enterprises after merger and acquisition. After the simple understanding on the timing and motivation of Chinese firms’ mergers and acquisitions, through the resource- based theory. This article theoretically explains the influence factor of merger and acquisition and tests and analyzes this idea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data of Zephyr database from 2008 to 2014. Taking 532 listed companies which have already been acquired in international market as the research object. The result shows that the industry relevance between acquiring and acquired enterprises, the past experiences of merger and acquisition, and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ther side,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acquiring and acquired firm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achievement level of international mergers and acquisitions. In addition, this article confirms that Chinese firms which have a high dependency on government supports, by adding the variables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by considering adjustment effect of national development level, and by complementing existing relationships. 중국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글로벌 시장의 변화로 많은 중국 기업들은 해외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으며, 인수합병방식을 통해 해외시장에 적극 진출하고 있다. 중국은 신흥국가로 인수합병 역사가 짧고 경험이 부족하지만 그들의 인수합병은 중국의 최근 활발한 해외직접투자와 정부의 재정적 지원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저우추취 (走出去)”기치아래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를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중국기업은 자원, 기술, 시장, 역량을 인수합병을 통해 획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기업의 인수합병 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먼저 중국의 인수합병 시기와 동기에 대해 살펴본 후 2008년부터 2014년까지 국제인수합병을 시행한 중국 상장기업 532개를 대상으로 국제 인수합병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자원기반시각(resource-based view of firm)을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인수-피인수기업간의 산업연관성, 과거 국제인수합병경험 및 정부 재정지원은 국제인수합병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수기업과 피인수기업의 문화적 거리는 국제인수합병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중국기업은 중국 정부의 재정적지원에 강하게 의존하며 이는 국가발전수준이 높을수록 정부 재정지원과 인수합병 성과간의 관계는 더 긍정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행증 환자에서의 인지운동치료가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원령 ( Won Ryeong Kim ),정원미 ( Won Mee Jeong ) 한국인지운동치료연구회 2009 한국인지신경재활치료학회지 Vol.1 No.-

        목적: 인지운동치료에 근거한 감각정보변환 훈련이 뇌졸중으로 인한 실행증 환자의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실행증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방법: 2009년 9월부터 10월까지 뇌졸중으로 인한 실행증 환자를 대상으로 3주 동안 주 5회 30분씩, 총 14회 인지운동치료이론에 근거한 감각변환훈련을 실시하였다. 실행증 환자의 치료 전후의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LOTCA를 실시하였다. 결과: 감각변환훈련 전에 비하여 공간지각과 운동실행 항목에서 LOTCA 점수가 증가하였다. 인지운동치료 프로파일을 통한 관찰에서도 수행능력의 변화를 보였다. 결론: 인지운동치료이론에 근거한 감각변환훈련은 실행증 환자의 전반적인 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보인다. 앞으로 다양한 환자에서의 수행능력변화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about the effects of sensory information conversion training based on the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on executive capability. Methods: Single strock subject was recruited and evaluated by LOTCA. A 3 week intervention period five times a week for thirty minutes was followed during which the patient participated in sensory information conversion training. LOTCA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change between pre-and post-intervention effects. Results: Participant showed increase in spatial perception and motor praxis areas, and improvement in executive capability. Conclusion: The definition of Apraxia is not yet clear and treatment is also limited. Such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has a positive effect on executive ability related to LOTCA subareas and will be effective on Apraxia as a new approach.

      • KCI등재

        보건의료기관 학습공동체 활동의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조직 업무성과 간의 연관성: K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김원령 ( Won Ryeong Kim ),박지연 ( Ji Yeon Park ),정규일 ( Kyu Ill Jong ),혜경 ( Hye Kyeong Kim ),이은희 ( Eun Hee Lee ),성대 ( Sung Dae Kim ),조한익 ( Han Ik Cho ) 대한보건협회 2013 대한보건연구 Vol.39 No.2

        Objective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of Practice(Co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utcome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used and targeted 1,133 employees of K public health and medical institution who participated in CoP activities in 2012. Data on individual and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CoP activities, an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were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18.0(K) Program. Results: 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10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CoP depending on gender, duration of work and study hours(p<.001). Male workers were more likely to show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from CoP than female workers. Both longer duration of work and time for CoP activiti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quality of CoP and individu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outcomes showed that ß of communication quality was 0.337(p<.001) and that of individual performances was 0.605(p<.001). Thus it was confirmed that two factors were significant factor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utcomes. The accountability of the regression model was 83.8%. Conclusion: The CoP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quality, an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utcomes. So, CoP could be the key strategy for facilitating evidence-based practice in public health and medical settings.

      • 실행증 환자에서의 인지운동치료가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원령(Won-Ryeong Kim),정원미(Won-Mee Jeong)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09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 No.1

        목 적 인지운동치료에 근거한 감각정보변환 훈련이 뇌졸중으로 인한 실행증 환자의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실행증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방 법 2009년 9월부터 10월까지 뇌졸중으로 인한 실행증 환자를 대상으로 3주 동안 주 5회 30분씩, 총 14회 인지운동치료이론에 근거한 감각변환훈련을 실시하였다. 실행증 환자의 치료 전후의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LOTCA를 실시하였다. 결 과 감각변환훈련 전에 비하여 공간지각과 운동실행 항목에서 LOTCA 점수가 증가하였다. 인지운동치료 프로파일을 통한 관찰에서도 수행능력의 변화를 보였다. 결 론 인지운동치료이론에 근거한 감각변환훈련은 실행증 환자의 전반적인 수행능력향상 에 효과적으로 보인다. 앞으로 다양한 환자에서의 수행능력변 화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about the effects of sensory information conversion training based on the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on executive capability Methods : Single strock subject was recruited and evaluated by LOTCA. A 3 week intervention period five times a week for thirty minutes was followed during which the patient participated in sensory information conversion training. LOTCA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change between pre-and post-intervention effects. Results : Participant showed increase in spatial perception and motor praxis areas, and improvement in executive capability. Conclusion : The definition of Apraxia is not yet clear and treatment is also limited. Such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has a positive effect on executive ability related to LOTCA subareas and will be effective on Apraxia as a new approach.

      • KCI등재

        신경인지재활치료 도구 디자인 개발

        김원령(Won Ryeong Kim),이향숙(Hyang Sook Lee),강현정(Hyun Jung Kang) 한국인지운동치료연구회 2010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2 No.1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of new design panel the effect of tactile and sp-acious cognitive task training the parts of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Methods : The panel size was 145×145×9 mm with shape size was maximum 120mm and 3 mm thickness. Development of new design theme based on geometric and korean fan shape. The panel were made six and in front of painting by red, yellow, blue color spray, inside of attached skidproof. Conclusion :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prove that the effect of new panel on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for various type patient.

      • KCI등재

        웹을 이용한 장애 아동의 사회화 촉진 총괄체계 구축 : 일상생활 기능증진 웹지원 시스템

        이상복,원령,변찬석,서경희,전헌선,이민호,춘희,문혜숙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ildren development in the residental facilities and to analyze data according to their subordinate types and sex. Subjects were 56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consisted of 51% boys and 49% gir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 developed a scale on adaily life, basic leaning cognitive abilities, emotion-behavior, communication, and body development. It was the Web-supported system on the internet. Second, we tried to analyze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the resident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subordinate types. There were 41% in a daily life, 18% in basic leaning cognitive abilities, 9% in emotion-behavior, 0% in communication, 43% in body development who exceeded the standard. Third, we tried to see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ex. The boy distribution was found higher and more widespread in the various types than the girl one. However, there is some limitation on the results, because we treated only one residental facilities. 본 연구는 생활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아동 56명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한 발달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발달평가 하위영역과 성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상생활, 기초학습 인지능력, 정서행동, 의사소통, 신체발달 등 5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하여, 인터넷을 통해 웹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둘째, 생활시설에 거주하는 아동이 어떤 발달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일상생활에서는 기준을 초과한 아동의 비율이 41%, 기초학습 인지능력에서는 기준을 초과한 아동이 18%, 정서행동에서는 기준을 초과한 아동이 9%, 의사소통에서 기준을 초과한 아동은 0%, 신체발달에서는 기준을 초과한 아동이 43%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발달특성이 성별에 따라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전체적으로 남자아동의 영역별 분포는 여자아동의 분포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넓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생활시설 한 곳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 KCI등재후보

        장애인생활시설의 교육서비스 요구 분석

        이상복,춘희,유은정,원령,구원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future 2year educational services based on the on-going education services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ilities manly provided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with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improving basic functional skills in their daily living lives. Second, the recording data showed that average 2 out of 10 short-term plans were reached to above 80% of successful performance levels, and the rest of the 8 plans were reached to between 11% and 79% of the unsatisfactory levels.

      • 좌반구 손상 실행증 환자의 시각분석과제 수행능력차이

        영실,안시내,김원령,진희,이경록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3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5 No.-

        Objective: This research will compare the difference of visual analysis assignment performance skills of left hemisphere damaged apraxia patients. Methods: The targets of this research are a total of 9 patients with damage in the left hemisphere. 5 are patients who do not have apraxia and 4 are patients who have apraxia. With the visual analysis assignment made temporarily, the accuracy and response time were compared. Results: As a results of the accuracy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the pattern recogni-tion, the recognition of triangle and square was the sam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curacy of recognizing T-form and hand motions. However,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experiment group for the upper extremity motion accuracy. The response tim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the patients with apraxia were more insufficient in recognizing the upper extremity motions compared to the patients with no apraxia.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in the site of sensory information change based on the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heory. (J Korean Society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2013;5:29-34) 목적: 본 연구는 좌반구 손상 환자에서 실행증 환자의 시각분석과제 수행능력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 대상자는 좌반구 손상 환자로 총 9명이었으며,실행증이 없는 환자 5명,실행증을 가진 환자 4명이었다. 임의로 제작한 시각분석과제를 이용하여 정확도와 반응시간을 비교하였다. 결과: 두 그룹 간 정확도 비교 결과 도형 인식 중 삼각형과 사각형 인식의 정확도는 동일하였고, T형, 손 동작을 인식하는 정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상지 동작의 인식 정확도는 실험군에 비해 대조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반응시간은 두 그룹 간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실행증을 가진 환자가 실행증이 없는 환자에 비해 상지 동작에 대한 인식도가 떨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행증을 신경인지재활치료 이론에 근거한 감각정보변환문제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