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동 태평양 KR1 광구의 망간단괴 산출특성

        김원년,양승진,지상범,이현복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4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6 No.4

        Korea contract Mn-nodule field in the NE equatorial Pacific is composed of seven sectors with average water depths of 4,513-5,025 m. Of the various factors controlling the properties of Mn-nodule, it seems that water depth is likely connected to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occurrence of nodules. To test whether such an assumption held in each sector, we reviewed previous research data accumulated since1994 for one of the northern sectors (hereafter KR1) where there are stark contrasts in water depth. Highresolution seabed mapping clearly separates a northern part (KR1N) from a deeper southern part (KR1S), cutting across in the middle of the KR1. In addition, significant volcanic activities forming numerous seamounts are distinctive especially in KR1N. In terms of nodule occurrence, manganese nodules in KR1S are comparatively larger (2-4 cm) with a discoidal shape, while those in KR1N are generally small (<2 cm) with poly-lobate and irregular shapes. Nodules in KR1N also have lower Co, Cu, Mn and Ni, and higher Fe contents. The spatial separation in nodule characteristics might be caused by volcanic activities in KR1N rather than water depth contrast. During the formation of the seamounts in KR1N, rock fragments and volcanic ashes as new nuclei of the nodules would have been continuously generated. As a result, the nodules could not grow larger than 2 cm and display the shapes of a newbie (i.e., irregular and poly-lobate shapes). Moreover, significant Fe supply from volcanic activities probably decreases the Mn/Fe ratio, which may lead to the KR1 nodules being misinterpreted as a hydrogenic in origin compared to other sectors where a high Mn/Fe ratio is present.

      • KCI등재

        통가 EEZ내 TA25 해저산에서 채취한 열수광체의 암석자기학적 특성 연구

        김원년,박상준,이경용,문재운,김현섭,최선기,Kim, Wonnyon,Pak, Sang Joon,Lee, Kyeong Yong,Moon, Jai-Woon,Kim, Hyun Sub,Choi, Sun Ki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3 자원환경지질 Vol.46 No.3

        2012년 통가해저열수광상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통가아크 해저산 TA25에서 ROV와 GTV를 이용하여 열수황화물광체를 채취하였다. 채취된 광체 중 본 연구에서는 약 $200^{\circ}C$의 열수분출을 보인 고온성 활성침니(ROV01), $80^{\circ}C$의 열수분출을 보인 저온성 활성침니(GTV01), 그리고 비활성침니(ROV02)를 이용하여, 암석자기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광체의 진화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ROV01의 자기적 특성은 주로 자류철석에 의해 나타나며, GTV01의 경우 광체내부는 자류철석이 주로 나타나지만 외곽으로 갈수록 자류철석과 적철석이 혼재하게 된다. 비활성침니인 ROV02는 오랜 산화작용으로 인해 외곽에서 적철석뿐만 아니라 침철석이 자류철석과 함께 나타나고, 최외곽에서는 magnetotactic bacteria의 작용에 의해 자철석이 존재한다. 포화잔류자화(saturation magnetic remanent magnetization, SIRM), 비자기이력잔류자화(anhysteretic remanent magnetization, ARM)/SIRM으로 나타낸 자성광물의 함량과 입자크기 변화는 침니의 특성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난다. 고온의 ROV01에서 가장 적은 함량과 작은 입자크기를 보이며, 저온의 GTV01에서 점차 증가하다가 비활성침니인 ROV02에서 가장 높은 함량과 큰 입자크기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자성광물의 종류, 함량, 입자크기 변화 등의 암석자기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기존 광물학적 접근방법으로 추적에 한계가 있었던 열수황화물광체의 진화과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o identify rock-magnetic properties of volcanogenic hydrothermal sulfide deposits, chimneys were obtained from the Tofua Arc in Southwest Pacific, using a remotely operated vehicle (ROV) and Grab with AV cameras (GTVs). Three different types of chimneys used in this study are a high-temperature chimney with venting fluid-temperature of about $200^{\circ}C$ (ROV01), a low-temperature chimney of about $80^{\circ}C$ (GTV01), and an inactive chimney (ROV02). Magnetic properties of ROV01 are dominated by pyrrhotite, except for the outermost that experienced severe oxidation. Concentration and grain-size of ROV01 pyrrhotite are relatively low and fine. For GTV01, both magnetic concentration and grain-size increase from interior to margin. Pyrrhotite, dominant in the core, becomes mixed with hematite in the rim of the chimney due to secondary oxidation. High concentration and large grain-size of magnetic minerals characterize the ROV02. Dominant magnetic phases are pyrrhotite, hematite and goethite. In particular, the outermost rim shows a presence of magnetite produced by magnetotactic bacterial activity. Such distinctive contrast in magnetic concentration, grain-size and mineralogy among three different types of chimney enables the rock-magnetic study to characterize an evolution of hydrothermal deposits.

      • KCI등재

        국내 통신 수요탄력성 추정에 관한 연구

        김원년,윤수진,제상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6

        The demand for domestic telecommunication continues to grow due to changes in the spending structure of household consump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income elasticities and price elasticities for telecommunication in Korea.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using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data of the Statistics Korea. The LA/AIDS approach using SUR method is used for the estimation of quarterly observations from 2003 to 2015. The model constructs a telecommunication demand system which is consisted of food, housing, telecommunication, and others. As a result, income elasticities of food, housing, and telecommunication were between 0 and 1, indicating that all three goods were necessity goods and were inelastic to income. Also, own-price elasticities of food, housing, and telecommunication were negative, indicating that the theory of demand, which says demand decreases as prices rise. Especially, in the case of telecommunication, absolute value was less than 1 is means goods is inelastic to price. These results show how much a change in price due to the emergence of a new communications market will affect aggregate demand. 국내 통신 수요는 가계 소비의 지출구조 변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통신 수요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2003년 1분기부터 2015년 4분기까지 통계청 분기별 가계동향조사를 이용하여 한국 통신수요의 소득탄력성과 가격탄력성을 추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LA/AIDS모형에 표면상무관회귀모형을 적용하여 가계지출항목을 식료품, 주거, 통신, 기타항목이 포함된 4개의 수요체계를 구성하여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식료품, 주거, 통신의 소득탄력성이 모두 양(+)의 값이며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세 재화 모두 필수재이며 소득에 대하여 비탄력적인 재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료품, 주거, 통신의 자기가격탄력성이 음(-)의 값으로 나타남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가 감소하는 수요이론과 부합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통신의 경우 자기가격탄력성의 절댓값이 1보다 작아 가격에 대하여 비탄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5G, 폴더블 폰과 같은 새로운 통신서비스의 등장으로 인한 가격변동이 총수요를 얼마나 변동시킬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담배 및 주류 소비가 보건의료지출에 미치는 효과분석 : 가구단위 미시자료를 활용한 중도절단 수요체계접근

        김원년,김양중,양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stimate the demand change effect of tobacco and alcohol consumption resulted in their price changes onto the health and medical care expenditure (hereafter, 'HMCE'), and to find out a plan to make a political use of it. we constructed AIDS(Almost ideal demand system) model using Korean urban households expenditure data and the estimation method is the Censored Regression in this study.The cross price elasticity which is estimated between consumption of tobacco and the HMCE is -0.42, which implies 10% of tobacco price increase will decrease 4.2% of the HMCE. The cross price elasticity which is estimated between alcohol and the HMCE is -1.004, which implies 10% of tobacco price increase will decrease 10.04% of the HMCE. Each of 10% price increases for tobacco and alcohol simultaneously will cause 14.23% decrease of the HMCE.Korea's tobacco and alcohol demand are negatively responsive to fluctuation in its price, respectively. The HMCE is also negatively related to tobacco and alcohol price fluctuation. These empirical outputs could be utilized as the basis of government's tax policy to control national tobacco and alcohol consumption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담배와 주류의 소비에 있어서 가격변화에 따른 수요의 변화가 보건의료비 지출에 미치는 효과를 예측하고 이를 정책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가구단위 미시자료를 활용하여 준이상수요체계를 구성하고, 추정방법으로는 중도절단 회귀법을 사용하였다. 추정결과 담배의 가격을 10% 인상하였을 때 보건의료수요는 -4.2%, 주류의 가격을 10% 인상하였을 때 보건의료수요는 -10%, 담배, 주류의 가격을 동시에 10%인상하였을 때, 보건의료수요는 -14.23%로 감소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표적인 중독성 재화인 담배와 주류의 소비는 가격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반응하여 가격조절을 통한 소비억제정책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담배 및 주류의 가격인상이 보건의료수요를 감소시킴으로써 국민건강을 증진시킨다는 주장의 실증적 근거가 확인되었다.

      • KCI등재

        담배가격인상이 흡연 수요에 미치는 영향

        김원년,서정하,김양중 한국인구학회 2006 한국인구학 Vol.29 No.2

        및 정책제언개인단위로 추적 관찰한 자료를 활용하여 가격 인상 전후 1개월 3개월 및 6개월 기간 동안의 단기적인 담배수요의 가격탄력성을 추정한 결과가 기간별로 각각 흡연자의 경우 -0.6853, -0.6230 및 -0.5482이고 비흡연자를 포함했을 경우 -0.3920, -0.3739, -0.3481 이다. 이는 2004년 12월 30일의 500원 가격인상의 흡연량 감소 효과가 6개월 동안 꾸준히 지속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특히 2006년 6월 현재 남성흡연율은 47.5%로 떨어져 가격인상의 효과는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보건복지부, 2005, 2006).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암시되는 정책적 의미를 유추해보면 흡연율 감소를 위하여서는 대폭적인 가격인상이 매우 효과적이며 따라서 추가적인 가격인상이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정부에서는 2010년의 국민건강 증진목표와 접근전략(보건복지부, 2000, 2002)에서 성인 흡연율을 남자 30% 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록 제반 경제여건과 여론에 밀려서 2005년에 추가 인상이 미루어진 담배가격 인상을 2006년 중에는 반드시 추진하여야 한다. 특히 가격인상으로 인한 흡연감소의 경제적 편익이 매우 크게 추정되고 있어 추가적인 가격인상의 근거가 되고 있다(이진석, 2006). 매년 흡연으로 인하여 4만 2천명이 사망하고 그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10조원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는 현실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비용이 적게 드는 가격인상정책은 꾸준히 강조될 필요가 있다(WHO, 2002).

      • KCI등재

        담배 및 주류 소비가 보건의료지출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김원년,강현구,서정하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2

        By using aggregate data, the price elasticity of tobacco consumption turned to be estimated at the range between -0.79 and -0.87. Alcohol price increase can be an effective and efficient policy to control alcohol demand and to promote national health. For example, 10% alcohol price increase will cause its demand decrease from the range of 3.2% to 7.8%. From the estimated income elasticity the health and medical care expenditure income elasticity seems to have character of luxurious goods. From the estimates of simultaneous demand model, price increase of tobacco and alcohol will cause significant decrease of health and medical care expenditure. It implies that Korea government's anti-smoking and anti-alcohol policies, which have been respectively held, will comprehensively and effectively promote national health if the policies are to be totally driven. 총계자료를 활용하여 추정된 다양한 형태의 담배수요함수로부터 가격탄력성을 산출해보면 우리나라 전체인구 일인당 담배소비의 가격탄력성은 -0.79에서 -0.87사이로 추정된다. 주류가격의 인상은 수요감소를 통하여 국민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파악된다. 예로서 주류가격 10% 인상의 효과는 수요를 3.2%에서 7.8%까지 수요 감소를 유발시킨다. 물가인상을 감안한 실질 보건의료 지출로 표시된 보건의료수요함수로부터 추정된 소득탄력성은 보건의료 수요가 매우 사치적인 성격을 나타내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대표적인 중독성 기호식품인 담배와 주류에 대한 수요와 함께 보건의료수요를 종합하여 연립방정식체계로 추정한 모형에서 담배가격과 주류가격이 종합적으로 인상될 경우 보건의료지출은 더 많이 줄어들게 됨을 보여준다. 이는 정부의 금연 및 절주 정책이 개별적으로 추진되는 것보다 상호보완적으로 추진될 때 더욱 효과적임을 암시한다.

      • KCI등재

        흡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김원년,김양중,서정하 한국자료분석학회 200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8 No.6

        At the end of 2004, the government raised tobacco price by another 500 won to increase for Korean adult male population to quit smoking. We examined the government's tobacco price policy effect and tri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igarette prices on smoking rate. We referred to the data which was looked into at Now&Future Co. and the GE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GEE Analysis, if the price of tobacco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stop smoking for the adult male will increase. On the other hand, if the average monthly income for city urban households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stop smoking will decrease.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raise tobacco price by 3200 won to reduce smoking rates by 30% and try to promote other controls as well as the price control. 2004년 말에 정부는 성인 남성의 흡연감소를 목적으로 담배의 가격을 500원 인상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의 담배가격정책의 효과를 살펴보고 담배의 가격인상과 인구학적 특징이 흡연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주)나우앤퓨쳐에서 조사한 '담배가격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조사' 자료이며 분석방법으로는 일반화추정방정식을 이용하였다. 일반화추정방정식의 분석결과 담배의 가격과 소득, 직업이 흡연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이 증가하면 금연확률은 증가하고 월평균 가구소득이 증가하면 금연확률은 감소한다. 따라서 성인남성의 흡연율을 선진국 수준인 30%정도로 낮추려면 담배가격을 3100원 정도로 인상하여야 하며 이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가격규제 또한 지속적으로 추진해야만 한다.

      • KCI등재

        담배가격 인상시 성인 남성 흡연율의 예측에 관한 연구

        김원년,김양중,강현구 한국자료분석학회 200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9 No.5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mpirical evidence about the policy of tobacco price increase to achieve the male adults smoking rate 30% in 2010 and 20% in 2020. A tobacco demand function, in which the per capita tobacco consumption of Korean adults is the function of tobacco price and income, is estimated and the own price elasticity of tobacco demand is estimated as -0.44.A smoking rate equation is estimated, in which the smoking rate is the function of tobacco price and per. capita. GDP. The simulation results of price increase scenario suggest that the male adults smoking 30% in 2010 and 20% in 2020 could be reached if the government increase tobacco price 25% in this year and 3% every each year from next year.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에 성인 남성 흡연율 30%, 2020년에 20%를 목표로 다양한 담배규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정부의 담배가격 인상이 담배수요와 흡연율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를 살펴보고 미래의 흡연율을 예측하여 국내 담배가격정책의 실증적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담배소비량 변수로 한국의 성인 담배소비량과 성인 남성 흡연율을 활용하였고, 가격과 소득을 중심으로 성인 담배 수요함수와 성인 남성 흡연율 방정식을 설정하여 흡연율을 예측하였다. 가격인상의 담배수요 감소효과를 총괄적으로 살피기 위한 성인남성담배수요함수의 추정결과 담배수요의 가격탄력성은 -0.44이다. 또한 흡연율 방정식의 추정을 통하여 정책목표달성을 위한 가격인상 시나리오를 검토한 결과는 올해 담뱃값을 25% 인상 후, 매년 3%씩 인상 할 경우 2010년 30%, 2020년 20%의 흡연율에 무난하게 도달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 KCI등재

        지자기 방향변화 및 베릴륨 동위원소비를 이용한 북동 적도 태평양 주상시료의 층서확립

        김원년,형기성,공기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4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6 No.4

        A 570 cm-long sediment core was retrieved at 9o57'N and 131o42'W in 5,080 m water depth from the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and its stratigraphy was established with 10Be/9Be and paleomagnetic measurements. Successive AF demagnetization reveals eight geomagnetic field reversals. In the reference geologic time scale, the eight reversal events correspond to an age of about 4.5 Ma. However, 10Be/9Bebased age yields 9.5 Ma at a depth of 372 cm. Such a large discrepancy in determined ages is attributed to an extremely low sedimentation rate, 0.4 mm/kyr on average, of the study core and resultant loss or smoothing of geomagnetic fields. The composite age model reveals a wide range in the sedimentation rate - varying from 0.1 to 2.4 mm/kyr. However, the sedimentation rate shows systematic variation depending on sedimentary facies (Unit II and III), which suggests that each lithologic unit has a unique provenance and transport mechanism. At depths of 110-80 cm with a sedimentation rate of about 0.1 mm/kyr, ancient geomagnetic field reversal events of at least a 1.8 Myr time span have not been recorded, which indicates the probable existence of a hiatus in the interval. Such a sedimentary hiatus is observed widely in the deepsea sediments of the NE equatorial Pacif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