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65년체제’와 재일코리안

        김웅기(金雄基) 한국일본문화학회 2016 日本文化學報 Vol.0 No.68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reasons why Koreans in Japan have not been able to improve their social status in Japan. This thesis intends to analyze how their social status in South Korea, a divided nation overwhelming anti-communism, has imposed constraints on improving status in Japanese society. At the same time, a fact that pro-norths and pro-souths live altogether imposes political vulnerability on them. South Korean-Japanese diplomatic normalization brought Koreans in Japan logics of South Korean politics backed by anti-communism. Their loyalty toward the nation of South Korea has been endlessly doubted since both pro-Norths and pro-Souths are living altogether in Japan. From late 1970s to 1980s, many of youngsters were concocted by South Korea’s dictatorial authorities under the name of spy of North Korea. Even after South Korean society achieved democratization, diversity of political value existing in the community of Koreans in Japan has not been approved by their mother nation. This situation becomes constraints for them to assert the improvement of their social status in Japan. For the purpose of the enhancement of social status of Koreans in Japan, they should consider not only their own circumstance in Japan but also that in their mother nation.

      • KCI등재

        신생아와 유아 심장 수술 시 심폐기회로 충진액의 최소화

        김웅한,장형우,박천수,이정렬,김용진,곽재건,양성원,조재희,이경훈,백인혁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4

        Background: Cardiopulmonary bypass (CPB) involves use of an initial priming volume which can cause side effects such as hemodilution, transfusion, inflammatory reaction and edema. Hence, there have been efforts made to reduce the initial priming volume. We compared this traditional method to a CPB method that uses a minimized priming volume (MPV). Material and Method: For 97 patients who underwent congenital cardiac surgery between July 2007 to June 2008, we discussed each case and decided which method to use.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cardiopulmonary bypass sheets of the patients. Result: We used a MPV method for 46 patients, and a traditional method for the other 5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operative and intraoperativ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such as body weight, age, cardiopulmonary bypass time, lowest body temperature, etc. However, the priming volume was much smaller in the MPV group than the traditional group (p<0.001). The volume of initially mixed packed RBC was also much smaller in the MPV group (p<0.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mortality and neurologic complications. Conclusion: We could significantly reduce the initial priming volume and initially mixed pRBC volume with the revised CPB method. We suggest that this method be used more widely for congenital cardiac surgery. 배경: 심장 수술시 체외순환은 불가피하며 이때 발생하는 혈액 희석, 수혈, 염증반응, 부종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초기 충진액을 최소화하려는 많은 노력이 이루어졌다. 저자들은 최근 체외순환 장비 및 운영방식의 개선으로 몸무게 10 kg 미만의 신생아 및 유아를 대상으로 체외순환 충진액의 양을 140 mL까지 줄일 수 있었으며 기존의 방법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7월부터 2008년 6월까지 본원에서 선천성 심장 기형으로 수술받게 될 5 kg 미만의 환아(n=97)를 대상으로 충진액 최소화 기법과 기존의 방법을 병행하여 수술을 시행하였다. 충진액 최소화 기법은, 심폐기 도관을 짧게 하고, 저혈조의 위치를 조절하며, 진공 배액을 사용하는 등 각 요소마다 충진액의 양을 줄일 수 있는 방법 등을 적용하는 것이었다. 연구 기간이 끝나고 난 뒤 후향적으로 체외순환기록지와 의무기록을 확인하였다. 결과: 새로운 충진액 최소화 기법을 사용한 환아는 46명이었으며 기존의 방법을 이용한 환아는 51명이었다. 양 집단에서 환아의 나이, 몸무게, 심폐기 가동시간, 최저체온 등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그러나 충진액 최소화 기법을 사용한 환아와 기존의 방법을 사용한 환아에서 심폐기 초기 충진액의 총량은 각각 160.3±14.1 mL, 277.8+58.1 m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1), 초기 농축적혈구 혼합량은 33.6±27.2 mL, 115.3±49.4 mL로 역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수술 전 혈액검사에서 적혈구용적률은 오히려 충진액 최소화 기법 적용 군에서 평균 29.9%, 기존의 방법 군에서 평균 35.4%로 기존의 방법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각 군에 있어서 시행한 수술을 RACHS 카테고리에 의거해 난이도별로 나누었을 때 충진액 최소화 기법 사용 군에서 시행한 수술이 기존의 방법 사용 군에서 시행한 수술에 비해 높은 난이도에 더 많이 분포하였다. 두 군 간에 수술 후 사망률이나 신경학적 합병증의 발생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체외순환 장비 및 운영방식의 개선으로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획기적으로 초기 충진액 및 수혈을 줄일 수 있었고 체외순환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부작용을 최소화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 같은 기법의 확대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심첨과 대정맥이 동측에 있는 수정대혈관전위의 해부학적 교정

        김웅한,이택연,김수철,전홍주,한미영,김수진,이창하,정철현,이영탁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8

        최근 여러 병원에서 선천성 수정대혈관전위의 해부학적 교정이 보고되고 있다. 해부학적 교정을 받은 수 정대혈관전위 환아의 단기 및 장기추적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주로 심방전환수술에 따르는 대정맥과 심방 문합 부\ulcorner의 협착과 상심실성 부정맥이며 이는 심방이 작은 경우에 위험도가 증가되고 특히 심첨과 대정맥 이 동측에 있는 경우에는 문제가 된다. 이런 경우 이중전환수술시 일부 선택된 환아에서 대정맥폐동맥단락 술을 추가함으로써 수술의 위험성과 심방의 잠재성 합병증을 피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본원에서는 수정대 혈관전위, 심실중격결손, 폐동맥폐쇄가 있으면서 심첨과 대정맥이 동측에 있는 환아의 해부학적 교정시에 대 정맥폐동맥단락술을 추가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Over the past several years, a number of centers have reported favorable results of anatomical repair for the congenitally corrected transpositions. However, there have been subsequent problems related mainly to the results of atrial switch procedures in patients who had small atriums because of venoatrial obstructions or supraventricular arrhythmias, especially in patients with apicocaval juxtaposition. Cavopulmonary shunt may be a useful addition to the double switch operation in certain circumstances as a means of avoiding potential atrial complications. Herein, we describe the successful anatomical repair of congenitally corrected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y with pulmonary atresia,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cavo apical juxtaposition with this modification.

      • SCOPUSKCI등재

        심장외폰탄수술의 조기성적

        김웅한,정도현,김수철,전홍주,이창하,김욱성,오삼세,정철현,나찬영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7

        부천세종병원에서는 '96년 8월부터 '97년 8월까지 22명의 환자에게 심장외폰탄 (extracardiac Fontan) 수술을 시행하였다. 남자 14명, 여자 8명이었으며, 진단별로는 단심실증 16명(우심실형 12명, 좌심실형 4명), 삼첨판폐쇄증 4명, 좌측이소성(left isomerism), 대혈관전위증, 심실중격결손증이 있으면서 폐동맥협착증이 있는 환자 1명, 그리고 Criss-Cross 심장이면서 비대칭심실이 있는 1명이었다. 연령은 22개월부터 26세까지 분포하였고 폐동맥압은 평균 11.7$\pm$3.1 mmHg이었다. 선행수술로 양방향성대정맥폐동맥단락술(bidirectional cavopulmonary shunt)을 시행한 환자가 15명으로 평균 15.6$\pm$3.4개월의 기간을 두고 수술을 시행하였고, 고전적 글렌 수술 후 14년만에 Fontan 수술을 시행한 환자가 1명 있었다. 전대정맥폐동맥단락술(total cavopulmonary shunt, Kawashima operation)후 폐동-정맥루(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 발생으로 평균 37.5$\pm$20개월만에 수술을 받은 환자가 4명 있었고, 2명의 환자는 선행수술 없이 심장외폰탄수술을 시행하였다. Between August 1996 and August 1997, 22 patients underwent extracardiac Fontan operations. The basic diagnoses included univentricular heart of the right ventricular type (n=12); univentricular heart of the left ventricular type (n=4); tricuspid atresia (n=4); left isomerism, transposition of great arteries,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pulmonary stenosis (n=1); and criss-cross heart with uneven ventricle (n=1). The median age of the 14 men and 8 women was 29 months (range from 21 months to 26 years). Previous procedures included bidirectional cavopulmonary shunt (n=15, interval=15.6$\pm$3.4 months), Kawashima operation (n=4, interval=37.5$\pm$20 months), and classic Glenn shunt (n=1, interval=14 years). In 2 patients, extracardiac Fontan operations were done without any previous procedures. A 16- to 22-mm flexible Gore-Tex tube graft (n=18), Hemashield graft (n=3), or, alternatively, a nonvalved aortic allograft (n=1) was cut and anastomosed end-to-end between inferior vena cava and undersurface of pulmonary artery using Gore-Tex or Prolene suture in a running fashion. In risk Fontan patients (n=12), a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racardiac conduit and the right atrium was constructed. In the most 13 recent patients, the procedures were done without cross-clamping of the aorta and with a beating heart. Operative mortality was 9.1% (n=2). Complications included persistent chest tube drainage for more than 7 days (n=5), chorea (n=2), and low cardiac output (n=1). There were no late deaths. Follow-up echocardiogram (mean: 6 months) demonstrated satisfactory hemodynamic results in the surviving 20 patients. Potential advantages of this technique consist of minimization of surgical manipulation of atrial tissu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myocardial ischemia, creationof a uniform and stable inferior vena cava-to-pulmonary artery conduit, and increased flexibility and safety in certain high-risk patients such as those with increased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pulmonary hypertension, and impaired ventricular function. Further investigations during a longer follow-up are needed to confirm the intermediate and long-term results, especially the reduction of late atrial arrhythmias.

      • SCOPUSKCI등재

        변형술식에 의한 완전방실중격결손의 교정

        김웅한,김수철,이택연,한미영,정철현,박영관,김종환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7

        Background: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anatomy of the complete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including right-dominant unbalanced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have led to alternative methods of repairing these defects. Material and Method: From May 1997 to July 1998, 8 consecutive infants(age range, 2 to 28 months, mean body weight 6.0$\pm$2.2 kg) received a single-stage intracardiac repair of the complete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with modified surgical methods. Depending on the specific anatomic structure, the procedure was simplified in 3 patients by a direct closure of the ventricular element of the defect(Group I). Two patients judged unsuitable for direct closure due to a potential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obstruction had received a standard two-patch repair(Group II). The remaining 3 patients with right-dominant unbalanced complete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underwent biventricular repair; to enlarge the orifice of the left atrioventricular valve, the ventricular septal patch was placed slightly more to the right of the ventricular crest, a left sided bridging leaflet was augmented with an autologous pericardial patch, and the leaflet was repaired with a double- orifice(Group III . Result: In all 8 patients, the postoperative echocardiography demonstrated good hemodynamics. Seven patients were weaned from the ventilators after a mean 3$\pm$1 days, and 1 patient was weaned after 24 days due to a reoperation and emphysematous lung problem. A reoperation was performed in 1 patient for progressive left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due to leaflet tearing. There were no early and late mortalities. At the time of the latest review, judging from the echocardiographic criteria, left atrioventricular valve stenosis was mild in 1 patient(mean pressure gradient 6.5 mmHg, 13.5%), left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was absent or grade I in 7 patients(87.5%). The right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was absent or grade I in all 8 patients(100%). Conclusion: Infants with complete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were treated with either a simplified approach with direct closure of the ventricular element of the defect or a modified surgical technique for a right-dominant unbalanced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depending on the anatomic structure. The results were no operative mortalities and low morbidity. 배경: 최근에 완전방실중격결손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이해가 증가됨에 따라서 본원에서는 수술방법에 있 어서 여러 가지 변형을 시도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5월부터 1998년 7월까지 8명의 완전방실중 격결손 환자를 수술하였다. 남녀 각각 3명, 5명이었으며 나이는 2개월에서 28개월까지 분포하였고 평균 몸무 게는 6.0$\pm$2.2 Kg이었다.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서 3명의 환아에서는 심실중격결손을 일차적으로 봉합 하여 수술을 단순화하였다(Group I). 좌심실유출로 협착의 가능성이 있는 2명의 경우에는 통상적인 방법대로 2개의 포편을 이용하였다(Group II). 그리고 불균형 완전방실중격결손의 경우에는 심실중격결손을 막는 포편 을 우심실에 치우쳐서 막고 심방중격을 새로 만들거나 좌측 방실판막의 부족한 판막부위를 자가 심낭막으로 메꾸어 주거나 좌측 방실판막이 parachute valve 인 경우에는 2개의 판막입구를 만들어 주었다(Group III). 결과: 모든 환자가 수술후 만족스러운 혈류역학을 보였으며 7명에서는 평균 3$\pm$1 일만에 인공호흡기 이탈이 가능하였으며 1명의 환자는 심장의 문제없이 폐질환으로 24일만에 인공호흡기를 이탈하였다. 수술후 합병증 으로 III군에서 판막성형을 시행한 좌측 판막이 찢어지면서 판막역류가 점진적으로 심해진 1명에서 2주만에 재수술을 하였다. 조기 및 만기사망은 없었으며 수술후 심장초음파검사에서 약간의 좌측 방실판막협착이 III 군에서 1명 있었으며(평균압력차 6.5 mmHg), 좌측 방실판막역류가 7명(87.5 %)의 환아에서 Grade I 이하였으 며, 우측 방실판막역류는 모든 환아에서 Grade I 이하였다. 결론: 완전방실중격결손의 수술시 해부학적인 구 조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일부 환아에서는 심실중격결손을 일차적으로 봉합함으로써 수술을 단순화할 수 있 으며 우심실이 발달된 불균형 완전방실중격결손에서도 변형수술방법을 통하여 양심실성 교정을 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SCOPUSKCI등재

        완전방실중격결손수술의 단순화

        김웅한,김수철,오삼세,정도현,정홍주,김욱성,이창하,정철현,나찬영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9

        최근들어 완전방실중격결손에 대한 해부학적 이해의 증가로 새로운 방법에 의한 교정이 시도되고 있다. 본 부천세종병원 흉부외과에서는 완전방실중격결손환자 2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통상적인 수술방법을 간소화 하여 심실중격부위의 큰 결손을 포편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봉합해 주었다. 수술후 두 환자 모두 양호한 경과를 보였으며 3개월 까지의 외래 추적에서도 별다른 문제가 없었다. 비록 이렇게 간소화된 수술방법으로 통상적인 교정방법에 필적 할 만한 단기성적을 2 례에서 얻을 수 있었으나 좌심실유출로 협착이나 판막 기능의 장애없이 방실중격결손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좀더 많은 경험과 장기 추적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anatomy of complete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have led to alternative methods of repairing these defects. Here we report two cases of complete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repair by direct closure of the ventricular element of the defect. Follow-up for average of 3 months suggests that, when direct closure can be performed, the results can be comparable with those of the standard technique. Our initial success with this approach is encouraging; however, longer follow-up and more experiences are required to establish whether it will be broadly applicabl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헤이트스피치의 피해자인 재일코리안의 반응과 대응

        김웅기(Kim Woong Ki)(金雄基) 한일민족문제학회 2017 한일민족문제연구 Vol.32 No.-

        本稿は多様な在日コリアンのうち、総連系朝鮮籍者の嫌韓現象によるヘイトスピーチに対する認識に関する聞き取り調査(2014年6-8月実施)の内容を論じたものである。在日コリアン社会の構成は移住時期や国籍、政治的性向などによって細分化されており、かつては多数だった総連系朝鮮籍者は今や少数になっている。しかし、民族教育や同胞コミュニティのつながりが依然として強固であることから、可視的な集団として存在している。他の属性を持つ在日コリアンに比べ、彼らの認識にはいかなる特徴があるのかについて調査を行った。 本調査が特記するに値する特徴は以下の通りである。 第一に、差別に対する認識をはじめとする内面における葛藤を言語化する能力に長けている点である。これはその他の属性を持つ在日コリアンとの違いと言えるものであり、幼い頃から同胞コミュニティが身近に存在することで、自尊感情を毀損されて来なかったことなどが影響を及ぼしているものと思われる。 第二に、差別に抗う意思が強固である一方、権利や公的制度に対する信頼感が低い点である。在特会による京都朝鮮第一初級学校襲撃に対し、告訴を行う過程における逡巡など、これまでの弾圧の歴史によって、制度の活用や日本社会への発信などにおいて消極的にならざるを得なかった点が作用している。実際に反差別に関する発信活動を行ったある朝鮮学校教員は日本人側による執拗な嫌がらせに遭っている。 第三に、民族教育の支援者であり、感謝の対象である北朝鮮よりも、韓国の方が自ら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主張する上で日本社会においては有利という認識が存在している。経済的格差などに加え、金正日による日本人拉致を認める発言以降、日本社会において「朝鮮人」として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表に出すことに恐れを感じ、「韓国人」と称する方が安全という認識が存在している。政治的信念が確固たるものとなっている一部を除けば、総連系朝鮮籍者と言えども、日本社会における差別に対する差別に対する不安や苦悩の中に暮していることがわかる。 This paper discusses how pro-Chongryon Chosen-seki Zainichi Koreans perceive hate speech/crime against them escalated by anti-Korean sentiment spread by recent South Korean-Japanese international relations. Comparing to the rest of categories of Zainichi Koreans, they are relatively visible and active in that the ties of their communities and ethnic schools are still firm. The author implemented a research survey from June to August of 2014, and the research method taken was in-depth interview, and the author interviewed 55 Zainichi Koreans. Among them, seven people are pro-Chongryon Chosen-sekis. Discussions in this paper ar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to the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o-Chongryon Zainichis are good at languageizing their mental conflicts occurred by discrimination. Their ethnic communities gives positive influence on their self-esteem resisting discrimination. Second, the rate of their trust in rights and public institutions is low while the intention to resist discriminiation is strong. It is because of long history of Japan’s discriminatory perception against Koreans. Third, Third, they posess perceptions that claiming South Korean identities are more advantageous than North Korean ones as far as they live in Japan. This type of perception has been possessed even by pro-Chongryons since 2002 when Kim, Jungil admitted North Korea committed abductions of Japanese people.

      • SCOPUSKCI등재

        자가폐동맥판막을 이용한 대동맥심실성형술 -1례 보고-

        김웅한,이영탁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4

        복합적인 좌심실유출로협착이 있는 환자에서는 여러종류의 대동맥심실성형술이 치료의 옵션이다 소아에서 대동맥심실성 형술시 폐동맥자가판막은 판막치환의 재료로써 매우 희망적 이라고 하겠다. 세종병원 흉부외과는 선천성대동맥헙 착, 대동맥 폐쇄부전, 그리고 심한 좌심실기능부전이 있는 6개월된 여아 1례에서 폐동맥자가판막을 이용한 대동맥심실성형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In small children with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obstruction, a few methods of surgical treatment could be considrred. The pulmonary autogrart provides a promising options for aortic valve replacement as part of the aortoventriculoplasty procedure in children. We report a successfully treated congenital aortic stcnoinsufricicncy with sever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in an early infant with the aortoventriculoplasty using thc pulmonary autograft (the Ross-Konno proced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