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부에 전이된 지방육종의 치험례

        김우철,홍락원,김태훈,문선혜,박노부,이용오,Kim, Woo-Cheol,Hong, Lak-Won,Kim, Tae-Hoon,Moon, Seon-Hye,Park, No-Boo,Lee, Yong-Oh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1994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16 No.3

        지방육종은 주로 근간 간엽조직으로부터 발생되어지며, 중년이상의 남성에서 호발하고 주된 발병부위는 하지 및 후복막강이고 구강 주위조직에 이환되는 경우는 극히 드문 악성종양이며, 본 증례에서는 4년 전 좌측 하지에서 발생되어 우측 하지 및 좌측 협부에 전이된 것으로 생각되어지는 점액양의 지방육종으로 종물의 외과적 절제술 및 화학요법을 시행하였고 장기적인 관찰이 요구된다. Liposarc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malignant mesenchymal neoplasm, comprising approximately 15% of all soft tissue sarcoma. This is a tumor with an incidence peak between age 40 and 60 years, and is slightly more common in men than women. Although all body region may be involved, the most frequent sites are lower extremities and retroperitoneum but rare in the head and neck region. Liposarcoma can be classified to four subtypes ; myxoid, well-differentiated, round-cell, pleomorphic. The myxoid type is the most common and accounts for almost one half of all liposarcoma. Wide surgical excision with or without radiation therapy has been used to manage this lesion. We report a case of 50-year old man with soft tissue swelling on the left cheek, previously diagnosed as myxoid liposarcoma in the left lower extremity. After radiologic and ultrasonic study and surgical excision with biopsy, the lesion of cheek was diagnosed as myxoid liposarcoma with round cell differentiation.

      • KCI등재

        로렌츠 커브를 이용한 하둡 플랫폼의 최적화 지수

        김우철,백창룡,Kim, Woo-Cheol,Baek, Changryong 한국통계학회 2014 응용통계연구 Vol.27 No.2

        최근 큰 관심을 받는 빅데이터는 분산처리를 통해서만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분산처리란 주어진 쿼리를 여러 대의 컴퓨터로 분할하고 각 분할된 데이터의 계산 결과를 취합하는 과정으로, 주어진 하드웨어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최대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둡은 이러한 분산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중의 하나로 분산처리에 사용된 컴퓨터의 개수만큼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확장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매우 성공적인 플랫폼이다. 이 논문에서는 하둡 플랫폼이 얼마나 최적화 되어있는지에 대한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지수를 제공함으로써 주어진 하둡 플랫폼의 효율성을 측정한다. 방법론적으로는 로렌츠 커브를 이용하여 하드웨어 리소스들이 얼마나 잘 균등히 배분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CPU, 디스크 일기/쓰기 및 네트워크 병목현상에 따른 비용을 감안한 최적화된 로렌츠 커브를 찾음으로써 최적화 지수를 산출한다. 바꾸어 말하면, 이러한 최적화 지수는 주어진 하둡 플랫폼이 얼마만큼의 성능 향상이 가능한지 알려주는 척도로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빅테이터의 처리 속도 개선을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실험 자료 및 모의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을 검증하였다. Ever increasing "Big data" can only be effectively processed by parallel computing. Parallel computing refers to a high performance computational method that achieves effectiveness by dividing a big query into smaller subtasks and aggregating results from subtasks to provide an output. However, it is well-known that parallel computing does not achieve scalability which means that performance is improved linearly by adding more computers because it requires a very careful assignment of tasks to each node and collecting results in a timely manner. Hadoop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platforms to attain scalabi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asurement for Hadoop optimization by utilizing a Lorenz curve which is a proxy for the inequality of hardware resources. Our proposed index takes into account the intrinsic overhead of Hadoop systems such as CPU, disk I/O and network. Therefore, it also indicates that a given Hadoop can be improved explicitly and in what capacity. Our proposed method is illustrated with experimental data and substantiated by Monte Carlo simulations.

      • KCI등재

        타이치(Tai-Chi) 운동이 유방암 수술환자의 어깨관절 가동범위와 심박동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Cheol-Woo Kim(김우철),Yi-Sub Kwak(곽이섭),Yi-Soon Kim(김이순),Kyung-Chul Kim(김경철),Hee-Eun Kim(김희은)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타이치 운동이 유방암 수술 후 환자의 어깨관절 가동범위 및 심박동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자는 유방암 1∼2기 진단을 받고 유방암 수술 후 2개월 이내의 B광역시에 거주하는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타이치 운동을 12주간, 주4회, 1회 60분씩 실시하여 실험 전ㆍ후 어깨관절 가동범위 및 심박동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어깨관절 가동범위의 굴곡, 신전, 내전, 외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심박동수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타이치 운동은 유방암 수술 후 환자들에게 어깨관절 가동 범위를 향상시키고 심장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심혈관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유방암 수술 후 환자들의 건장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권장할 만한 운동으로 사료된다. Goo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s regarded as the goal of elderly residential care. Treatment for breast cancer produces side effects that diminish functional capacity and quality of life among survivors. Tai-Chi exercise offers the benefits of fitness and health. Tai-chi has been claimed to generate beneficial effects with respect to a wide range of diseases.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ai chi exercise on shoulder joint movement and cardiovascular function in elderly breast cancer patients. The subjects were 40 patients residing in B metropolitan city, who had undergone surgery for breast cancer within 2 months. They underwe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an anti-cancer chemical treatment. They practiced tai-chi exercise for 60 min a day, four times a week for 12 weeks under the direction of a special tai-chi instructor. Shoulder joint movement and heart rat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houlder joint movement, including flexion, extention, adduction and abdu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fter treatment, and heart rate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eatment (p<0.05). From the results, Tai-Chi exercise was shown to be extremely effective in improving shoulder joint movement and heart rate in elderly breast cancer patients. Further study is needed in this area.

      • KCI등재후보

        직장암의 방사선치료에 대한 Patterns of Care Study : 1998~1999년도 수술 후 방사선치료 환자들의 특성 및 치료내용에 대한 분석결과

        김종훈(Jong Hoon Kim),오도훈(Do Hoon Oh),강기문(Ki Moon Kang),김우철(Woo Cheol Kim),김원동(Won Dong Kim),김정수(Jung Soo Kim),김준상(June Sang Kim),김진희(Jin Hee Kim),길학재(Hak Jae Kil),서창옥(Chang Ok Suh),손승창(Seung Chang Soh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3 No.1

        목 적: 전국의 각 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1998년과 1999년도의 2년간 직장암 진단 하에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의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인 직장암 환자의 전체적인 구성과 특성을 파악하고 치료 내용에 대한 현황 을 조사하여 국가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의 기준은 1998년부터 1999년 사이에 직장 선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작한 환자로서 육안적 잔여 병소 없이 근치적으로 수술이 이루어진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직장암이외의 다른 암의 병력이 있거나 과거에 골반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병력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각 병원별 치료환자 수에 비례하여 해당 병원의 입력 환자수를 정한 후 PCS 본부의 무작위 추출 과정을 통하여 입력할 환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환자는 웹 기반 PCS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병원에서 직접 자료를 입력하였다. 결 과: 전국의 19개 병원에서 총 309명의 환자 자료가 입력되었다. 남녀 성비는 59:41이었으며 하단연 기준 종양의 위치는 항문연 6 cm 이내가 46%로 가장 많았다. 수술 전 CEA검사는 79%에서 시행되었으며 이 중 43%에서 6 ng/ml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전 직장내초음파검사는 50명(16%)에서만 시행되었으며 CT 등을 이용한 임상적 병기판정은 274명에서 가능하였으며 stage II가 32%, III가 48%를 차지하였다. 수술 후 조직소견에 의한 병리학적 병기는 stage II가 34%, III 가 63%였다. 수술의 방법은 복회음부절제수술이 38%, 저위전방절제술이 59%였으며, 5명의 환자에서는 원격전이가 있었으나 원발병소와 함께 절제되었다. 절제연에서 종양세포가 발견된 경우가 13예였으며, 수술 후 항암화학치료를 받은 환자는 전체의 91%였고 80%의 환자는 정맥주사, 9%의 환자는 경구항암제를 투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제는 5FU와 leucovorine의 조합이 212명(69%)으로 가장 많았고 시행횟수는 6회가 140예(45%)로 가장 많았다. 환자의 치료자세는 복와위자세가 251예(81.2%)로 나타났고, 치료 조사야 수는 박스형 4문조사가 75예(24.3%)로 가장 많았으며 3문조사(후방-양측방)가 201예(65.0%)로 그 뒤를 이었다. 치료 시 소장을 조사야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나 소변을 참는 등의 조치는 40.1%의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선량의 처방점은 회전중심점이 140예(45.3%), 등선량곡선이 123예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실제 치료된 조사선량은 180∼7,740 cGy의 분포를 보였으며 목표선량의 90%이상이 투여된 경우가 287예(92.9%)였다. 결 론: 전국 각 병원들의 환자를 종합하여 관찰된 내용은 문헌상 권장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수술의 범위와 항암화학치료의 방법은 병원에 따라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병원의 방사선치료 내용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탓에 방사선량과 조사야의 선택에 있어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처방된 치료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는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Purpose: To conduct a nationwide survey on the principles in radiotherapy for rectal cancer, and produce a database of Korean Patterns of Care Study. Materials and Methods: We developed web-based Patterns of Care Study system and a na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random sampling based on power allocation methods. Eligible patients were who had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rectal cancer without gross residual tumor after surgical resection and without previous history of other cancer and radiotherapy to pelvis. Data of patients were inputted to the web based PCS system by each investigators in 19 institutions. Results: Informations on 309 patients with rectal cancer who received radiotherapy between 1998 and 1999 were collected. Male to female ratio was 59:41, and the most common location of tumor was lower rectum (46%). Preoperative CEA was checked in 79% of cases and its value was higher than 6 ng/ml in 32%. Pathologic stage were I in 1.6%, II in 32%, III in 63%, and IV in 1.6%. Low anterior resection was the most common type of surgery and complete resection was performed in 95% of cases. Distal resection margin was less than 2 cm in 30%, and number of lymph node dissected was less than 12 in 31%. Chemotherapy was performed in 91% and most common regimen was 5-FU and leucovorine (69%). The most common type of field arrangement used for the initial pelvic field was the four field box (Posterior-Right-Left) technique (65.0%), and there was no AP-PA parallel opposing field used. Patient position was prone in 81.2%, and the boost field was used in 61.8%. To displace bowel outward, pressure modulating devices or bladder filling was used in 40.1%. Radiation dose was prescribed to isocenter in 45.3% and to isodose line in 123 cases (39.8%). Percent delivered dose over 90% was achieved in 92.9%. Conclusion: We could find the Patterns of Care for the radiotherapy in Korean rectal cancer patients was similar to that of US national survey. The type of surgery and the regimen of chemotherapy were variable according to institutions and the variations of radiation dose and field arrangement were within acceptable range.

      • KCI등재후보

        Social Background of a Visionary Rebellion and the Image of an Ideal Society

        Kim Woo-cheol(김우철)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5 No.1

        인조 7년(1629) 이충경의 반역 사건은 정묘호란을 계기로 발생한 유민들을 끌어들여 반역을 꾀하다가 적발되어 실패한 사건이었다. 참여 계층이 주로 하층민에 집중되어 있었고 규모도 수십 명에 불과하였으며 실제로 행동에 옮기기 전에 모두 체포되었으므로 크게 주목되지 못했으며, 따라서 ‘실없는 농담’이나 ‘아이들의 장난’이라고 평가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이 집단을 이루어 저항에 이르게 된 사회적 배경이나, 이들이 추구하고자 했던 이상 사회에 대한 염원은, 그 성공 여부와 별도로 음미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사건은 정묘호란이 발발한 지 2년 뒤에 호란으로 큰 피해를 입었던 평안도ㆍ황해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였다. 전쟁으로 가족을 잃고 떠돌던 유민들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집단에 가담하지만, 한편으로는 후금에 대한 적대 의식도 가담의 배경으로 작용했다. 최영이나 남이와 같이 조선왕조를 부정하는 상징적 인물이 강조되면서 이 집단은 단순한 생계형 도적 집단이 아닌 반역 집단으로 전화하지만, 가담자들은 동요하지 않고 행동을 함께 하였다. 이 사건의 주모자인 이충경은 「개국대전」이라는 문서를 통해,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사회의 모습을 소박한 형태로 구현하였다. 그 사회는 군역이나 조세 부담을 누구나 고르게 지며 특권을 부인하는 평등한 사회였다. 또 국가기구의 민인에 대한 붑법적 침해나 착취를 금지하는 정의로운 사회였다. 조선왕조가 지니고 있었던 모순을 진솔하게 표현한 이러한 바람은 ‘실없는 농담’이나 ‘아이들의 장난’이라고 평가되며 무시되었고, 따라서 모순은 해결되지 않았으며, 결국 또 다른 새로운 저항으로 전화될 수 있는 소지를 남겨 놓았다. Yi Ch’unggy?ng’s Rebellion of 1629 (7<SUP>th</SUP> year of King Injo), was an incident that saw people displaced by the First Manchu Invasion of 1627 (Ch?ngmyo horan) attempt to overthrow the existing government.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in this attempted uprising were from the lower classes. As the group involved only a score of people, and they were all arrested before their plot could be actualized, it did not garner any attention at the national level. It was even evaluated as a ‘silly game involving some overgrown children.’ However, leaving aside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incident, much can be gained from delving into the participants’ social background, how they got to the point where they raised a resistance, and their wishes for an ideal society. This incident was hatched in the provinces of P’y?ngan and Hwanghae, both of which had suffered greatly as a result of the First Manchu Invasion of 1627. Most of those who followed Yi had lost their families and found themselves displaced by the war. These individuals perceived the proposed coup as a means to secure a livelihood. On the other hand, they also harbored a strong sense of hostility toward Later Chin. The growing emphasis on the worship of Ch’oe Y?ng and Nam Yi, two generals who had opposed the Chos?n dynasty, signified that Yi’s group had been transformed from a band of thieves into one that plotted rebellion. However, despite this change in character, every member of the group’s support for Yi remained unwavering. The group’s ringleader Yi Ch’unggy?ng gave form to the ideal society that he envisioned in a document called the 〈Kaeguk taej?n〉. The ideal society was one in which public equality was to be achieved by reigning in abuses in the military service and tax structures and removing privileges. It was a society in which the state’s illegal exploitation of the people was to be brought to a halt. Their pure wishes for an end to the conflicts that pervaded Chos?n dynasty were ignored by the powers that be, and their uprising was evaluated as a ‘useless farce initiated by a few woodsmen’ or as a ‘silly game involving some overgrown children.’ As such, the inherent conflicts at the center of this incident were not resolved and a tinderbox that could be lit at another time was left behind to fester.

      • SCOPUSKCI등재

        Brainstem Tumors

        김우철(Woo Cheol Kim, M.D.),서창옥(Chang Ok Suh, M.D.),표홍렬(Hong Ruyll Pyo, M.D.),노준규 (John J.K. Loh, M.D.) 김귀언 (Gwi Eon Kim, M.D.)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0 No.1

        1980년부터 1990년까지 연세의료원 암쎈터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20예(남자 : 여자= 10:10, 성인 : 소아= 8:12)의 뇌간종양 환자의 치료결과를 분석하여 보았다. 총 20예의 환자 중 13예에서는 보통 분할 방사선치료(분할 당 180~200cGy, 주 5회, 총 4680~5400 cGy)를 시행하였고 나머지 7예에서는 과분할 방사선치료(분할 당 100 cGy, 1일 2회, 주 10회 총 7200 cGy)를 시행하였다. 중앙 추적 기간은 보통 분할 방사선 치료군과 과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 각각 36개월과 10개월이었다. 20예의 환자중 4예에서는 치료전 병리학적 진단을 얻을 수 있었다. 이중 3예는 저분화 성상 세포종양 이었고 1예는 미분화 성상 세포종양이었다. 전체 대상환자의 실제 2년 생존율은 30%이었다. 예후인자로 나이, 증상 발현기간, 종양 형태 등을 분석해 보았는데, 증상 발현기간이 긴 환자에서 짧은 환자보다 예후가 좋았고, 성인에서 소아보다 예후가 좋았다. 종양 형태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보통 분할 방사선 치료군보다 과분할 방사선 치료군에서 초기 임상적 치료 반응이 좋았다. 보통 분할 방사선 치료군과 과분할 방사선치료군을 비교하는 것은 환자의 숫자가 적고, 과분할 방사선 치료군의 추적 기간이 짧아 어려웠다. A total of 20 patients (male: female=10:10, adult:children=8:12) with brainstem tumors had been received radiation therapy in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Cance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etween 1980 and 1990. Thirteen of 20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before 1989, 180~200 cGy per fraction, 5 days a week, total dose 4680~5400 cGy), and 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hypert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in 1990, 100 cGy per fraction, twice daily 10 fractions a week, total dose 7200 cGy). Median follow up periods for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group and hyper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group were 36 months and 10 months, respectively, Four of 20 patients had histopathologic diagnosis prior to treatment; 3 cases were low grade astrocytoma and 1 case was high grade astrocytoma. Overall 2-year actuarial survival rate was 30%.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a longer duration of symptom and sign was better (60% vs 12%), and the adult (52%) was better than children (1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cal (29%) and diffuse (26%) type. The initial clinical response was better in the hyper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group. Because of the relatively small number of patients and short follow up period in hyper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group, there was no comparison between two group.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