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그래픽조직자 중재 연구 분석

        김우리,고혜정,김동일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1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xamine intervention studies of graphic organizer (GO)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s used in those studies on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wenty-two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between 2000 and 2012 were reviewed. This review investigated general features of the studies and effect sizes by subject type (math, writing, reading, and social studies), type of GO (visual display, semantic mapping, cognitive mapping, and story mapping), intervention types (single intervention, multiple intervention), and delivery methods(group size and dur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in most studies were students from grade 4 to 6, and they used GOs in core areas such as reading, math, and writing. Compared to reading and writing, Using GOs in math was associated with higher effects sizes. The math studies used GOs to improve word-problem solving skill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overall, it was effective across the type of GOs. In writing, the studies implemented GOs to increase quality of writing; cognitive mapping and semantic mapping were effective on improving quality of writing, compared to the other type of GOs. In reading, the studies used GOs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cognitive mapping among the four types of GOs was most effective on comprehension. Effect sizes by intervention types and delivery methods were inconsistent across studies. Lastly,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본 연구는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한 그래픽조직자 중재연구를 수집·분석하여, 각 교과별 학업성취 향상에 효과적인 그래픽조직자 유형과 전달방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00년 이후부터 2012년까지 국내의 학술저널에 출간된 13편의 (준)집단설계연구와 9편의 단일대상연구, 총 22편의 연구가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선정된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고, 교과별(수학, 쓰기, 읽기, 사회)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또한 각 교과를 그래픽조직자 유형(이야기도식, 인지적도식, 의미적도식, 시각적배열), 중재구성(단일중재, 복합중재), 전달방법(집단크기, 중재기간)에 따라 분류하여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그래픽조직자 중재연구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래픽조직자는 읽기, 쓰기, 수학과 같은 주요교과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수학교과에서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고, 다음 읽기, 쓰기 순으로 나타났다. 수학교과에서는 주로 문장제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중재의 목적으로 하였고, 그래픽조직자의 유형에 관계없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쓰기교과에서는 주로 글의 내용 향상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그래픽조직자의 유형 중 인지적도식과 의미적도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읽기교과에서는 글의 이해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였고, 그래픽조직자의 유형 중 인지적도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중재여부와 중재전달방법에 따른 효과크기는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와 예비일반교사들이 인식한 학교차원의 긍정적행동지원(SWPBS) 모형의 적용 가능성

        김우리,나경은,김동일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1

        본 연구는 학교차원의 긍정적행동지원(SWPBS) 모형의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한 예비일반교사와 예비특수교사들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일반교사 113명과 예비특수교사 85명 중 총 19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하여, SWPBS를 구성하고 있는 3단계 행동지원의 단계별 적용 가능성과 단계 내 주요 요소별 적용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결과는 t-test를 이용하여 비교․분석되었다. 또한, 주요 요소별로 현장 적용 시 예상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SWPBS의 단계별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 두 예비교사 집단은 2단계인 소그룹단위 행동지원과 3단계인 개별단위 행동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두 번째로 SWPBS의 단계 내 주요 요소별 적용 가능성에 대한 두 예비교사집단의 인식차이를 살펴본 결과, 1단계인 학교단위 행동지원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단계인 소그룹단위 행동지원에서는 “행동관리프로그램, 사회성기술 등 효과적인 교수법 제공” 등을 포함하는 4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단계인 개별단위 행동지원에서는 “구체적인 문제행동 측정” 등을 포함하는 5개의 항목에서 두 집단은 상이한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용 가능성이 낮은 이유에 대해서는 예비일반교사는 교사와 학생들의 비협조, 교사의 업무과다를 들었고, 예비특수교사는 교사 간 협력의 어려움, 교사의 역량 부족을 들었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함께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SWPBS) model to schools. A total of 198 preservice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survey. They rated applicability of major components of SWPBS model and reported obstacles in implementing the model. We collected data and analyzed the results using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service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perceptions on applicability of level 2 and 3 in SWPBS model. As for the applicability of major components within each level, In level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components. In level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4 components including ‘implementing evidence-based instruction such as behavioral management and social skills training.’ In level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ve of a total of eight items including ‘measuring problem behaviors specifically.’ Regarding obstacles in conducting the SWPBS model,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lack of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other teachers and teachers’ heavy workload whil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lack of cooperation among teachers and teachers’ low competence. Lastl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ith discussion were provided.

      • KCI등재

        읽기이해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의 추론 능력 차이 분석: 소리내어 생각하기 과제를 활용하여

        김우리,신미경,유용석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3

        Objectives: This is a conceptual replication aiming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processes of students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using the think-aloud protocol. Methods: Among 72 third- and fourth-grade participants, 28 poor comprehenders and 44 average stud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screening criteria and standardized tests. The think-aloud protocol was used to monitor comprehension processes during reading. The participants verbalized their thoughts as they read expository and narrative texts. Those responses were transcribed and coded according to inference rates, correctness, and inferential types (explanation, prediction, or association). Results: First, poor comprehend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rates and accuracies of inferences for both expository and narrative texts than average students did.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oor comprehenders and average students in the proportions of the three types of inferences. Poor comprehenders generated significantly lower rates of explanatory, predictive, and associative inferences. Third, the inference types differed for different type of texts. Both groups made more predictive inferences when reading the narrative text than when reading the expository text. Conclusion: Differences in inference patterns between poor comprehenders and average students were identified using the think-aloud protocol. Different types of inferences were involved in processing different types of tex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developing learning strategies for encouraging solid inference are discussed.

      • 헌팅턴씨 병 세포 모델에서 돌연병이 헌팅틴이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의 기능 및 세포 생존력에 미치는 영향

        김우리,서혜명 한양대학교 이학기술연구소 2006 이학기술논문지 Vol.9 No.-

        가바성 신경세포는 헌팅턴씨 병 (Huntington's disease: HD) 환자의 특정 뇌 영역에서 선택적 취약성을 나타내며,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 (ubiquitin-proteasome system: UPS) 은 이러한 특정 신경의 퇴행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단백질의 응축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가바성 ST14A 세포에 돌연변이된 헌팅틴 유전자가 과발현 되었을 때 UPS 기능 및 세포 생존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돌연변이 헌팅틴 유진자의 과발현이 유도된 ST14A 세포를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의 효소 활성 저해제인 3-NP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력과 프로테아좀 활성이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프로테아좀 활성의 감소는 프로테아좀 활성인자인 PA28α나 β의 렌티바이러스를 통한 유전자 전이를 통해 복구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프로테아좀 활성의 변형이 UPS 및 가바성 신경세포의 세포 생존 관련 기작을 변형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HD의 잠재적인 치료의 표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GABAergic neurons are selectively vulnerable m the several brain regions of Huntington's disease (HD) Patients. Ubiquitin-proteasome system (UPS) has been reported to be related to abnormal protein aggregation in the neurodegenerative disease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UPS function in HD, we used in vitro HD model system such as GABAergic ST14A cells. We administered mitochondrial enzyme inhibitor, 3-NP, which causes energy impairment and replicates most of pathophysiological features of HD, into these neurons. The cell viabilities and chymotrypsin-like proteasome activities were determined using LDH assay and fluorescence substrate-based enzyme activity assay. HD cell with mutant huntingtin induction showed the decreased cell survival against 3-NP toxicity. These HD cells also showed decreased proteasome activities which further increased by overexpression of PA28α or P. These results indicate the modification of proteasome accivity can alter the UPS function and other cellular survival mechanisms of GABAergic neurons in HD pathology.

      • KCI등재

        한국 중재반응모형 연구 분석: 단계별 중재구성요소와 비반응 정의를 중심으로

        김우리,연준모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s and definitions of response/non-response by reviewing research of Response-to-Intervention (RTI) in Korea. Eighteen studies were reviewed for this study. First, the intervention components and the ways to define non-response were investigated in Tiers 1, 2 and 3 by academic subjects. Second, the prevalence of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those identified as having learning disabilities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RTI model was mainly used for mathematics. In Tier 1, large-group instruction was applied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Small-group instruction was implemented after school in Tier 2 and one-on-one instruction was used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in Tier 3. In terms of teaching strategies, information about teaching methods was not reported in Tier 1. In Tier 2, direct instruction and teaching strategies applied Bruner’s EIS theory were frequently used in math and a peer-assisted learning strategy was often used in reading. In Tier 3, students received special education. Instruction duration varied regardless of academic subjects and Tiers. To screen non-responders to the interventions, final benchmark method was applied in Tier 1 and dual discrepancy approach was used in Tier 2.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TI model was effective for decreasing the prevalence of learning disabilities. Lastly,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재반응모형 연구들을 개괄 및 분석해보고, 중재반응모형의 특징과 우리나라에 모형 정착을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문헌선정 기준에 따라 중재반응모형을 사용한 실험 연구 18편이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먼저, 선정된 연구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과목별, 중재 단계별로 중재구성요소들의 특징을 분석하고, 반응과 비반응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중재반응모형을 통하여 선별된 위험군 혹은 학습장애 학생의 출현율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단계별로는 Tier 1 에서는 일반학급에서 대집단 교수가 제공되었고, Tier 2 에서는 방과 후에 소집단 교수가 이루어졌고, Tier 3 에서는 주로 특수학급에서 일대일 교수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전략을 살펴보면, Tier 1 에서는 교수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지 않았고, Tier 2 에서는 수학교과의 경우 직접교수와 EIS 전략을, 읽기교과에서는 또래교수를 주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Tier 3 에서는 Tier 2에서 사용한 교수전략에 특수교육 접근을 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재기간은 교과나 교수 단계와 관계없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비반응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Tier 1 에서는 최종 기준점수 준거를 사용하였고, Tier 2 에서는 이중불일치 접근을 사용하였다. 또한, 중재반응모형은 학습장애 출현율을 낮추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장애위험아동, 누구인가?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김우리,김지연 한국특수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학연구 Vol.51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f children at risk for disabilities, the children’s daily classroom learning and experiences, and issues surrounding their educational support that was perceived by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ur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9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children at risk for disabilities as 1) children with severely falling behind in either academic achievement and/ or in getting along socially with peers, 2) children with academic and emotional/ social problems due to their low social/ economic status or parental factors, and 3) children whose educational needs are not met in their current school system. Second, children at risk for disabilities showed poor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relationship with peers in schools, and these difficulties were often associated with further problems such as labeling, school violence, and so on. Further, these difficulties and problems appeared to be more accelerated within the situation that teachers shift their responsibility to others. Third, current educational practices for this population were not effective because of 1) school personnel’s lack of accountabiliti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2) input of untrained and unqualified staffs to the interventions and 3) parents’ mistrust of schools, poor school involvement, and denial of interventions/ placement for their children. Fourth, results suggested an improvement of the school system where a homeroom teacher take a major role in service delivery to children at risk for disabilities with collaborative effort with school teams. Besides, administrative supports were needed to maximize the potentia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ent training and family support were also requir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se finding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현장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위험아동의 정의, 학교생활, 이들을 위한 교육 지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명의 일반 및 특수교사가 포함된 네 개의 집단과 포커스그룹인터뷰를 각각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위험아동은 학습 및 정서, 행동 영역에서 심각한 문제를 보이는 아동, 가정의 낮은 경제적, 사회적 지위나 학부모 요인으로 인해 문제를 보이거나 문제가 더 악화된 아동, 교사를 포함한 학교의 체제가 아동의 교육적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아동이었다. 둘째, 장애위험아동은 학습과 생활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이는 낙인, 학교폭력 등의 2차적인 문제로 연결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어려움과 문제는 학교 내 관련 전문가들의 사각지대에서 더욱 누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장애위험아동을 위한 교육지원은 담당 인력의 책무성과 전문성 부족, 검증되지 않은 외부 인력의 무분별한 투입, 학부모의 학교에 대한 불신 및 지원 거부로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넷째, 장애예방을 위하여 담임교사가 중심이 되고 특수교사 및 관련 전문 인력이 협력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었다. 또한 특수교사의 전문성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이 선행되어야 하며, 학부모교육과 가족 지원이 이루어져야한다고 하였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 성인 쥐 뇌의 여러 영역에서의 콜린성 신경세포 특이적 유전자 발현의 정량

        김우리,서혜명 한양대학교 이학기술연구소 2007 이학기술논문지 Vol.10 No.-

        콜린성 신경세포는 신경계에 널리 분포하며, 대뇌피질 발달, 피질 활성, 대뇌 혈류 조절 및 인식, 학습, 기억 등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콜린성 신경세포가 주요하게 분포한다고 알려진 medial septum, frontal cortex, entorhinal cortex 및 whole brain 등의 성인 쥐 뇌의 여러 영역에서 M1 수용체 (M1 receptor, M1), 아세틸콜린 에스터레이즈 (acettylcholinesterase, AChE), 갈라닌 (galanin), 갈라닌 수용체 1 (galanin receptor 1, Galr1) 등의 콜린성 신경세포 특이적 유전자에 대한 발현정도의 차이를 RT-PCR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같은 콜린 특이적 영역이라고 할지라도, 뇌의 각 영역 당 주요하게 발현되는 콜린성 신경세포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 및 그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신경전달물질을 사용하는 뇌의 영역들이, 관련 유전자의 발현 차이를 통하여 각각의 주요 역할을 조절하여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Cholinergic neuron, which uses acetylcholine as a neurotransmitter, is known to have a critical role in cerebral cortical development, cortical activity, controlling of cerebral blood flow, modulating of cognitive function, and learning and memory processe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e differences of expression levels of cholinergic neuron specific genes, such as M1 receptor (M1), acetylcholinesterase (AChE), galanin, and galanin receptor 1(Galrl), in the several cholinergic brain regions including medial septum, frontal cortex, entorhinal cortex and whole brain. Using semi-quantative RT-PCR for adult mice brain tissues, we founded that different cholinergic brain regions show different expression patterns of specific cholinergic gen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olinergic neurons in specific brain regions may regulate their major functions, as shown in the expression profiles of cholinergic specific genes.

      • KCI등재

        설명글과 이야기글 읽기에서 읽기이해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의 추론 특성 분석 : Think-aloud를 이용하여

        김우리,고혜정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inferential types of poor comprehenders and average comprehenders in reading comprehension. We presented two types of texts (narrative and explanatory) to 5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used the "Think-aloud" method to look at the differences in inferential patterns. First, the Mann-Whitney U test, a non-parametric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inferences of poor comprehenders and average comprehender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valid elaborative inferences', 'valid predictive inferences', 'bridging inferences', 'text repetitions/paraphrases,' and 'no responses/ meaningless responses'. Seco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inferential patterns according to the type of text(narrative and expository). As a result, average comprehend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valid elaborative inferences', 'invalid elaborative inferences', 'associations', and 'bridging in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text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oor comprehende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ssociations' and ''bridging in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text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e intervention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inferential ability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읽기이해란 글에 제시된 정보와 독자의 생각을 통합하여 의미를 형성하는 것으로 글을 이해하기 위 해서는 주어진 정보들을 잘 연결시키고 의미를 형성해나가는 추론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읽기이 해과정에서 읽기이해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이 보이는 추론 유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K시와 J도에 소재한 13개 공립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4학년 학생 54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유형의 글(이야기글, 설명글)을 제시하여 글을 읽고 그 동안 떠오르는 생각을 소리내어 말하는 ‘소리내어 생각 하기(Think-aloud)’ 방법을 이용하여 추론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반 학생과 읽기이해부 진 학생의 일반적인 추론양상을 살펴본 결과, 일반학생은 ‘정교화시키기’와 ‘연결짓기’의 추론유형을 많이 보였고, 읽기이해부진 학생은 ‘반복하기/바꾸어 말하기’의 비추론유형을 가장 많이 보였다. 한편, 읽기능력과 읽기과제별로 두 집단의 추론유형을 분석한 결과, 먼저 일반 학생과 읽기이해부진 학생 집 단의 추론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법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간 ‘정교화시키기’, ‘예측하기’, ‘연결짓기, ‘반복하기/바꾸어 말하기’, ‘무응답/의미없는 말하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글의 유형(설명글, 이야기글)에 따른 추론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한 결과, 일반학생들의 경우, 글의 유형에 따라 ‘정교화시키기’, ‘잘못된 정교화시키기’, ‘연상하기’, ‘연결짓기’ 추론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읽 기이해부진 학생들의 경우, 글의 유형에 따라 ‘연상하기’와 ‘연결짓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읽기이해부진 학생들에게 적절한 추론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방안 제 시 및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