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와 예비일반교사들이 인식한 학교차원의 긍정적행동지원(SWPBS) 모형의 적용 가능성

        김우리,나경은,김동일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1

        본 연구는 학교차원의 긍정적행동지원(SWPBS) 모형의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한 예비일반교사와 예비특수교사들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일반교사 113명과 예비특수교사 85명 중 총 19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하여, SWPBS를 구성하고 있는 3단계 행동지원의 단계별 적용 가능성과 단계 내 주요 요소별 적용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결과는 t-test를 이용하여 비교․분석되었다. 또한, 주요 요소별로 현장 적용 시 예상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SWPBS의 단계별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 두 예비교사 집단은 2단계인 소그룹단위 행동지원과 3단계인 개별단위 행동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두 번째로 SWPBS의 단계 내 주요 요소별 적용 가능성에 대한 두 예비교사집단의 인식차이를 살펴본 결과, 1단계인 학교단위 행동지원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단계인 소그룹단위 행동지원에서는 “행동관리프로그램, 사회성기술 등 효과적인 교수법 제공” 등을 포함하는 4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단계인 개별단위 행동지원에서는 “구체적인 문제행동 측정” 등을 포함하는 5개의 항목에서 두 집단은 상이한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용 가능성이 낮은 이유에 대해서는 예비일반교사는 교사와 학생들의 비협조, 교사의 업무과다를 들었고, 예비특수교사는 교사 간 협력의 어려움, 교사의 역량 부족을 들었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함께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SWPBS) model to schools. A total of 198 preservice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survey. They rated applicability of major components of SWPBS model and reported obstacles in implementing the model. We collected data and analyzed the results using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service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perceptions on applicability of level 2 and 3 in SWPBS model. As for the applicability of major components within each level, In level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components. In level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4 components including ‘implementing evidence-based instruction such as behavioral management and social skills training.’ In level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ve of a total of eight items including ‘measuring problem behaviors specifically.’ Regarding obstacles in conducting the SWPBS model,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lack of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other teachers and teachers’ heavy workload whil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lack of cooperation among teachers and teachers’ low competence. Lastl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ith discussion were provided.

      • KCI등재

        쓰기평가에 대한 연구 및 검사도구 특성 분석

        김우리 한국학습장애학회 2022 학습장애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writing assess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assessment. A total of 19 studies were selected for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research trends showed that most studies of the writing assessment were conducted since 2015, and the majority of the components of writing skills were written expression and spelling. In addition, subjects of most studie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sessment resulted in four findings. First, the handwriting test was based on copying presented words or sentences, and scoring was done by the total number of syllables correctly. Second, the spelling test was performed by dictation of words or sentences. However, the items and scoring methods differ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examiners. Third, in the written expression test, writing sentences with picture-word stimulus and writing texts with story prompt were the most common. Scoring was done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including a total number of syllables written, syllables spelled correctly, a total number of words written, words spelled correctly, and correct word sequence. Fourth, the typ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frequently used for each measure were presented. Finally, a discussion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s for assessment development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쓰기검사에 대한 연구 동향과 쓰기검사도구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총 19편의 논문이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결과, 쓰기검사 연구는 대부분 2015년 이후에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쓰기검사 영역은 작문과 철자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은 대부분이 초등학생이었으며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율이 높았다. 검사도구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첫째, 글씨쓰기(handwriting) 검사는 대체로 단어 혹은 문장을 보고 따라쓰는 방식이었으며, 채점은 정확하게 쓴 음절수로 하였다. 둘째, 철자(spelling) 검사는 검사자가 들려주는 단어 혹은 문장을 듣고 맞춤법에 맞게 받아쓰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문항과 채점방식은 검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작문(written expression) 검사는 그림-단어를 보고 문장을 쓰는 방식과 서두를 읽고 글을 쓰는 방식이 가장 많았다. 채점은 총 음절 수, 올바르게 철자한 음절 수, 총 어절 수, 올바르게 철자한 어절 수, 올바르게 이어진 어절 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각 검사도구별로 자주 사용된 신뢰도와 타당도 유형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향후 검사도구 개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작업기억과 학습의 관계: 장애(위험군) 학생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억 연구 분석

        김우리,고은영 한국학습장애학회 2015 학습장애연구 Vol.12 No.1

        This study reviewed the research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r at-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LD); it also provided implications for sensitive identification and effective interventions for th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A total of 24 studies were review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in most studies had reading disabilities or were at-risk for LD. The most frequently targeted academic area was also reading. Second, in reading, working memor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ading comprehension and it predicted the achieve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so, reading comprehens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central executive and phonological loop, but the correlation between comprehension and visuospatial sketchpad was inconsistent across studies. Third, in math, working memor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umber sense skill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uditory working memory and number sense was higher than visual-spatial working memory. In writing, working memor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mposition, but the correlation was not high.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working memory and writing fluency. Fourth, in language, working memor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ory-telling. Fifth, assessment tools to measure working memory were inconsistent across studie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국내 장애(위험군) 학생들의 작업기억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들을 개괄 및 분석하여, 장애(위험군) 학생의 학습능력 진단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총 24편의 논문이 분석되었으며, 연구동향 및 교과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들이 읽기장애 및 위험군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습영역 또한 읽기교과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작업기억과 읽기와의 관계에서는 작업기억은 읽기이해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 읽기이해의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체로 읽기이해는 중앙집행기, 음운루프와 높은 상관이 있었으나, 시공간잡기장과의 관계는 연구마다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수학에서는 작업기억은 수 관련 기술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고, 작업기억 중에서도 음성관련 작업기억과 상관이 높았다. 쓰기에서는 작업기억은 작문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나 상관이 높지 않았고, 작업기억과 쓰기유창성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언어의 경우, 작업기억은 이야기산출능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언어문제를 동반한 ADHD의 경우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연구에서 사용된 작업기억 검사도구는 일관되지 않았으며, 종류 및 형태에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령기 학생의 읽기 특성 탐색을 위한 안구운동 연구 분석: 특수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

        김우리,김지연 한국학습장애학회 2017 학습장애연구 Vol.14 No.3

        This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the eye movements in read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Fifteen studies that measured eye movement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using reading tasks were reviewed. Results of the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eye movements differ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eye movements depending on learners’ grades, achievement levels, and gender. However, contradictory results of students’ eye movements were found across the studies in the variables of grade and achievement levels. Second, students’ eye movements differed based on reading tasks such as word rea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word reading, students’ gaze durations were longer on low-frequency words than high-frequency words. The results of eye-movement patterns based on the length of words were inconsistent across the studies. In reading comprehension, students’ fixation duration was shorter when reading easier texts than reading more difficult tex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 for practice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글을 읽는 과정에서 학령기 학생들의 안구운동과 인지처리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학령기 학생을 대상으로 읽기과제를 제시하여 안구운동을 측정한 총 15편의 국내 연구물을 선정하여 안구운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안구운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학년에 따라,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따라, 성별에 따라 안구운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의 경우, 연구에 따라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높은 성취를 보이는 학생이 읽기 부진 학생에 비해 고정빈도가 높고 고정시간이 짧게 나타난다고 한 연구가 있는 반면, 평균 성취를 보이는 학생이 읽기 부진학생들에 비해 고정빈도도 높고 고정시간도 길다고 한 연구도 있었다. 성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읽기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읽기과제의 성격에 따라 안구운동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어 과제에서는 저빈도 단어에서 주시시간이 길었고, 단어 길이에 따른 안구운동 패턴은 일관적이지 않았다. 읽기이해 과제에서는 어려운 글에 비해 쉬운 글에서 고정시간이 짧았다. 논의에서는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안구운동에 차이가 있었던 이유를 분석하고, 읽기과제의 성격에 따른 안구운동에 대한 결과 해석 시 유의점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특수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KASS 탑재측정장비 요구사항 및 설계방안 분석

        김우리얼 ( Woo-ri-ul Kim ),홍교영 ( Gyo-young Hong ),강희원 ( Hee Won Kang ),최광식 ( Kwang-sik Choi ) 한국항행학회 2017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1 No.6

        국제민간항공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PBN 이행 촉구를 위해 2025년까지 모든 항공기의 SBAS 사용을 권고하고 있는 상황이 다. 이에 국내에서도 한국형 SBAS인 KASS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ICAO에서는 SBAS에 대한 인증 및 운용에 있어서 해당 항공 당국에 그 권한을 부여하고 있으며, KASS 또한 시스템 상세 설계, 제작, 설치 가 수행된 후 시스템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 질 예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제 표준의 비행검사 규정을 통해 비행시험 파라미터를 도출 하였으며 이를 측정하기 위한 탑재측정 장비의 구성방안에 대해서 제안 하였다.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s recommending the use of SBAS on all aircraft by 2025 to urge PBN implementation around the world. As part of this, Korea is also developing KASS, a Korean SBAS. ICAO grants authority to the host nation aviation authority in the certification and operation of SBAS. The KASS system will be verified after detailed system design, fabrication and installation. In this paper, flight test parameters are derived from the flight inspection regulation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on - board measurement equipment for measuring the parameters has been proposed.

      • KCI등재

        설명글과 이야기글 읽기에서 읽기이해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의 추론 특성 분석 : Think-aloud를 이용하여

        김우리,고혜정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inferential types of poor comprehenders and average comprehenders in reading comprehension. We presented two types of texts (narrative and explanatory) to 5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used the "Think-aloud" method to look at the differences in inferential patterns. First, the Mann-Whitney U test, a non-parametric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inferences of poor comprehenders and average comprehender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valid elaborative inferences', 'valid predictive inferences', 'bridging inferences', 'text repetitions/paraphrases,' and 'no responses/ meaningless responses'. Seco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inferential patterns according to the type of text(narrative and expository). As a result, average comprehend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valid elaborative inferences', 'invalid elaborative inferences', 'associations', and 'bridging in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text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oor comprehende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ssociations' and ''bridging in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text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e intervention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inferential ability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읽기이해란 글에 제시된 정보와 독자의 생각을 통합하여 의미를 형성하는 것으로 글을 이해하기 위 해서는 주어진 정보들을 잘 연결시키고 의미를 형성해나가는 추론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읽기이 해과정에서 읽기이해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이 보이는 추론 유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K시와 J도에 소재한 13개 공립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4학년 학생 54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유형의 글(이야기글, 설명글)을 제시하여 글을 읽고 그 동안 떠오르는 생각을 소리내어 말하는 ‘소리내어 생각 하기(Think-aloud)’ 방법을 이용하여 추론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반 학생과 읽기이해부 진 학생의 일반적인 추론양상을 살펴본 결과, 일반학생은 ‘정교화시키기’와 ‘연결짓기’의 추론유형을 많이 보였고, 읽기이해부진 학생은 ‘반복하기/바꾸어 말하기’의 비추론유형을 가장 많이 보였다. 한편, 읽기능력과 읽기과제별로 두 집단의 추론유형을 분석한 결과, 먼저 일반 학생과 읽기이해부진 학생 집 단의 추론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법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간 ‘정교화시키기’, ‘예측하기’, ‘연결짓기, ‘반복하기/바꾸어 말하기’, ‘무응답/의미없는 말하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글의 유형(설명글, 이야기글)에 따른 추론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한 결과, 일반학생들의 경우, 글의 유형에 따라 ‘정교화시키기’, ‘잘못된 정교화시키기’, ‘연상하기’, ‘연결짓기’ 추론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읽 기이해부진 학생들의 경우, 글의 유형에 따라 ‘연상하기’와 ‘연결짓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읽기이해부진 학생들에게 적절한 추론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방안 제 시 및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헌팅턴씨 병 세포 모델에서 돌연병이 헌팅틴이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의 기능 및 세포 생존력에 미치는 영향

        김우리,서혜명 한양대학교 이학기술연구소 2006 이학기술논문지 Vol.9 No.-

        가바성 신경세포는 헌팅턴씨 병 (Huntington's disease: HD) 환자의 특정 뇌 영역에서 선택적 취약성을 나타내며,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 (ubiquitin-proteasome system: UPS) 은 이러한 특정 신경의 퇴행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단백질의 응축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가바성 ST14A 세포에 돌연변이된 헌팅틴 유전자가 과발현 되었을 때 UPS 기능 및 세포 생존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돌연변이 헌팅틴 유진자의 과발현이 유도된 ST14A 세포를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의 효소 활성 저해제인 3-NP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력과 프로테아좀 활성이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프로테아좀 활성의 감소는 프로테아좀 활성인자인 PA28α나 β의 렌티바이러스를 통한 유전자 전이를 통해 복구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프로테아좀 활성의 변형이 UPS 및 가바성 신경세포의 세포 생존 관련 기작을 변형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HD의 잠재적인 치료의 표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GABAergic neurons are selectively vulnerable m the several brain regions of Huntington's disease (HD) Patients. Ubiquitin-proteasome system (UPS) has been reported to be related to abnormal protein aggregation in the neurodegenerative disease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UPS function in HD, we used in vitro HD model system such as GABAergic ST14A cells. We administered mitochondrial enzyme inhibitor, 3-NP, which causes energy impairment and replicates most of pathophysiological features of HD, into these neurons. The cell viabilities and chymotrypsin-like proteasome activities were determined using LDH assay and fluorescence substrate-based enzyme activity assay. HD cell with mutant huntingtin induction showed the decreased cell survival against 3-NP toxicity. These HD cells also showed decreased proteasome activities which further increased by overexpression of PA28α or P. These results indicate the modification of proteasome accivity can alter the UPS function and other cellular survival mechanisms of GABAergic neurons in HD pathology.

      • 성인 쥐 뇌의 여러 영역에서의 콜린성 신경세포 특이적 유전자 발현의 정량

        김우리,서혜명 한양대학교 이학기술연구소 2007 이학기술논문지 Vol.10 No.-

        콜린성 신경세포는 신경계에 널리 분포하며, 대뇌피질 발달, 피질 활성, 대뇌 혈류 조절 및 인식, 학습, 기억 등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콜린성 신경세포가 주요하게 분포한다고 알려진 medial septum, frontal cortex, entorhinal cortex 및 whole brain 등의 성인 쥐 뇌의 여러 영역에서 M1 수용체 (M1 receptor, M1), 아세틸콜린 에스터레이즈 (acettylcholinesterase, AChE), 갈라닌 (galanin), 갈라닌 수용체 1 (galanin receptor 1, Galr1) 등의 콜린성 신경세포 특이적 유전자에 대한 발현정도의 차이를 RT-PCR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같은 콜린 특이적 영역이라고 할지라도, 뇌의 각 영역 당 주요하게 발현되는 콜린성 신경세포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 및 그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신경전달물질을 사용하는 뇌의 영역들이, 관련 유전자의 발현 차이를 통하여 각각의 주요 역할을 조절하여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Cholinergic neuron, which uses acetylcholine as a neurotransmitter, is known to have a critical role in cerebral cortical development, cortical activity, controlling of cerebral blood flow, modulating of cognitive function, and learning and memory processe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e differences of expression levels of cholinergic neuron specific genes, such as M1 receptor (M1), acetylcholinesterase (AChE), galanin, and galanin receptor 1(Galrl), in the several cholinergic brain regions including medial septum, frontal cortex, entorhinal cortex and whole brain. Using semi-quantative RT-PCR for adult mice brain tissues, we founded that different cholinergic brain regions show different expression patterns of specific cholinergic gen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olinergic neurons in specific brain regions may regulate their major functions, as shown in the expression profiles of cholinergic specific ge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