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국시대 禪讓論 의 전개와 立賢共治

        김용천(金容天)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7 泰東古典硏究 Vol.38 No.-

        본 논문은 전국시대 선양론의 전개를 분석한 것이다. 묵가는 천자의 지위는 ‘천지(天志)’에 의해서 결정되며, 천의 의지는 재이를 통해서 표현된다고 하였다. 맹자도 선양의 주체를 ‘천’으로 설정하지만 이를 ‘민심(民心)’과 연결시킴으로써 ‘민심’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권력이동의 정당성과 권력의 공공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을 보여주었다. 순자는 맹자의 ‘민심’을 ‘예의지분(禮義之分)’으로 수렴하고, 예치(禮治)의 시스템을 체현한 ‘성인’만이 천자의 지위에 오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권력은 천자 한 개인의 도덕적 의지로 양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예치라는 제도적인 시스템을 통해 형성됨으로써 권력의 공공성과 체제의 안정이 확보된다고 하였다. 한비자도 선양을 부정했지만 그 부정의 논리와 문제의식은 맹 · 순과 전혀 달랐다. 한비자는 권력의 충돌로 인한 찬탈의 반복은 필연적으로 정치 · 사회적 불안정을 초래하며, 따라서 끝없는 찬탈을 막기 위해서는 강력한 군주권력의 확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순자는 권력의 집중이 오히려 권력의 공공성을 저해함으로써 정치적 혼란을 가중시킨다고 판단하고 예의의 체계를 익힌 현자들을 등용하여 공치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아울러 재상이 실질적인 정치의 주체가 되는 재상론을 전개했다. 在後代的中國歷史中,權力的繼承分爲 “ 家天下 ” 和 “ 公天下 ” 這兩個觀念。 家天下,是 “ 傳子 ” 的世襲制,讓兒子來繼承權力。公天下,則是 “ 傳賢 ” 的禪 讓制,讓給非血緣的聖賢之人來繼承權力。明末,黃宗羲在《明夷待訪錄》 中指出,秦始皇以來所確立的世襲制,及家天下的專制君主制,成爲明朝滅 亡的原因,於是便把堯舜時代的禪讓理想化爲公天下。在最初實現禪讓模 式的漢魏時期,後漢獻帝提倡堯舜的 “ 天下爲公 ” ,所以將皇位禪讓給了曹魏 的曹丕。但禪讓,是把天下讓給別人的一種行爲,從學理來講,只有以天子 有天下爲前提,才能落實,由此可以說,這是家天下的觀念。而且,禪讓因 權力的變動,一定會帶來政治上的不穩定,還有那些原先有野心的政治勢 力反復禪讓的可能性。實際上,通過禪讓而交替政权的王朝,即如王莽的新 朝、曹丕的曹魏、司馬炎的西晉、和南朝,這四個王朝都短命覆滅而收場, 這也許是必然的結果。 本文以儒家學派的孟子、荀子與法家的韓非子爲中心,來分析討論戰國 時代禪讓制。他們的學說各有不同,但在批判并否定堯帝成爲禪讓的主體, 而把天下讓給賢子舜這一點上,都有共同之處。而且,這些問題的重點不在 於世襲制還是禪讓制,而在於如何確保權力轉移的正當性與權力的公共 性,通過怎樣的方法,才能夠使統治體制穩定並且持久。 孟子在解釋從堯帝到賢者舜權力的轉移時,用天的權威,把它置換爲民 意,是以提出按民心的方向而決定傳子或傳賢的繼承方式。即按民心的方 向而轉移權力,那便具有正當性,以期確保政治體制的穩定和持續。但荀子 認爲所謂民心,其實體是十分模糊的,按照情況而始終變化。荀子主張 “ 天 人之分 ” ,不能像孟子那樣,把天介入人間的事中來。他把孟子的民心概括 在 “ 禮義之分 ” 的禮治體制中,認爲通過學問等方法,體現禮義的體制,達到 “ 聖人 ” 境界的人,能夠繼承天子的地位。如果體現禮治體制的人不是兒子, 而是三公等賢者,則認同傳賢的繼承。由此可以看出荀子不是繼承孟子的 說法,而是進一步發揚了孟子觀點。 韓非子把人類歷史視爲爭奪的持續,不僅否定堯舜的禪讓,還主張所有 權力轉移的過程必然帶來暴力。他不但強調其爲歷史真相,而且警告從統 治者的立場來看,賢者的任用反而會威脅君主的權力。 與此相反,荀子認爲權力的壟斷反而危害權力的公共性,進一步加重混亂。從這一點出發,他主張任用熟悉禮義體制的賢者,從而推行共治。君主 在設計禮治的整體體制還有協調的至尊地位,而宰相則是把下屬官僚安排 在適當的官職位置,同時總覽政治實務,來確保政治主體的職位。如此一 來,他認爲君主和宰相等賢者進行共治,教化百姓,穩定政治,從而能夠確 保政治體制的穩定和持續。與此同時,君主(天子)—知識官僚(宰相)— 民(百姓)之間落实平衡,這種政治結構的構思也變成了後代儒教國家的治 國理念。

      • KCI등재

        ‘祔’의 해명을 위한 경학적 접근

        김용천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3 泰東古典硏究 Vol.31 No.-

        본 논문은 ‘부(祔)’의 행례 절차와 그 개념에 대한 경학사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의례』에서는 ‘졸곡을 지내고 이튿 날에 반차에 따라 부를 한다[卒哭, 明日以其班祔]’라고만 규정되어 있어 ‘부’의 구체적인 행례 절차가 명확하지 않다. 정 현은 ‘부’를 졸곡 다음 날에 신주를 조묘(祖廟)에 모시고 소목의 반차에 따라 제사를 지내는 ‘부제(祔祭)’로 규정하였다. 아울러 부제를 지낸 후에는 신주(神主)를 다시 정침(正寢)으로 되돌려 놓는다는 ‘부제복침(祔祭復寢)’설을 제기하고, 연제(練祭)를 지낸 후에 신주를 천묘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리하여 정현에 의해서 『의례』의 ‘부’는 ‘부제’와 ‘천묘’의 두 가지 행례절차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정현의 해석은 두예․가공언․주희 등에 의해서 계승되었다. 그러나 송대 진상도(陳祥道)가 『예기』「방기」의 ‘상례매가이원(喪禮每加以遠)’과 『순자』 「예론」의 ‘상사동이원(喪 事動而遠)’의 예제의 원리에 의거하여 ‘부제복침’설에 의문을 제기한 이래, 명대에 들어서면 왕정상(王廷相)․황종희(黃 宗羲)․만사동(萬斯同) 등에 의해서 『대대예기』 「제후천묘」에 대한 재해석과, 『좌전』의 희공 33년 조에 대한 재해석, 『의례』의 경문과 ‘부’에 대한 훈고학적 해석을 통해서 정현의 ‘부제복침’설을 비판하고, 부제를 지낸 후에 신주를 조묘 에 부장(祔藏)해 두었다가 연제 혹은 삼년상을 마친 후에 천묘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아울러 이들은 『의례』의 ‘부 ’에 대해, ‘제사를 지내는 것’에 주안점을 두지 않고, 천묘 이전까지 조묘에 ‘부장’하는 점을 강조하여 ‘부묘(祔廟)’라는 새 로운 개념을 사용하였다. Suggest classics from the perspective of trying to explain the " worship ancestors ' salute program and its concept ." Ritual " only specifies " Cuku tomorrow worship ancestors in its class ", which salute the program is not clear. Xuan of the" worship ancestors "as " worship ancestors Festival " in Cuku the following day , the altar in the Temple , and then a ritual held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of Zhaomu the same time, he proposed " complex offering worship ancestors sleep " argument , that is held after offering worship ancestors , the ancestral regression is sleep , after the festival was held and advocated training , migration to move their ancestral worship of the temple . Consequently, according to Zheng Xuan saying , "ritual " and " worship ancestors " are divided into " worship ancestors sacrifice " and " move the temple " Two salute program . Zheng Xuan Du Yu was later explained . Jiagong Yan . Xi and other human inheritance. However, according to the Song Chen Hsiang Road "Book . Fang Ji " " Every funeral to be far " and " Zi . On Rites " ," funeral movement and far , "the principle of " complex sleep offering worship ancestors ' argument questioned since then been entered in the Ming Dynasty . Qing generations, Tingxiang . Zongxi . Wan Sitong et al for " Rites . Princes moved temple . " "Zuo Zhuan" Xi 33 years of public provisions were re- interpreted , and used the method of exegesis "ritual" of scripture and " worship ancestors ," reveals a new interpretation by the above new understanding , they criticize Zheng Xuan 's " worship ancestors Festival complex sleep , " saying that the festival held after worship ancestors , ancestral worship ancestors hidden in the Temple , offering training or services until the end of three years of mourning , Rusi moved to Temple. for the" ritual "and" worship ancestors , "they are not in the line of sight on " hold worship " point, but stressed that before the move temple " worship ancestors hidden in the Temple ," this, this , use the " temple worship ancestors ," the new concep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前漢末의 廟議와 功德·宗變論 ― 宗法관념의 변용과 확장 ―

        김용천 중국고중세사학회 2007 중국고중세사연구 Vol.18 No.-

        본고는 원제시대 광형에서 애제시대의 유흠에 이르는 종묘제론의 전개를 살펴보았다. 광형은 군국묘의 혁파, 능방입묘 제도의 폐지, 소목제도에 의거한 경사 입묘, 태상황묘의 훼천과 황고묘의 존치, 태조―4친묘의 5묘로 구성되는 묘제의 기본원칙 등 위현성의 논점을 기본적으로 계승하였다. 다만 이념과 현실 사이의 갈등에서 파생된 위현성의 논리적 모순에 대해, 무제의 묘를 만세불천의 ‘宗’으로 높이는 방식으로 해소시키고, 1조―2종―4친의 7묘제를 제시하였다. 또한 애제 즉위초의 묘의에서 공광․하무 측과 팽선․만창․좌함 측은 무제의 불훼묘를 둘러싼 논란은 있었지만 양측 모두 4친묘를 묘제의 기본구성으로 하였다는 점에서는 일치하였다. 이는 종법의 원칙, 상복의 제정원리 등을 고려한다면 자연스런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4친묘를 묘제의 기본전제로 하여 논의된 담론은 종묘에서 황실의 혈연적 계보에 대한 추숭을 통해 황제의 종법적 위상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었음을 반영한다고 하겠다. 그러나 유흠은 이전까지의 廟議에서 볼 수 없었던 전혀 새로운 주장을 하였다. 첫째, 그는 천자와 제후의 신분적 차이를 親廟의 多少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였다. 즉 제후의 5묘 가운데 4묘가 친묘이고 천자도 7묘 가운데 친묘가 4묘뿐이라면, 이는 천자와 제후의 尊卑를 廟數로 드러낼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또 ‘五世而親盡’의 원리는 제후의 別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일 뿐 천자의 경우에는 적용될 수 없다고 보았다. 이러한 인식 하에 유흠은 『예기』 「왕제」의 ‘천자칠묘’를 ‘1태조―6친묘(4친묘+혈연적 관계의 2祧)’로 해석하였다. 6친묘를 세우는 것이 옳은가 하는 것을 떠나 최소한 ‘신분에 따라 둘씩 강쇄하는 것이 制禮의 원칙’이라고 할 때, 이는 예학적으로 설득력 있는 해석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유흠은 이처럼 「왕제」의 ‘천자칠묘’를 혈연적 친소에 따라 입묘되는 迭毁廟의 常數로 해석한 후, 功德에 따라 세우는 ‘宗’은 變數라고 하여 그 설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는 ‘宗變’論을 주장하였다. 사실 廟制에서의 ‘공덕’개념은 경제․원제 등의 조칙에서도 보이지만, 이때에는 ‘4親廟=親親의 至恩’과의 대응을 전제로 하는 ‘祖宗=功德=尊尊의 大義’로서의 의미였다. 즉 ‘親’과 ‘尊’의 조율이라는 종법의 원칙을 7묘 속에 관철시킴으로써 황제의 종법적 위상을 확보하고자 한 것이었다. 그러나 황실의 종묘를 1태조-4친묘-2종의 7묘로 한정시킨다면 선대에 이미 2종이 설치되었을 경우 후대에 공덕을 쌓은 황제가 등장하더라도 종에 편입될 수 없는 모순이 발생한다. 이것은 ‘종’의 객관적 기준과 척도를 모호하게 만들뿐 아니라 ‘제왕들에게 공․덕에 힘쓰도록 권면하기 위한’ ‘종’의 의미도 상실된다. 이 때문에 유흠은 ‘종’에는 정해진 상수가 없다고 주장한 것이다. 이처럼 유흠은 종래 논의의 전제였던 4親廟에 혈연적 관계의 2祧를 더하는 6개의 질훼묘를 세움으로써 황제의 조상신에 대한 ‘親’의 정서를 고려해주면서도, 한편으로는 황제는 功德 즉 유교의 도덕적 실천자로서 그 공공성을 실행해야 하는 공적 존재임을 강조하였다. 종법이 기본적으로 혈연관계를 구성하는 원리로서 출발했지만, 비혈연적 관계들로 구성된 제국의 통치원리가 되기 위해서는 親의 추상성을 넘어서 시각적이고 보편적인 무엇인가를 필요로 하였다. 유 ...

      • Track 2 초,중등 정보교육 : 스크래치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알고리즘 설계 학습을 위한 활동지 개발 및 적용

        김용천 ( Yong Cheon Kim ),이원규 ( Won Gyu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8 No.2

        프로그래밍 교육은 컴퓨터를 활용하여 우리 생활 속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 프로그래밍은 문제해결 절차인 알고리즘을 작성하는 부분과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하는 부분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초보 학습자가 학습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보 학습자가 알고리즘을 작성하는 부분과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하는 부분을 구분하여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4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초보 학습자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을 하기 전에 자신이 구현하고자 하는 것을 충분히 생각하고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경험이 전혀 없는 초보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兩晉시대 ‘爲人後者’의 服制 담론

        김용천(Kim, Yongcheu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4 泰東古典硏究 Vol.33 No.-

        본 논문은 통전에 수록된 ‘위인후자(爲人後者)’에 관한 복제논쟁을 분석함으로써 양진시대 대종․소종 관계의 변주 양상, ‘위인후자’의 복제담론의 실제와 그 제례(制禮) 논리, 종법 관념의 변화 등을 고찰한 것이다. 전한 선제시대 ‘위인후자’ 규정에 대한 대성과 문인통한 사이에 벌어진 논전 이래 후한시대에 이르기까지 대종의 우선성과 종법적 원칙은 지속되었다. 그러나 양진시대에 들어서면 소종에게 지자(支子)가 없을 경우 ‘대종도 끊어질 수 있다’는 발언이 등장하면서 종족 집단 구성에 있어 ‘소종’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위인후자’의 복제(服制) 담론에도 반영되어 나타났다. 장담은 ‘소종의 지자로 대종의 후사를 잇는다’는 ‘위인후’의 종법적 규정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복제를 만들어가고자 했으며, 허맹도 대종의 후사로 들어갔더라도 소종에 후사가 끊어지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다시 본종으로 돌아와서 친부를 위해 참최 3년으로 추복(追服)해야 한다고 주장 함으로써 ‘소종’ 중심의 복제 관념을 보여주었다. ‘소종’ 중심의 복제 관념이 높아지면서 제례(制禮)의 기본정신에도 새로운 변화가 나타났다. ‘칭정(稱情)’의 정신과 ‘친(親)’의 논리이다. ‘친’ 중심의 복제관념은 친족 사이의 친애의 정 서를 통해 종족을 규합하려는 것을 보여준다. 후한 말 이래 대종의 ‘수족(收族)’ 기능은 거의 상실되었으며, 동진시대에는 중원회복의 꿈이 사라지고 생존을 위해 강남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토착화하려는 경향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종’은 추상적이고 막연한 존재이며, 혈연적으로 가까운 ‘소종’ 집단의 복원이 시급한 현실의 문제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현실 과 인식의 변화가 ‘위인후자’의 복제 담론에도 반영되어 나타났던 것이다. During the Xuan-di king of the Western Han Dynasty, ever since the argument between the Dai-sheng and Wenren-tonghan about the Weirenhou regulation of the YiLi(儀禮) 「Sangfu(喪服)」 cites to the East Han dynasty, the priority of the greater patriarchal system and the Patriarchal clan system principles continued throughout. However, when the Jin dynasty advent, there were words that if the smaller patriarchal system has no sons born of concubines, ‘the greater patriarchal system could be cut’ and in terms of the group composition of patriarchal clans, the importance of ‘the smaller patriarchal system’ has become emphasized and there were changes in the acknowledgement of the status of the greater patriarchal system-the smaller patriarchal system in the Han dynasty. Such changes in the acknowledgement was reflected into the duplication controversy of the ‘Weirenhouzhe’. Zhang-zhan(張湛) tried to make a new duplication without getting stuck in the regulation of Patriarchal clan system of ‘Weirenhou’ that says ‘sons born of concubines of the smaller patriarchal system if succeeded by the descendents of the greater patriarchal system’ and Xu-meng(許猛) also claimed that even if one becomes a descendent of a greater patriarchal system, when the descendent to the smaller patriarchal system is cut, one can come back to the main system and for their own father, it should be zhuifu to the zhancui(斬衰) year 3 and showed the concept of the duplication focused on the ‘smaller patriarchal system’. As the duplication concept focused on the ‘smaller patriarchal system’ became known, there were new changes in the basic spirit of making rituals. It is the spirit of ‘Chengqing(稱情)’and the theory of ‘Qin(親)’. The duplication concept of the ‘Qin’ focused shows that it wants to congregate the clans through the emotions of amicability among the clans. Since the end of the East Han dynasty, the Saouzu function of the greater patriarchal system was almost demolished. Especially, during the Dongjin era, the dream of reclaiming the Central Plains went away and trends of localizing in the southern China region to survive has risen. In such situation, ‘the greater patriarchal system’ is a abstract and obscure existence and it became a prompt reality to reclaim the clan of ‘the smaller patriarchal system’ that is close to its blood.

      • KCI등재
      • KCI등재

        운동능력향상을 위한 물리치료이론

        김용천,황성수,Kim, Yong-Chun,Hwang, Seong-Soo 대한물리치료과학회 1995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2 No.2

        This article reviews the concepts of motor ability and motor skill and the models, theories, and treatment approaches of motor contorl. Reflex, hierarchical, and systems models of motor control are discussed. And muscle reeducation, neurodevelopment, motor relearning program, and contemporary task-oriented approach is also discussed. We consider that the concept of motor control is being changed and the treatment approach also is being changed. There are a number of reasons, the first is traditional trteatment approach has limitation. Second is theories of motor control is contineously developed. Third is new approach is coming to us. therefore, the therapists shoulder strive for acquisition of motor skill and motor ability. This article hope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models and treatment approaches and its application in physical therapy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