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일-삶 균형에 미치는 영향요인 : 지역복지관 종사자 중심으로

        김요섭(Kim, Yoseb),여영훈(Yeo, Yeong-Hun) 한국여가문화학회 2021 여가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지역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일-삶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 가족 요인, 조직 요인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삶 균형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시점에서 상대적으로 이에 취약한 지역 현장 사회복지사의 일-삶 균형 정도를 파악하고, 개인과 가족, 조직의 특성이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지역복지관(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의 사회복지사이며, 전체 53개 기관 중, 설문에 참여한 42개 기관의 사회복지사 334명의 응답을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개인과 가족 요인을 1수준으로, 조직 요인을 2수준으로 산정한 다층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삶 균형 전체 변량의 20.8%가 지역복지관 별 차이로 인한 것으로 나타나 개인 및 가족 특성과 더불어 조직 환경이 지역복지관 사회복지사 일-삶 균형에 상당히 중요하게 작용함을 발견하였다. 둘째, 개인 요인 중에서는 나이, 성별, 건강상태, 경제상태, 가족 요인 중에서는 가족 역할 및 미취학 자녀 수가 일-삶 균형 결정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조직 요인은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 월평균 이용자 수와 더불어 관계지향문화가 지역복지관 사회복지사 일-삶 균형의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일-삶 균형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family, and organizational factors on the perception of work-life balance of social workers working at local welfare center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social workers of local welfare centers located in Jeollabuk-do, and among the total 53 institutions, 334 social workers responses from 42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the survey were used. The research method used a multilevel analysis that calculated individual and family factors as the first level and organizational factors as the second leve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20.8% of the total variance of work-life balance perception was due to differences by local welfare centers, and that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along with individu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work-life balance of social workers at local welfare centers. Second, among individual factors, age, sex, health status, and economic status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variables. Among family factors, family role and number of preschoolers, organizational factors were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work-life balance system, and monthly average users. The number was verified as a determinant of the work-life balance of social workers at local welfare centers. Based on these results, a suggestion to support the work-life balance of social workers at local welfare centers was discussed.

      • KCI등재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복지사의 일상생활 기능방해 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

        윤명숙 ( Myeong Sook Yoon ),김요섭 ( Yoseb Kim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지역과 세계 Vol.44 No.4

        본 연구는 코로나 19 재난상황에서 증가한 사회복지서비스를 공공·민간 영역에서 전달하는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한 일상생활 기능방해 정도와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 미치는 코로나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사회복지기관 4,240개소를 사회복지 영역별, 시설유형 별로 할당 표집하여 선정한 전체 50개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1,000명을 대상으로 2020.7.28.-8.30 기간 동안 온·오프라인 병행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응답한 932명의 자료를 SPSS 22.0 과 AMOS 22.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코로나 19에 따른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여가활동 기능, 가정생활 기능, 직업기능의 방해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코로나 스트레스 경험수준이 일반인의 3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의 우울 위험군이 19.0%로 일반 국민 우울 위험군과 비교하여 5배 이상 높게 나타났고, 특히 여성 사회복지사와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우울증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 19로 인한 일상생활 기능방해 정도는 우울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관계에서 코로나 스트레스는 부분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 재난 상황에서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경험하는 기능방해 및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우울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aily life dysfunction(social, occupational, family life) caused by the COVID-19 on depression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who deliver social welfare servic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VID-19 stress. The study subject were 932 social workers from 50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Jeollabuk-do and date were collected from July 28 to September 30, 2020.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workers under COVID-19 had a high degree of interference in social/leisure activities, family life functions and occupational functions, and the level of experience in corona stress was also high. Second, the risk group of depression among social workers was more than five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public and in particular, the risk of depression among female social workers and social 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were highe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daily life dysfunction caused by COVID-19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on and in this relationship , COVID-19 stres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practical and political suggestion to enhance mental health of social workers in the practice field under the COVID-19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