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교 현장에서의 인격교육 실태와 그것의 극복으로 가는 길

        김외솔 한국인격교육학회 2010 인격교육 Vol.4 No.1

        A serious problem with education in our schools is a kind of the chaotic use of educational terms. We often use the term "character education," but we do not know what it means correctly. In this study, we will define the word "Saramdaum(사람다움)" in the cultural context of Korea, clarify its origin, and suggest a changing its redefinition. Next, we will deconstruct the discourses on character education, which were imported from the United States mainly, and construct the discourse on Saramdaum in the cultural context of Korea. In addition, we will point out the problem of Saramdaum in schools. Currently, our schools are filled with various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but they are inessential. The programs allow students to praise other students, to write texts, to know more about themselves, to write a letter to someone, or to read books. However, these programs do not seem to improve the students' Saramdaum. We need to reconsider the direction of these Saramdaum programs and improve upon them. 인성이라는 용어에 대한 해석의 혼란스러움은 학교에서 교사들이 인성교육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그 결과로 교육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인성교육의 중요성에 동의하겠지만, 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인성교육을 실천할 방향을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교사들은 인성교육이란 용어가 정확히 어디에서 비롯되어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가를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논고는 연구자의 교직 경험을 반성하며 인성이라는 용어의 기원을 찾아보고, 우리의 문화와 학교 맥락에서 이 용어가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고에서는 인성이라는 용어를 인격이라는 용어로 전환을 시도해 보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복 이후 우리 교육계가 크게 의존해온 미국 사회를 배경으로 도출된 인성교육 담론을 고찰해 보고, 우리 문화 맥락에 맞는 인격 담론을 시론적으로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논의의 근거로서, 우리의 학교교육에서 인성교육이 얼마나 부실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 얼마나 왜곡되어 있는가를 학교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통해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본 논고에서는 우리의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실천할 수 있는 인격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 KCI등재후보

        교사 교육과정 운영의 현상학과 그 파르마콘

        서명석,김외솔,박상현 한국인격교육학회 2011 인격교육 Vol.5 No.1

        세상의 모든 것은 약성과 독성을 동시에 지닌 파르마콘이다. 국가 주도의 교육과정 역시 약성과 독성을 동시에 갖는다. 국가 주도의 교육과정은 신뢰성과 효율성이라는 장점이 있다. 국가의 검증 시스템을 거친 교육과정은 교사와 학생 모두 교육과정의 전달과 수용과정에서 실패 확률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교육과정의 구성과 감독이 용이하여 국가에서 정한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데 능률적이다. 그러나 신뢰는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맹신으로 미끄러진다. 그리고 효율은 교사와 학생을 획일화하고, 동일화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는 교사 교육과정에도 그대로 영향을 미친다. 결국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학교교육의 최전선에 있는 교사 교육과정까지 숨어 들어와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을 거중조정하고 있는 것이다. 국가에서 재단하고, 배달한 교육과정은 교사를 무기력하고, 수동적으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끊임없이 위협한다. 그러나 교사의 본질은 늘 고민과 회의를 통해 가르치는 존재이다. 그리고 상황과 맥락에 따라 변화하고 개혁하려는 능동적․확장적 존재이다. 이에 우리는 현재까지 인식하고 있는 교육과정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버리고, 새로운 사고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단일의 궁극 현실과 이별하여 다원주의로 나가야 하고, 근대의 중앙집권적 구조에서 벗어나야 한다. 즉 교사는 국가 주도의 교육과정의 거대담론을 예의주시하며 재구축 내지 탈구축을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The national curriculum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he national curriculum has positive aspects, concerning reliability and efficiency. As it is authorized by the nation, using the national curriculum reduces the possibility of failure in the course of education. The national curriculum is efficient when achieving goals set by the nation, since it is relatively easy to develop the national curriculum and control its implementation. However, because its reliability, teachers come to have blind faith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in the course of pursuing the efficiency, teachers and students are not regarded as unique individuals but as uniform ones. The national curriculum have an affect on teacher-training courses, which leads teachers to be affect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when implementing curriculum.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are designed and delivered by the nation can make teachers passive. It also prevents teachers from improving their professional ability. Today’s perceptions of the national curriculum need to be taken away. As a conclusion, teachers will need to take a critical view o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o reconstruct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