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계배의 대뇌의 발생에 미치는 Malathion의 영향

        김완종,등용건,최임순 한국통합생물학회 1988 동물학회지 Vol.31 No.3

        계배 대뇌의 발생에 미치는 malathion의 영향을 형태,세포화학으로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수정란 부란 2일, 4일 및 6일째에 0.1mg의 malathion을 단독으로 처리하거나,NAM 5.0mg을 복합처리하여 부란 9일째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malathion은 대뇌피질내 신경세포들의 분화를 억제하여, 처리군의 핵의 불규칙상,핵막이중층의 분리, 리보솜의 분포감소, 혹은 소포체 팽창에 의한 액포형성과 같은 미세구조상의 특징이 나타났다. 2.신경세포내에서 AchE 활성은 핵막과 소포체에서 주로 나타나고, malathion에 의하여 이 효소의 활성은 크게 억제되었으며, 이러한 효소활성 억제현상은 정량분석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3.대뇌의 LDH 활성은 malathion에 의하여 오히려 증가되었다. 4.malathion은 계배 NAD를 크게 감소 시켰고, NAM복합처리에 의하여 NAD함량과 형태적 변화가 회복되었고, 대뇌의 Ach 및 LDH 활성 변화를 다소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유기적 화합물의 하나인 malathion은 분화중인 계배 대뇌의 신경세포들의 미세구조를 변화시키고, 대뇌의 LDH활성은 증가시켰으나 AChE 활성을 크게 억제하였으며, 계배의 NAD 함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NAD 함량의 감소와 형태적인 변화사이에는 다소간의 연관성이 나타났고, malathion의 저해작용은 처리량과 처리시기에 의존한는 것으로 나타났다. Chick embryos which have received a single injection of the organophosphate compound,malathion (0.1 mg, 0.5 mg, 1.0 mg or 2.0 mg in 0.05 ml of corn oil) via the yolk sac at certain times (2 daya, 4 days or 6 days after incubation) have been investigated. After 9 days of incubation, chick embryos were harves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lathion on the development of cerebrum morphologically and biochemically. The effects of simultaneous injection of malathion and nicotinamide were also compared. On ultrastructural examination, neurons in cerebral cortex showed to be inhibited in their differentiation by malathion; nuclear irregularity, swelling of endoplasmic reticulum, and cytoplasmic vacuoles were observed. On cytochemical study of acetylcholinesterase(AChE) by electron microscope, the positive reaction products of this enryme were localized at the membrane of nucleus and endoplasmic reticulum of neurons. Inhibition of AChE activty was severe in groups treated with relatively low doses,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spectrophotometric analysis. The activity of lactate dehydrogenase(LDH) of cerebrum in groups treated with malath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NAD) content of chick embruo treated with malathioti decreased significantly, and nicotinamide coinjection raised the NAD level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us preventing malathion-induced momhological alteration.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malathion changes the ultrastructure of differentiating neurons and alters some enzyme activities in chick embryo cerebrum, and the severity of which is consistently dose-or age-dependent.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흰쥐 정소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Di-(2-ethylhexyl) phthalate (DEHP)의 영향

        김완종,길영천,신길상,Kim, Wan-Jong,Kil, Young-Chun,Shin, Kil-Sang 한국현미경학회 1999 Applied microscopy Vol.29 No.3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is a plasticize. known as one of endocrine disruptor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prepubertal rat testi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DEHP in dosages of 1 g/kg, 3 g/kg or 5g/kg in 0.5 ml of corn oil daily for a week. This study revealed the DEHP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seminiferous tubules and induced structural changes on various cell types of the rat testis. Leydig cells, Sertoli cells and the developing germ cells seemed to be impaired their differentiations in terms of the structural changes of cell organelles. The increase of heterochromatin in amount were common features in all 3 cell types. In addition, the Leydig cells were characterized by the increases in number and size of lysosomes and the scantiness of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The Sertoli cells became irregular in nuclear envelope and the cytoplasm decreased, but the number of lysosomes and vacuoles seemed to be increased. There were some indications of necrosis of the germ cells, such as vacuolized nucleus and segregated nucleolus. These detrimental effects of DEHP on the rat testis were dose dependent and suppressed spermatogenesis decreasing developing germ cells in number and appearances. The effect of DEHP on ultrastructure of rat testis, as its known physiological functions, seems come from the decreased level of testosterone by Leydig cells, followed by the abnomalities of Sertoli cells and the germ cells. 플라스틱 제품의 가소제로 널리 사용되며, 내분비 교란물질로도 알려져 있는 di-(2-ethylhexyl) phthalate (DEHP)를 사춘기 이전 흰쥐에 1주일 동안 구강 투여 (1g/kg, 3g/kg, 5g/kg)한 후 분화중인 정소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DEHP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정관 직경이 매우 작았으며, Leydig 세포, Sertoli 세포 및 분화중인 생식세포들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실험군에서 세정관 사이에 존재하여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하는 Leydig세포는 이질염색질이 증가하고, 세포질내에서 활면소포체의 발달이 미흡하였으며, 리소솜과 지방적이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세정관 내에서 Sertoli 세포는 세포질의 크기가 감소하고, 핵막이 불규칙해지거나, 염색질이 응축되어 있는 모습이 나타나며, 세포질내에서 리소솜과 액포들이 증가하였다. 실험군 흰쥐 정소내에서 분화중인 생식세포들의 핵은 이질염색질이 증가하거나, 응축되어 있고, 인의 분리현상이 관찰되기도 하며, 심한 경우 핵내에 공포가 형성되어 있거나, 괴사과정에 있는 생식세포들도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정소 미세 구조의 변화는 DEHP 투여량의 농도에 의존성을 보이며, 이 화합물은 Leydig 세포의 테스토스테론 합성 기능을 방해하고, 이어서 Sertoli 세포의 구조와 기능이 손상되어 정자형성과정 중인 생식세포들의 증식과 분화가 억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에러 피드백 기술을 이용한 피드 포워드 선형 전력 증폭기

        김완종,조경준,김종헌,김남영,이종철,이병제 한국전자파학회 2000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1 No.8

        본 논문에서는 기지국용 전력 증폭기의 혼 변조 성분들을 극도로 억압하기 위해서 Error feedback 방식을 사용한 Feedforward 선형 전력 증폭기를 설계하였다. 특히, 제안된 선형 전력 증폭기는 기존의 피드백 기술의 단점인 증폭 이득의 손실을 없앤 Error feedback 기술과 Feedforward 기술을 혼합하여 적용하였다. 제안된 선형 전력 증폭기는 HP사의 EEsof ADS ver.1.3을 사용해서 설계.제작하였다. 측정결과, 이득 28 ㏈, P1㏈ 31 ㏈m인 주 전력 증폭기에 -7 ㏈m/tone을 갖는 1850 MHz와 1851.25 MHz의 2-tone 신호를 인가한 결과 전체 IMD가 약 35 ㏈ 개선되었다. This paper presents a feedforward linear power amplifier (LPA) using error feedback technique to achieve low intermodulation distortions(IMD) of power amplifiers for base stations. Especially, the proposed linear power amplifier is applied to feedforward technique combined with error feedback technique, which has no loss of amplifier gain unlike typical feedback technique. The proposed LPA is designed by using HP ADS ver. 1.3, fabricated. When two-tone signals at 1850 MHz and 1851.25 MHz with -7 dBm/tone from synthesizers are injected into the main power amplifier with gain of 28 dB and P1dB of 1W, the proposed LPA could reduce more than 35 d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