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완일 한국상담심리학회 200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5 No.4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 of the following hypotheses: The higher the differentiation within dimension is, the higher the degree of experiencing depression is. The higher the differentiation across dimension is, the lower the degree of experiencing depression is. The hypothesi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f a person's differentiation within dimension is high, he or she tends to perceive themselves with a dimension of evaluative meaning; if a person's differentiation across dimension is high, he or she tends to perceive themselves with a dimension of descriptive meaning. A new questionnaire entitled “Beck Depression Inventory”, “Self Differentiation Scale”, “Meaning Dimension Scale”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evaluative meaning and descriptive meaning to the hypothesis that if a person's differentiation within dimension is high, he or she tends to perceive themselves with a dimension of evaluative meaning; if a person's differentiation across dimension is high, he or she tends to perceive themselves with a dimension of descriptive meaning. This hypothesis was partially confirmed. As a result, a person with higher differentiation across dimension tended to perceive himself/herself with a dimension of descriptive meaning. However, a person with higher differentiation within dimension tended to perceive himself/herself with a dimension of evaluative meaning.. These results have many implications not only for further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depression but also for practical utilities, e. g. counselling psychology.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김완일, 1997)를 통해 기존의 자기분화(Scott의 자기분화) 개념에서 차원내 분화와 차원간 분화의 개념을 분리해냈으며, 후속연구(김완일, 김재환, 2000)에서는 차원내 분화가 높을수록 우울을 많이 느끼고 차원간 분화가 높을수록 우울을 적게 느끼는 것을 밝힌바 있다. 그러나 김완일과 김재환(2000)의 연구에서는 차원내 분화가 높을수록 우울을 많이 느끼고 차원간 분화가 높을수록 우울을 적게 느끼는 원인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태도연구(이수원, 1994)에서 논의되고 있는 두 가지 의미차원(평가적 의미와 서술적 의미)은 자기개념과 우울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시사를 해준다. 단순하게 분화의 두 가지 차원만을 가지고 자기개념과 우울을 설명하는 경우, 차원내 분화가 높은 사람은 우울을 많이 경험하고 차원간 분화가 높은 사람은 우울을 적게 경험하는 원인을 설명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의미차원인 평가적 의미차원과 서술적 의미차원의 개념을 도입하여 차원내 분화가 높은 사람이 우울을 많이 느끼며 차원간 분화가 높은 사람이 우울을 적게 느끼는 원인을 알아본 결과, 차원내 분화가 높은 사람은 자신을 평가적 의미차원에서 지각하기 때문에 우울을 많이 느끼나, 차원간 분화가 높은 사람은 자신을 서술적 의미차원에서 지각하기 때문에 우울을 적게 느끼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차원내 분화가 낮은 사람은 자신을 서술적 의미차원에서 지각하기 때문에 우울을 적게 느낀다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분화의 두 차원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보이는 결과에 대한 원인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결과는 우울한 경향이 있는 내담자를 상담하는 과정에서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을 서술적 의미차원에서 지각하도록 하는 상담전략이 포함되어야 할 것을 시사한다.
김완일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2
군상담의 중요성이 군내외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군상담 모형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상담의 특징, 군상담의 현실 및 새로운 상담 패러다임을 고려하여 군상담 모형 탐색 시 원칙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는 이러한 원칙에 입각하여 군상담의 기본 개념을 정립하였다. 셋째는 군상담 이원화 모형 즉, ‘군 간부 상담모형’과 ‘전문가 상담모형’을 내용 및 제도·법·윤리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내용측면에서는 군 간부 상담모형에서 상담자는 준전문가인 군 간부이고, 내담자는 부하 장병이며, 상담목표는 업무수행 능력의 향상 및 미래를 위한 준비다. 전문가 상담모형에서 상담자는 군상담전문가이고, 상담대상은 장병과 그 가족 및 군 조직 전체이며, 상담목표는 부적응 행동의 치료·사고 예방·잠재력 개발·병영문화 개선 등이다. 제도·법·윤리 측면에서는 군상담자의 임무, 자격 규정, 처우 등에 대한 법제화뿐만 아니라 군의 문화와 제도에 맞게 군상담자들의 권리와 의무 등에 대한 윤리규정을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군상담 모형 개발을 위하여 체계적으로 접근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하나의 시발점일 뿐이며, 추후에 군상담 모형에 대한 군상담전문가들의 논의가 요청된다. The need to develop a military counseling model has been raised.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examines the basic principles of military counseling. The second section establishes a foundational concept of military counseling based on the aforementioned principles. The third section looks into the dual military counseling model: the 'military officers’ model', and 'expert counseling model'. The military officers’ model consists of the counselors - military officers who are semi - experts, and clients – their subordinates. The expert counseling model consists of military experts, the clients can be anyone from a soldier or his/her family to the entire armed force. This study derives significance from the fact that it is an attempt to structurally approach the development of a military counseling model.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 자기개념 구획화의 조절효과
김완일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2
Linville(1985) insisted on “Stress Buffering Hypothesis of Self-complexity.” The succeeding studies, however, have not supported Linville's hypothesis consistently. In this study, self-compartmentalization is accounted of a variable which moderates the relation between self-complex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total of 158 undergraduat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Gangwon-do, South Korea participated the study and completed a packet of questionaries including self-complexity, self-compartmentalization,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study. Even if self-complexity is high but self-compartmentalization is hig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s negatively affected. However, if self-compartmentalization is low,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s positively affected. That is, the self-complexity is verified to be positive psychological source with the support of self-compartmentaliza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Linville(1985)은 자기개념 복잡성의 스트레스 완충가설에서 자기개념이 다양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우울을 적게 경험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후속되는 연구들에서 이러한 가설이 일관성 있게 지지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건강을 우울과 지각된 스트레스로 측정하였으며,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간의 관계를 자기개념 구획화가 조절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158명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복잡성, 자기개념 구획화, 우울척도 및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개념 복잡성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자기개념 구획화가 높고 낮으냐에 따라 심리적 건강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기개념 복잡성이 높으면서 자기개념 구획화가 높은 경우 가장 심리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의 심리적 건강을 돕기 위해서는 자기개념 복잡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자기개념 구획화를 낮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대학생의 자기 긍정감, 자기 복잡성 및 우울 성향과의 관계
김완일,김재환 漢陽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92 大學生活硏究 Vol.1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elf-concepts(self-positivity and self-complexity) influence depression. Beck Depression Inventory, Self-positivity Scale, and Self-complexity Scale were administered to 372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low group in self-positivity was more depressive than the high group in self-complexity was more depressive than the low group. Also, the neutral group in self-positivity was different in depression from self-complexity, but the high group in self-positivity was not different in depression from self-complexity. Finally, positive self-positivity and negative self-complex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김완일,류진혜,정미영,김재환 漢陽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94 大學生活硏究 Vol.1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campus life adjustment, the causes of maladjustment and the level of mental health of Hanyang University Student(HUS). Campus Life Adjustment Questionnair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Ego Identity Scale were administered to 1755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general adjustment degree of HUS was a average level. HUS baa high adjustment level in Major and Relation to junior-senior but low in Job and Relation to Professor. Hanyang Campus was higher in campus life adjustment than Ansan Campus. Senior was higher than sophomores. Male was higher than female. 2. It was revealed that Uncertain of Future Object in Career and Jobs and the lack of personal meeting in Relation to Professor were major maladjustment 3. Adjustment level, Ego identity and Ego strength were higher in abnormal group than normal group of MMPI profil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ome advices could be given.
자기태도 차원구조와 자기통제감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완일 한국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7 No.2
Linville(1985) had suggested to have various non-redundant self-aspect for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the model of self-complexity. For helping recovery from various psychological symptoms through structure of self-concept or changes of methods organization, we have to know cognitive mechanism operating at its bottom. However, this model fails to explain about the mechanism. On one hand, in researches on the field of attitude, Lee, Soo-Won and Shin, Hyun-Sook (1986) had revealed that evaluative dimension and descriptive dimension exist according to differentiation level and had said that qualitative difference of these attitude structures is cognitive mechanism conciliating vulnerability of stress accidents.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whether self-control adjusts or not self-attitude dimension structur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y applying models of McConnell et. al (2005) who had insisted to consider self-control as mediate variables adjusting complex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result, while for people who's self-attitude dimension structure is evaluation dimension, self-control did not adjust psychological well-being, people of description dimension, self-control could adjust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implies that people of description dimension, who have dual structure, can help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when they recognize highly the possibility of control against their self-aspects. Linville(1985)은 자기복잡성 모델을 통해 심리적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서로 중첩되지 않은 자기측면을 다양하게 갖도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 자기개념의 구조나 조직화 방식의 변화를 통해 심리적 증상들로부터 회복을 돕기 위해서는 그 기저에서 작용하는 인지적 메커니즘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은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태도 연구 분야에서 이수원과 신현숙(1986)은 태도의 분화수준에 따라 평가차원과 서술차원이 존재함을 밝혔으며, 이러한 태도구조의 질적 차이가 스트레스 사건의 취약성을 중재하는 인지적 메커니즘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복잡성과 심리적 건강을 조절하는 변인으로 자기통제감을 고려해야한다고 주장한 McConnell 등(2005)의 모델을 적용하여 자기통제감이 자기태도 차원구조와 심리적 건강을 조절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기태도 차원구조가 평가차원인 사람의 경우는 자기통제감이 심리적 건강을 조절하지 못한 반면 서술차원인 사람은 자기통제감이 심리적 건강을 조절하였다. 이는 자신에 대해 이원구조를 가지고 있는 서술차원의 사람들이 자기측면에 대한 통제가능성을 높게 지각할 때 심리적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가업승계의 지원과 자본이득과세제도 도입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김완일 한국세무학회 2010 세무와 회계저널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support the current associated with family business succession issues and look at the level of support for the plan will be presented. To achieve this, the heavy taxation on gift tax and inheritance tax due to the failure of the family business while simultaneously improving the factors that can keep the tax fairness plan was reviewed. A major improvement on the current family business succession plan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ile the subjects of the support of family business succession are long-term business requirements, it is very poor in case for the target to be actually applied to. So, the alleviation of conditions are required. Second, the long-term maintenance requirements for the family business during a certain period of served as CEO of the family business activities do not have time for a period of more than 80/100 while serving as CEO if you inherit a family business will need to be able to deduct Third, support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rather than support for the heirs of the maintenance and expansion work is expected to support inheritance, so successors was initiated more than 80% of regular employment are required to be maintained. Fourth, Currently family business inheritance deduction is more than 10 years who have a small business to family business inheritance amount for the amount corresponding to 40% of the maximum support is up to ₩10,000,000,000 This, as well as the tax on capital gains tax is also to give too much support. Support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and fair taxation obligations to maintain the family business with a period of tax deferred taxation and the family business during the grace period, if you adhere to one tax exemption, but to sell the family business for the mountain property when the income realization ancestor of the necessary expenses of the successors to the value obtained by deducting the capital gain is realized by calculating the capital gain shall be taxed in carried over. I have confidenc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moval of tax barriers in family business succession and to the smooth support for succession of the management rights of family business by taking the method that taxes, when the capital gains are realized, as capital gains tax. And also it is expected that from a fair taxation of view the present tax system will be improved.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가업승계의 지원과 관련된 적용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하여 개선된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속․증여세의 과세로 인한 가업상속의 장애요인을 제거하면서 동시에 조세공평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현행 가업승계에 대한 주요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업승계의 지원요건 중에 장기간 사업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서 실제로 적용된 사례는 극히 저조하였으므로 조건의 완화가 필요하다. 둘째, 장기간 가업 유지 요건 중에 일부의 기간 동안에는 대표이사로 재직하지 아니하였더라도 최근의 가업영위기간에 대하여 100분의 80% 이상의 기간 동안 대표이사로 재직한 경우에는 가업상속공제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가업승계에 대한 지원은 상속인에 대한 지원이라기보다는 일자리의 유지와 확대를 기대하고 지원하는 것이므로 승계자는 상속개시당시 고용인원의 80% 이상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넷째, 현행 가업상속공제는 피상속인이 10년 이상 영위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가업상속가액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하여 최대 100억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이것은 상속세뿐만 아니라 자본이득에 대한 과세도 포기하고 있어 과세의 공평성 측면에서 지나친 지원이다. 가업승계를 지원하고 공평과세를 위해서는 가업유지의무와 함께 일정 기간 동안 상속세를 과세를 유예하고, 그 유예기간 동안 가업을 충실히 영위한 경우에는 상속세를 면제하되, 가업상속재산을 처분하여 소득이 실현되었을 때 피상속인의 취득가액을 승계자의 필요경비로 공제하여 자본이득이 실현될 때 이월과세를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가업에 대한 경영권의 승계를 원활하게 지원을 하고, 추후 자본이득이 실현되었을 때 자본이득세로 과세함으로써 지금의 지원제도보다는 전향적인 지원제도가 될 것이고, 조세의 공평과세측면에서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업승계에 대한 조세지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한국․일본․독일제도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완일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2 세무와 회계 연구 Vol.1 No.1
Comprehensive system on gift tax was introduced to block the transfer of properties without adequate taxation and to consolidate the purpose of legislation on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On the other hand, the way of supporting the smooth succession can be divided into two classes, i. e. inheritance after death and gift while one lives. In relation with the family business succession, there are several means of supporting the donation while one lives, such as applying special rates to the donation of stocks which satisfy the required conditions, cutting inheritance tax by deduction system and increasing the term for paying tax, etc. In spite of these supports, business managers want more benefits, but some NGOs and the press are critical about them on the grounds that tax cut systems could bring on descent of wealth. This paper analyzes the family succession tax rules of Japan and Germany which are similar to Korea, and suggests some remedie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hoose between the appraised value at the time of donation and inheritance as donated properties' value added at the time of the commencement of inheritance. Second, the long term enterprise-centered system which requires further examination. Third,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employment measures in both sides of maintenance and expansion. Fourth, some complementary measures on the relaxing restrictions of one successor and the system of a legal portion of an heir should be taken as soos as possible. Fifth,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unification of the deduction method in family business and agricultural business. I have confidence tha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permanence of business and the expansion of employment by taking some rational improvements on tax system about the inheritance after death and gift while one lives in the case of family business succession. 정부에서는 적정한 세금부담 없는 재산의 무상이전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속․증여세에 대한 입법 목적을 강화하기 위하여 증여세포괄과세제도를 도입하였고, 다른 한편으로 가업용 재산의 원활한 승계를 지원하기 위하여 사전상속과 사후상속으로 구분하여 지원하고 있다. 가업승계에 대한 사전상속의 지원방법으로는 일정한 요건에 해당되는 기업의 주식 증여에 대해 특례세율에 의하여 지원하고 있고, 사후상속의 지원방법으로는 가업상속공제제도를 통하여 상속세를 감면하는 지원을 하고 있으며, 상속세의 원활한 납부를 지원하기 위하여 납부기한을 연장하는 등의 방법으로 가업승계를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지원에도 사업자들은 가업승계에 대한 지원방안의 확대를 기대하고 있고, 일부 시민단체와 언론에서는 부의 세습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라고 비난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가업승계제도와 유사한 일본과 독일의 제도를 중심으로 비교 연구한바,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상속개시시점에 가산하는 증여재산가액을 증여 당시의 평가액과 상속개시 당시의 평가액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는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장기사업자 위주의 가업승계지원제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고용의 유지와 확대에 대한 합리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승계자 1인 제한의 완화와 유류분청구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 다섯째, 가업상속공제와 영농상속공제를 통합하여 지원하는 방안의 재검토가 필요하다.이와 같이 가업승계에 사전상속 또는 사후상속에 대한 조세 지원을 합리적으로 개선함으로써 기업의 영속성을 유지하고 고용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완일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3
자기개념 구조와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는 크게 자기개념의 분화와 통합의 두 가지 관점에서 연구되고 있다. 자기개념이 분화될수록 심리적으로 건강하다는 연구들이 있는 반면에 자기개념이 통합될수록 심리적으로 건강하다는 연구들이 있다. 최근에는 자기개념의 분화와 통합 차원을 함께 고려하여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를 밝히려는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개념의 분화 정도를 자기복잡성(Linville, 1985)과 자기구획화(Showers, 1992)로 측정하였으며, 자기개념의 통합의 정도를 자기명료성(Campbell, 1990)과 자기일치성(Donahue et al., 1993)으로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네 가지의 자기개념 분화와 통합 요인들이 서로 어떤 관계가 있으며,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개념 분화와 통합 요인들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개념 분화와 자기개념 통합은 독립된 별개의 요인이었으며, 자기개념 분화 보다 자기개념 통합이 심리적 건강과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자기복잡성과 자기명료성의 우울과 스트레스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뿐만 아니라 자기복잡성과 자기일치성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개념의 분화는 자기개념의 통합이 병행될 때 심리적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Research on the between the structure of the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s produced seemingly inconsistent finding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measures of self-concept structure and their relations with adjustment.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measures of self-differentiation were unrelated to one another, were unrelated to measures of self-integration. The measures of self-integration were related to one another and were related to the measures of adjustment. Even if self-differentiation is high but self-integration is not hig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s negatively affected. However, if self-integration is hig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s positively affected. That is, the self-differentiation is verified to be positive psychological source with the support of integ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