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랜스모더니즘으로서의 白石 文學

        김예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4

        Modernist research is moving toward building a global perspective, as opposed to the traditional Europe-centered perspective. This trend suggests a new viewpoint especially suited to examining Baek Seok’s literary works. The conflicting order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has been dismantled in his poems; therefore, it is not easy to grasp the uniqueness of his poems in a modern world recognition system reorganized around Europe. In his poetry, traditional elements, such as dialects, are expressed through modernity and this distinction constitutes modernism in his works. In Seok’s poetry, therefore, traditionality is not opposed to modernity, but is a device that creates its own modernity. His tradition is a tradition of trans-modernism that does not emerge from a past-oriented attitude, but rather emerges in relation to modernity. His poems are the result of his struggle across the time of history and the space of the world. 김예리, 2022, 트랜스모더니즘으로서의 백석 문학, 어문연구, 196 : 283~317 최근의 모더니즘 연구의 방향은 유럽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표명하며 일방적인 전파와 수용의 관점에서 벗어나 전지구적 네크워크를 구성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모더니즘 연구의 방향은 특히 백석 문학의 의미를 살피는 데 있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준다. 백석 문학에서는 전통과 현대라는 대립적 질서 구도가 해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근대에 들어 서구 유럽을 중심으로 재편된 세계 인식 구도로는 백석 문학의 특수함과 고유함이 쉽사리 포착되지 않게 된다. 단순화시켜 말하자면, 백석 연구사에서 백석 문학은 ‘내용으로서의 전통성’과 이러한 내용의 ‘표현 기법과 형식으로서의 모더니즘’이라는 구도 속에서 내용과 형식이 분리된 채 백석 문학의 특수함이 해명되어 왔다. 그러나 백석의 시에서 방언이나 전통적 요소는 모더니티를 통해 발현되며, 이러한 고유성은 다시금 백석 문학의 모더니즘을 구성한다. 그래서 백석 문학에서 전통성은 모더니티에 대립된다거나 근대의 세계에 진입하지 못하고 지워진 과거의 기억, 혹은 삭제된 민족성을 상징하는 기제가 아니라 백석 특유의 모더니티를 발견하게 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백석 문학의 전통성은 과거지향성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모더니티와의 관련 속에서 출현하는 트랜스모더니즘으로서의 전통이며, 그래서 그의 모더니즘에는 아주 두터운 역사적 감각이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백석 문학은 역사의 시간과 세계의 공간을 횡단하고 있는 한 시인의 고투의 결과물이며, 그의 문학에 담겨 있는 그 모든 이질적인 것들은 시간과 공간을 횡단하며 생산된 백석이라는 고유명이 지시하고 있는 모든 것이라 하겠다.

      • KCI우수등재

        서울 저층주거지의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위한 자연발생 노인 커뮤니티(NORC) 및 서비스지원프로그램(NORC-SSP) 도입 가능성 기초연구 - 망원 1, 2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예리,박소현 대한건축학회 202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40 No.1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노인 커뮤니티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들은 다른 곳으로 이사하는 것에 대한 심리적,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그동안 살아온 커뮤니티에 계속 거주하고자 하는 명확한 경향을 보인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계획하진 않았으나 노인들이 밀집하여 살게 된 지역을 자연발생 노인 커뮤니티(NORC)로 지정하고 공공에서 지원하고 있다. NORC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운영, 유지하고, 노인을 위한 주거지역으로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NORC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커뮤니티에 맞는 적절한 NORC 지원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해, NORC 지원 프로그램은 커뮤니티의 활성화 정도와 커뮤니티 거주 노인들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고안되어야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자연발생 노인 커뮤니티의 우리나라 적용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한다. 특히, NORC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Vertical NORC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서울의 오래된 저층주거지 중 하나인 망원동을 대상지로 하여, NORC의 우리나라 저층주거지 적용가능성을 분석했다. 망원동은 저층주거지와 나홀로 아파트 혹은 소규모 아파트단지가 혼재한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연구 대상지이다. 분석 결과, 망원동 내의 Vertical 과 Horizontal NORC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모두 현재 거주지에 대한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지, 보행을 통해 살펴본 활동적 고령화, 커뮤니티 활성화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며, 서울의 저층주거지의 NORC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저층주거지의 노후화된 환경으로 인해, 현재 거주 주택에 대한 노인들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노후 주택에 대한 환경적 개선이 필요하며 또한, 노인들의 독립적, 활동적 삶을 고려하였을 때 노인의 주거지로서 비계획된 저층주거지가 갖는 단점을 NORC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보완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가 망원동을 대상으로 얻은 결과는 노인들이 점높은 밀도로 거주하고 있는 서울의 다른 저층주거지의 NORC 적용 가능성에도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s the aging population increases, numerous studies on South Korea's elderly community have emerged. The elderly tend to stay in theirfamiliar communities due to the emotional and economic challenges associated with moving. Similar models, like Naturally OccurringRetirement Communities (NORC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support high-density areas where the elderly naturally reside. Toeffectively sustain NORCs and address their shortcomings, it's crucial to implement suitable NORC Supportive Service Programs(NORC-SSPs). Customized NORC-SSP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community vitality and senior residents' characteristics. This studyexplores the applicability of NORC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focusing on Mangwon-dong, an old low-rise residential area in Seoul. Theresearch considers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NORCs, revealing positive outcomes for Aging in Place, active aging through walkingactivities, and community vitality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However, low satisfaction with housing conditions in Horizontal NORCsemphasizes the need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s and NORC-SSP supplementation. The findings from Mangwon-dong could extend toexploring NORCs in other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Seoul, addressing the growing concentra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 KCI등재

        강원지역 어문학, 문화연구와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방안

        김예리,정주아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문화 Vol.- No.36

        This study introduces the overall content of the Research on Language and Culutre of Gangwon Province Archives Building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lected for the BK21+ Phase 4 project and aims to share and spread the project socially. The recent studies of language and culture in Gangwon Province has been mainly focused on revealing the specificity of the region and the value of the region. However, like the recent trend of regional studies, Gangwon-do research also needs to break away from the closed view of Gangwon-do as a self-sufficient research unit and approach Gangwon-do as an open system connected to various external worlds.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region needs t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rans-border thinking beyond modern nationalism, and academic re-recognition is called for. The project aims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archives about language and culture research in Gangwon Province and to develop professional manpower to lay the foundation for new regional research. In terms of reconstructing the methodological perspective and methods of education of local linguistic and cultural research, this project could contribute to building a foundation for talent development and research in Gangwon Province. 이 글은 BK21+ 4단계 사업에 선정된 <강원 지역 어문학, 문화 연구와 아카이브 구축 인재 양성 사업>의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서 사업의 사회적 공유와 확산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최근 강원도의 언어, 문학, 문화에 대한 연구는 주로 지역의 특수성과 지역의 가치를 밝히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최근의 지역학 흐름처럼, 강원도 연구 역시 자족적 연구단위로서의 폐쇄적 시각에서 벗어나 다양한 외부세계와 연결되는 개방적 체계로 강원도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즉, 지역의 개념은 근대적 국가주의를 넘어 국경을 초월한 사고의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학문적 재인식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사업팀은 강원지역의 어문학 및 문화연구 아카이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새로운 지역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전문 연구 인력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지역 어문학 문화연구의 방법론적 시각과 교육방법을 재편하는 차원에서 이번 사업이 강원도의 인재육성과 연구기반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The Depressive Symptoms and the Alcohol Drinking Behaviors: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in Korea

        김예리,이소영,Karen Rascati,조은 한국보건의료기술평가학회 2022 보건의료기술평가 Vol.10 No.1

        Objectives: Our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anges in alcohol use behavior on depression symptoms and identified vulnerable subgroups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in South Korea.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n Aging (KLoSA) from 2006 to 2016. Subjects without depression symptoms were selected who scored <4 on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since the inception of KLoSA in 2006. Alcohol use was assessed by the problem drinking screening questionnaire, consisting of five questions, with scores categorized as non-problem drinking (0 or 1) or problem drinking (≥2). Changes in individuals’ alcohol use were estimated based on the reports of two subsequent surveys. A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 model was developed, adjusted for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health-related factors as potential confounders. The multiple imputation-GEE method was utilized to account for missing data which were not at random. Results: A total of 2,905 individual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Depression symptoms significantly worsened when alcohol use remained as problem drinking (β=1.270, p<0.001) and when it deteriorated from non-problem to problem drinking (β=0.494, p=0.001). Positive change from problem drinking to non-problem drinking also worsened depression symptoms (β=0.278, p=0.024). Low education level, being single, unemployment, no regular exercise, current smoker, poor self-rated health (SRH), cognitive impairment, and hypertension were other significant risk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The sustained problem drinking and worsening change in alcohol use significantly exacerbated the depression in both poor and good SRH. Conclusions: Changes in alcohol use are strong risk factors of depression for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 Efforts are required to identify such changes in individuals and to promote healthy drinking behavior in the context of primary care or regular health check-ups to protect the mental health of these popul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Reconfiguring Bodies, Maps, and Geography in Catherynne M. Valente’s Palimpsest

        김예리 한국비평이론학회 2017 비평과이론 Vol.22 No.3

        This article analyzes Catherynne M. Valente’s fantasy novel Palimpsest as a literary example of the rhizomatic mapping conceptualized by Deleuze and Guattari in A Thousand Plateaus. While fantasy literature has been long criticized for being formulaic and conformist, the quality which extends to and often is reinforced by its use of maps, there have been works that subvert and challenge the hegemonic perceptions of the world. Many of them, including Palimpsest, utilizes the radically imagined fictional world and characters that are prerogative of the genre. Utilizing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s of the map and the becoming and Elizabeth Grosz’s theory of body-city, this article examines how Valente uses cartographical and geographical imaginations to envision an altern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space. It argues that, by subversive reimagining of the map and the landscape, Valente creates an imaginary world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and between the body and the environment are blurred and thereby challenges the conventions of the hegemonic geographic imagination as well as those of fantasy literature.

      • KCI등재

        자극-반응 부합성과 전역/국소 처리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연구

        김예리,이재식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17 No.2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global/local-processing and stimulus-response compatibilities, the present study systematically manipulated the compound letters in terms of stimulus-stimulus congruity, the response levels(global vs. local), and the conceptual(Experiment 1) or spatial(Experiment 2) stimuli-response compati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1) In general, the performances of the subjects were better when they were provided compatible(both of conceptual and spatial), global, and congruent stimuli than incompatible, local, and incongruent stimuli. (2) When the stimuli were incongruent, the subjects' performances were impaired more in the local level condition than in the global level condition. (3) Although the subjects' performance was generally better in the S-R compatible condition than in the S-R incompatible condition, subjects' reaction time was increased more in the S-R compatible condition than in the S-R incompatible condition when incongruent stimuli were provided. And (4) reaction time in the global level condition increased greatly in the spatial S-R incompatible condition, whereas reaction time in the local level condition were similar for both spatial S-R compatibility conditions. Finally, issues related to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전역/국소 처리의 상대적 차이를 자극-반응 부합성과 관련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자극 속성(복합문자의 전역 혹은 국소 속성이 일치하거나 불일치)과 판단 수준(전역-속성에 대한 반응 혹은 국소 속성에 대한 반응), 그리고 개념적 자극-반응의 부합성(실험 1) 및 공간적 자극-반응 부합성(실험 2) 수준이 체계적으로 조작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 전반적으로 복합문자의 전역 속성과 국소 속성이 일치하는 경우, 전역-속성에 반응하는 경우, 그리고 개념적/공간적으로 부합하는 경우에서의 수행이 더 우수하였다. (2) 특히, 기존의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국소 속성에 대한 반응은 자극-자극이 불일치할 경우에는 전역 속성에 비해 더 많은 간섭을 받는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3) 일반적으로 개념적 자극-반응 부합 조건에서의 수행이 우월하지만 자극-자극 불일치 조건의 경우에는 비부합 대응보다 부합 대응 조건에서의 반응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4) 국소 속성에 대한 반응은 반응해야 할 자극의 의미적 속성과 위치가 부합하거나 부합하지 않는 것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하고 느린데 반해, 전역 속성에 대한 반응은 자극이 제시된 위치가 자극의 의미와 비부합할 경우 간섭의 정도가 더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전역 처리가 국소 처리에 비해 처리에서의 우월성을 갖지만 개념적/공간적 자극-반응 부합성의 여부에 따라 전역 처리에 대한 간섭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