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perimental Fluid Percussion Brain Injury Induces Temporally and Regionally Specific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Genes

        김영화,김달수,박선화,김태식,선웅,김현,김창미 대한해부학회 2004 Anatomy & Cell Biology Vol.37 No.1

        Although the induction of various members of hsp (heat shock protein) gene family has been linked to the resistanceto apoptosis by a range of diverse stress stimuli, detail information has not been available yet as to the temporal andspatial expression patterns of various hsp gene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In the present study, using a lateral fluidpercussion (FP) injury as a model of traumatic brain injury, expression profiles of stress induced hsp genes were comparativelyevaluated in the adult rat brain by in situ hybridization (ISH). We found that the temporal and regional expressionpatterns between the hsp70 superfamily members, hsp110 and hsp70, and the small hsp member, hsp25 are distinct.While the hsp110 and hsp70 expression was observed as early as 1 hr after injury and maximally induced at 3 hrafter injury, the hsp25 expression appeared 6 hr after injury and the expression sustained until 6 days after the injury.Moreover, the expression of hsp110 and hsp70 was localized primarily in the impact site, that of the small hsp25 wasobserved throughout the ipsilateral cortical area in the distant regions remote from the impact site as well as in theimpact site following inju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quential and combinatorial manipulation of various hspgenes can be exploited in reducing acute and delayed post-traumatic apoptosis and associated neurological dysfunction. 유압출 뇌손상에 의한 heat shock protein 유전자들의발현 양상김영화, 김달수1, 박선화, 김태식, 선 웅, 김 현, 김창미*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1가톨릭 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신경외과학교실HSP유전자군은 다양한 스트레스 자극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상성 뇌 손상 후 hsp유전자들의 발현양상에 대한 명확한 보고가 없다. 이 연구에서는 외상성 뇌손상 모델로써 유압출 뇌손상 동물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외상성 뇌손상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hsp 유전자들의 발현양상은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hsp70 superfamily member인 hsp110, hsp70과 작은 hsp member인 hsp25의 발현 양상은 많은 차이를 보였다.Hsp110과 hsp70은 뇌손상 후 1시간 내에 발현하기 시작하여 손상 후 3시간에 최고의 발현을 보였으며, hsp25는 손상 후6시간에 발현하기 시작하여 손상 후 6일까지 지속되었다. Hsp110과 hsp70은 손상부위에서 높은 발현을 보인 반면, hsp25는손상 부위 뿐만 아니라 손상부위와 멀리 떨어진 같은 쪽 대뇌피질 전 영역에 걸쳐 발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hsp유전자들을 조합하여 순차적으로 조작함으로써 급성 혹은 지연된 외상성 뇌 손상 후 세포사 및 신경학적 기능이상을 완화시킬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학부모의 학교 선택 수요 분석

        김영화 한국교육사회학회 2003 교육사회학연구 Vol.13 No.1

        The Demand for School Choice of Parents >학교선택제 확대에 대한 논란이 점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실제 학교선택을 행사하는 주체인 학부모의 학교선택 수요를 더욱 면밀하게 검토하는 작업이다. 이 연구에서는 학부모의 학교선택 수요가 어느 정도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의 중학교 3학년 학부모 500명을 대상으로 학부모는 어느 정도로 고등학교선택을 희망하며, 어떠한 유형의 고등학교를 선택하고자 하는지, 학교선택 수요는 학부모의 배경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학부모들은 한편으로 강제 배정 원칙을 적용하는 고교평준화제도를 지지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학생학부모가 희망하는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학교선택제를 그 이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학군의 선지원후추첨제, 특목고 둥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학교선택제에 대해서도 현상유지나 확대하자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학교 선택 기회가 주어졌을 때 선택할 의사가 있는 학부모는 91.7%에 달하였으며, 선택할 의사는 부모의 학력과 직업지위에 관계없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높은 교육비에도 불구하고 선택할 의사는 자녀의 성적이 높을수록, 부모의 학력, 직업지위, 수입 등 계층배경이 높을수록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가 선호하는 교육과정은 ‘입시준비가 충실한 교육과정’, ‘개인차를 고려한 교육과정’,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특정 직업분야를 강조하는 교육과정’, ‘특정 과목을 심화시키는 교육과정’, ‘국제적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시키는 교육과정’, ‘종교교육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순으로 많이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학부모들의 학교선택 범위를 확대시키려는 정책을 뒷받침할 수 있는 하나의 근거 자료를 제공해 준다. 그러나 학교선택이 사회계층별 교육기회 불평등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학교선택제를 확대할 때 교육취약집단을 위한 장학금제도 및 정원할당제 등 부모의 계층 영향으로 인한 교육 불평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utoflocculating mutants of cyanobacterium Arthrospira platensis

        김영화,Young-Hwa Kim,Hyun-Jin Park,이상훈,이재화 한국화학공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30 No.2

        Harvesting microalgae is a major concern for mass culture in industry. Flocculation is an easy and effective way to harvest microalgae. However, flocculation using chemical flocculants is not feasible for scaling-up due to their toxicity. As an alternative technique, mutation breeding of autoflocculating microalgae strain has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autoflocculating mutants of Arthrospira platensis (A. platensis) by ethyl methane sulfonate (EMS). The cells of mutants were aggregated during the culture and dry cell weight increased 1.2- to 1.8-fold compared to the wild type. Autoflocculation was induced highly at an optimal pH level of 9 and the flocculation efficiency reached almost 90%. Mutants showed higher flocculation efficiency irrespective of the addition of chemical flocculants. Thus, it is definitely useful to harvest microalgae using autoflocculating mutants in large-scale culture without any drawbacks of harvested algal biomass.

      • KCI우수등재

        초등학교 아동의 도덕적 행위 수준에 미치는 가정의 사회화 요인의 영향

        金榮和 한국교육학회 1996 敎育學硏究 Vol.34 No.5

        이 연구에서는 가정의 다양한 사회화 요인이 우리나라 초등학교 아동의 도덕적 행위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자녀의 도덕적 행위 수준에는 부모의 도덕성 지도가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도덕적 행위를 엄격하게 지도할수록 자녀의 도덕적 행위 수준이 높았다. 또한 자녀의 도덕적 행위 수준에는 자녀의 눈에 부모의 도덕성이 어떻게 비춰지는지가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자신의 부모를 도덕적이라고 인지할수록 자녀의 도덕적 행위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중 질서와 준법 행위 형성에는 부모의 도덕적 행위가 부모의 도덕성 지도보다도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품과 예절에 대한 부모의 관심, 학과 공부 이외의 활동에 대한 부모의 관심 등 자녀의 전인적 성장에 대한 부모의 관심과 자녀에 대한 일반적 관심, 가정의 화목도 등도 자녀의 도덕적 행위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부와 성적에 대한 관심과 자녀에 대한 과잉보호, 부모의 경쟁지향성 등은 자녀의 도덕적 행위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육시민단체 활동의 공과와 과제

        김영화 한국교육사회학회 2006 교육사회학연구 Vol.16 No.3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rits and demerits of education NGOs and their tasks in the aspects of ① influence on education policy decision making, ② contribution to eliminating school irregularities and irrational practices, ③ provision of services to education consumers, and ④ contribution to public interests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 general, as well as community education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 study employed the three research methods: the case studies of eight education NGOs; the questionnaire survey of 493 education NGO activists, education government officers, professors in the field of education, parents and teachers; and interviews with 11 concerned persons. While NGO activists took a skeptical view of the influence of NGOs on education decision making, education officers and scholars perceived it to be strong. All concerned groups perceived that the function of participation in policy process was too strong whereas the activities of monitoring and charging against school irregularities and service function tended to be weak. As for the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irrational school practices, teachers and parents are skeptical about it while NGO activists, scholars and education officers showed positive perception. Regarding contribution to public interests and educational development, NGO activists and scholars perceived it positively while education officers, teachers and parents took a skeptical view. Particularly all concerned groups except NGO activists did not perceive that education NGOs contributed to community education development. The tasks for NGOs' development sugges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enhance the professionality of NOGs,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improving school site practices and service provision, to facilitate community-based activities and to secure steady activities.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육시민단체의 공과를 교육정책과정에의 영향력, 학교 현장의 교육 부조리 해소 및 불합리한 관행 개선에의 기여도, 교육소비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 공익성과 국가 및 지역사회 교육발전에의 기여도의 측면에서 평가하고 교육시민단체 발전을 위한 향후 과제를 검토하였다. 8개 교육시민단체의 사례연구, 교육시민단체 활동가교육관료학자교사학부모 등 교육 관련 주체 493명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조사, 교육 관련 주체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방법을 병행하였다. 교육시민단체가 교육정책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 교육시민단체 활동가 본인들은 회의적인 반면 교육관료와 학자는 단체의 영향력이 강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 관련 주체들은 공통적으로 교육시민단체의 정책과정 참여 기능은 지나치게 강한 반면 교육부조리와 비리 감시 및 고발 활동과 교육소비자를 위한 서비스기능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학부모는 그 부족함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의 불합리한 관행 개선에의 기여도에 대해서는 학자, 교육시민단체, 교육관료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반면, 교사와 학부모는 회의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교육시민단체의 공익성과 학교교육의 전반적인 발전에 기여하는 정도에 대해 교육시민단체 활동가와 학자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반면, 교육관료, 교사, 학부모의 경우 회의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지역사회 교육발전에 기여하는 정도에 대해서는 교육시민단체 활동가를 제외하고는 모든 집단에서 회의적이다. 전문성 강화, 미시적 차원의 학교 현장 개선과 서비스 제공 기능 강화, 지역 단위 활동의 활성화, 활동의 지속성 확보, 단체별 특성화 등의 과제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육시민단체 활동의 공과와 과제

        김영화 한국교육사회학회 2006 교육사회학연구 Vol.16 No.2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육시민단체의 공과를 교육정책과정에의 영향력, 학교 현장의 교육 부 조리 해소 및 불합리한 관행 개선에의 기여도, 교육소비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 공익성과 국가 및 지역사회 교육발전에의 기여도의 측면에서 평가하고 교육시민단체 발전을 위한 향후 과제를 검토 하였다. 8개 교육시민단체의 사례연구, 교육시민단체 활동가?교육관료?학자?교사?학부모 등 교 육 관련 주체 493명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조사, 교육 관련 주체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방법을 병 행하였다. 교육시민단체가 교육정책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 교육시민단체 활동가 본인들은 회의적인 반면 교육관료와 학자는 단체의 영향력이 강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 관련 주체 들은 공통적으로 교육시민단체의 정책과정 참여 기능은 지나치게 강한 반면 교육부조리와 비리 감 시 및 고발 활동과 교육소비자를 위한 서비스기능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학부모는 그 부족함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의 불합리한 관행 개선에의 기여도에 대해서는 학자, 교 육시민단체, 교육관료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반면, 교사와 학부모는 회의적으로 인식하 고 있다. 교육시민단체의 공익성과 학교교육의 전반적인 발전에 기여하는 정도에 대해 교육시민단 체 활동가와 학자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반면, 교육관료, 교사, 학부모의 경우 회의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지역사회 교육발전에 기여하는 정도에 대해서는 교육시민단체 활동가를 제 외하고는 모든 집단에서 회의적이다. 전문성 강화, 미시적 차원의 학교 현장 개선과 서비스 제공 기능 강화, 지역 단위 활동의 활성화, 활동의 지속성 확보, 단체별 특성화 등의 과제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rits and demerits of education NGOs and their tasks in the aspects of ① influence on education policy decision making, ② contribution to eliminating school irregularities and irrational practices, ③ provision of services to education consumers, and ④ contribution to public interests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 general, as well as community education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 study employed the three research methods: the case studies of eight education NGOs; the questionnaire survey of 493 education NGO activists, education government officers, professors in the field of education, parents and teachers; and interviews with 11 concerned persons. While NGO activists took a skeptical view of the influence of NGOs on education decision making, education officers and scholars perceived it to be strong. All concerned groups perceived that the function of participation in policy process was too strong whereas the activities of monitoring and charging against school irregularities and service function tended to be weak. As for the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irrational school practices, teachers and parents are skeptical about it while NGO activists, scholars and education officers showed positive perception. Regarding contribution to public interests and educational development, NGO activists and scholars perceived it positively while education officers, teachers and parents took a skeptical view. Particularly all concerned groups except NGO activists did not perceive that education NGOs contributed to community education development. The tasks for NGOs' development sugges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enhance the professionality of NOGs,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improving school site practices and service provision, to facilitate community-based activities and to secure steady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