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외국인직접투자의 결정요인 분석

        김영태(Kim, Young-Tai),강삼모(Kang, Sam-Mo)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사회과학연구 Vol.19 No.2

        동아시아 국가들은 과거에는 주로 외자 확보의 목적으로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려 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신성장산업 유치를 통해 성장잠재력을 높이기 위해서 추진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외국인 직접투자가 얼마나 일자리를 창출하는지에 대해서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외국인 직접투자는 크게 그린필드형 투자와 M&A형 투자, 2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그린필드형 투자는 자본투자를 통해 공장이나 사업장을 새로 설치하는 것이다. M&A형 투자는 주식의 취득이나 합병을 통해 기존 기업에 자본을 투입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우리 경제가 나아갈 방향과 부합되는 외국인직접투자 정책 등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외국인직접투자의 결정요인을 총액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투자 형태별 및 업종별로 구분하여 실증분석해 보았다. 외국인직접투자의 결정요인은 투자형태나 업종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총액수준에서는 우리나라 GDP 또는 세계 외국인직접투자의 성장이 우리나라의 외국인직접투자를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지가 상승은 외국인직접투자를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총액수준에서는 결정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던 선물환율의 상승은 M&A형 외국인직접투자의 감소요인이 되었다. 셋째, 주가의 상승은 장기적으로 제조업 외국인직접투자의 증가 요인이 되었으며 단기적으로 서비스업 외국인직접투자의 증가요인이 되었다. 넷째,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의 변동이 우리나라 외국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졌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거시경제 관점에서 형태별(그린필드형ㆍM&A형) 및 업종별(서비스업ㆍ제조업) 외국인직접투자의 결정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고 각각의 결정요인을 구분하여 분석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East Asian countries in the past attracted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order to get the international capitals. In recent years, they have tried to increase the potential GDP growth by the new growing industries. In additions, they focused on how much foreign direct investment could create jobs. If the host countries expected to have different effects through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y would try to get the different foreign direct investment by the type.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can be classified into two major types. The Greenfield type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to install a new factory. The M&A type foreign direct investment input the capitals through the acquisition of stock. In this paper,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was divided by investment type and industry. And then, we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in order to know the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GDP growth worked as a factor increasing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However, the rise in land price reduced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Second, the M&A type foreign direct investment was reduced by rise of forward exchange rate. Third, the share price increased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long term. By the way, in the short term,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into service industry was increased by the share prices. Fourth, China"s foreign direct investment fluctuations has a high impact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Korea. In this study we recognized the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Korea were different by nvestment type and industry. These results have several policy impl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용과 소비 간 관계 분석

        김영태 ( Young Tai Kim ),강삼모 ( Sam Mo Kang ) 한국금융연구원 2012 韓國經濟의 分析 Vol.18 No.3

        본고는 15개 선진국, 아시아 8개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각각 동태적 패널 GMM 및 패널 VAR 모형 등을 활용하여 고용과 소비 간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선진국의 경우 소비 충격에 따른 고용의 반응 정도가 투자 충격의 경우보다 더 크고더 길게 지속되었으며 특히 재화소비보다 서비스소비의 설명력이 장기적으로 더 컸다. 반면 개발도상국은 투자가 고용과 상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소비와 고용간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개발도상국의 경우 SOC나 신규 공장 등 고용창출형 투자가 집중되고 선진국은 의료, 문화 및 스포츠 등 고용창출에 유리한 선택적 소비가 집중된 데따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성숙경제에 근접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는 선진국과 유사하게 소비가 투자보다 고용에 대한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고용 증가를 수반하는 안정적 성장 즉 고용친화적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소비증가가 적정하게 이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We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and employment for 15 developed countries and 8 Asian developing countries using the dynamic panel GMM model and the panel VAR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e developed countries employment responded more largely to consumption shock than to investment shock and its effect lasted longer. Furthermore, employ- ment was more greatly influenced by the consumption shock of services than that of goods in the long run. Meanwhile, in the developing countries the corre- lation between employment and invest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nsignificant between employment and consumption. This seems to be caused by the fact that the economies of developing countries are concentrated with job generating investments such as SOC and building of new factories; whereas the economies of developed countries are comprised largely of selective consumptions favorable to creating jobs such as healthcare, sports and cultural goods. In the case of Korea, whose economy is closely approaching to mature economies, the effect of consumption shock on employment had shown to be greater than that of investment, a trend similar to that of developed countries. This implies that Korea should continue increasing its consumption level to an appropriate level in order to sustain stable economic growth accompanied by employment rate increase, i.e. employment-friendly growth.

      • KCI등재

        중소기업의 공장자동화 단계와 원가정보 활용목적간의 관련성 - 충북지역 제조업을 중심으로 -

        김영태 ( Kim Young-tai ),이주성 ( Rhee Ju-seong ),박원규 ( Park Won-guy ) 한국회계정책학회 2005 회계와 정책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된 제조환경 특히 자동화된 환경하에서 보다 정확한 제품원가를 산정하기 위해 기업의 제조간접비 회계처리 방법을 살펴보고, 실태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공장자동화 단계와 제조간접비, 공장자동화 단계와 원가정보 활용목적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공장자동화 단계와 제조간접비 처리방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동화의 진전이 원가항목의 구성비율에 영향을 미친다면 원가관리측면에서도 변화하는 추세를 파악하여 직접노무비 보다는 제조간 접비를 중점 관리대상으로 삼아 원가경쟁력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공장자동화 단계와 제조간접비 회계처리간 적합성이 원가활용 목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공장자동화 단계가 높고 부문별, 기계별 등 세분화된 제조간접비 배부율을 사용하는 기업은 원가정보를 내부관리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장자동화 단계가 높을수록 원가정보를 내부관리 목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기대하였지만 예상과 다르게 외부보고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기업들이 원가회계시스템을 공장자동화 단계와 상관없이 재무보고 중심으로 운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factory automatization system and the manufacturing overhead cost, the factory automatization system and the cost information and how to account the manufacturing overhead cost of the company in order to estimate the product cost under the automatized environment.The positive result is as the following.First, As the factory automatization system is in progress, the distribution ratio, the allocation basis and the allocation rate of the manufacturing overhead co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econd, the result on analyzing how the fitness between the factory automatization system and the account management of the manufacturing overhead cost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cost u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mpany which use the allocation rate fractionated and is high in the factory automatization system used the cost information for the internal management.Third, If the factory automatization system is high, the cost information was expected to use for the internal management. But it was used for the outer management.

      • KCI등재
      • KCI등재

        언어재활사의 직무 중요도, 난이도, 빈도에 대한 인식

        김영태(Young Tae Kim),최현주(Hyun joo Choi),김민정(Min Jung Kim),김재옥(Jae ock Kim),전희숙(Hee sook Jeon),김태우(Tai woo Kim),강민경(Min kyung K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의 직무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및 빈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임상현장에서의 직무 실태를 파악하고, 자격 등급별 역할 범위를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한국언어재활사협회에 등록된 6천여 명의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에 응한 62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언어재활사 직무의 중요도, 난이도, 빈도에 대한 인식조사(범위: 1-5) 및 급수별 언어재활사의 역할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첫째, 책무 중 중요도와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치료'였으며, 난이도가 가장 높은 것은 '연구/개발'이었다. 둘째, 상관 분석 결과 작업의 중요도와 빈도는 정적 상관이 있었던 반면, 작업의 난이도는 중요도나 빈도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자격증 급수와 근무처 변수에 따라 일부 직무 인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17개의 작업 중 '치료감독 및 치료', '프로그램 개발' 등의 7개 작업이 1급 언어재활사의 고유업무로 응답한 비율이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가 임상 현장에서 수행하고 있는 직무 실태와 급수별 언어재활사 역할 범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근무처별 언어재활사 직무 인식 연구의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the duties and tasks they perform in their work. Methods: We surveyed more than 6,000 registered SLPs from the Korean Association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628 SLPs. Data was collected using online questionnaires about 5 duties, 17 tasks, and 57 task elements that might be part of an SLP's job. Each duty, task and task element was analyzed for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range: 1-5). Results: First, 'therapy'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and most frequent duty; 'research/development' was recognized as the most difficult duty. Second,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uggested that the importance and frequency of a job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 difficulty and other perceptions of a job have a negative correlation. Third, the difference in some perceptions of a job varied depending on the class of the SLP's certificate and employment category. Fourth,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seven tasks ('supervision of therapy practice', 'development of programs', etc.) were unique to first class SLPs.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patterns in Korean SLPs perceptions of their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future studies on SLPs perceptions of various employment categories.

      • KCI등재
      • KCI등재

        델파이 조사를 통한 언어재활사 직무분석 연구

        김영태(Young Tae Kim),김재옥(Jae Ock Kim),전희숙(Hee Sook Jeon),최현주(Hyun Joo Choi),김민정(Min Jung Kim),김태우(Tai Woo Kim),강민경(Min Kyung Kang) 한국언어치료학회 2014 言語治療硏究 Vol.23 No.3

        Purpose: The Speech-Language Pathology (SLP) field has been systemized in Korea's 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 since 2012. However, the job duties or tasks of SLPs are not well established and have not been studied in detail. In addition, the different tasks required by the different classes of Korean SLPs are not clearly defined. The present study aimed to (1) define SLP, (2) describe the job duties and tasks of SLPs, and (3) suggest differential job task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lass of SLPs. Methods: Fifty experts who have doctoral degrees in SLP or more than 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orough three steps of delphi study, the content validity of questionnaires were examined and those of all questions were over 4.0 out of 5.0. Based on these results, SLP's job duties and task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se were compensated through public hearings. Results: By analyzing three steps of a delphi study, the authors suggested (1) job definition, (2) five job duties, 17 tasks, and 57 task elements, and (3) differential job tasks of the first and second class of Korean SLP.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for further research on Korean SLP's job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