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On the Methodological Constrains that a Theory of Phenomenal Consciousness Ought to Adopt

        Young-Jin Kiem(김영진) 한국현상학회 2012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2 No.-

        철학자들과 과학자들 양자 모두 현상적 의식에 관한 바른 이론을 세우고자 시도한다. 하지만 그와 같은 이론을 건립하기 위해서, 현상적 의식이 개입하는 여러 다양한 현상을 적절하게 다룰 수 있는 어떤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고려가 먼저 필요하다. 이 점은 현상적 의식에 대한 진지한 연구가 채택해야 하는 방법론적 제약조건을 세밀하게 검토하도록 우리를 이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그와 같은 이론적 제약조건을 분명하게 밝혀내는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현상적 의식의 본성에 대한 철학적 규명과 연관한 두 방법론적 제약조건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한편으로, 현상적 의식에 대한 방법론은 최소한의 방식에서 자연주의적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그것은 현상적 의식 경험을 한 전체로서의 경험이 관계하는 여러 상이한 차원-말하자면, ‘뇌’, ‘뇌를 포함하는 신체전반’, ‘인간이 속해 있는 자연적ㆍ사회적ㆍ문화적 환경’의 제 차원-에서 다루어야 한다. 필자는 이 제약조건들을 패트리셔 처치랜드와 프랜시스코 바렐라가 제시하는 의식 이해 접근법의 명과 암을 검토함으로써 규명한다. 이러한 제약조건에 대한 해명은 현상적 의식에 대한 연구 방법론을 확립하는 데에 한 본질적 틀을 구성한다. Both the philosophers and the scientists hope to build an adequate theory of phenomenal consciousness. In constructing such a theory, however, some critical considerations of a methodology that can properly cope with various phenomena associated with such consciousness are needed. This, in turn, leads us to scrutinize some methodological constraints or norms that a serious research on phenomenal consciousness has to adop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et at theoretical constraints thus considered. In the present paper I put forward two methodological constraints for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to the nature of PC as follows: First, the methodology of PC needs to be minimally naturalistic. Second, it should deal with a phenomenal conscious experience on the different dimensions of the experience as a whole, i.e. on the dimensions of, say, ‘the brain’, ‘the whole body that includes the brain’, and ‘the natural/social/cultural environments to which human beings belong’. I suggest these constraints by means of examining the bright and dark sides of Patricia Churchland’s and Francisco Varela’s ideas on how to approach consciousness. The explication of such constraints constitutes the cardinal framework for establishing the methodology for PC in question.

      • KCI등재

        The Naturalization of Intentionality I

        Young-Jin Kiem(김영진) 한국현상학회 2014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62 No.-

        분석적 전통의 대다수 심리철학자들이 정신의 지향성에 대한 자연화 문제를 심각하게 다루었던 때가 있었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을 넘으면서 그 주제에 대한 철학적 탐구는 실질적 성공을 거두지 못한 채 거의 사라졌다. 그런데 1990년대 후반 이래로 현상학 전통의 일부 철학자들이 현상학의 자연화를 고려하기 시작하면서 그 문제가 다시 등장하고 있다. 현상학 일반의 반자연주의적 경향을 고려할 때 이는 진정 주목할만한 일이다. 필자는 이제 우리가 정신의 지향성에 대한 자연화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할 때가 왔다고 생각한다. 그와 같은 시각에서 이 논문은 그 연구 프로젝트의 첫 단계로서 분석적 전통의 두 중요한 심리 철학자인 제리 포더와 마이클 타이가 제시한, 지향성 자연화에 대한 이론을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이러한 목적에서 필자는 지향성 자연화의 이념에 대한 포더의 입장을 다음과 같이 정식화한다: (F1) ‘정신의 지향성에 관해 실재론자가 되기 위하여 우리는 환원주의자가 되는 일이 필요하다. 오직 환원주의적 시각으로부터 지향성의 자연화가 가능하다.’ (F2) ‘지향성을 자연화하는 것은 지향적 속성과 용어가 비지향적 속성과 용어로 분석되는 충분조건을 탐색하는 것이다. 개념 분석이 그 일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필자는 타이의 관점을 다음과 같이 특징짓는다: (T1) ‘현행의 인지과학에서 상정되는 정신의 지향성은 이미 자연주의적이다. 우리는 어떤 추가적인, 철학적 형태의 환원주의를 채택할 필요가 없다.’ (T2) ‘상위 레벨의 지향적 속성과 하위 레벨의 물리적 속성을 중개하는 매개적인 자연적 속성을 규명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지향성의 필요-충분 조건을 추구하는 개념 분석은 무익하다. 현행의 과학적 탐구를 계속 실행하는 것만이 긴요하다.’ 이렇게 정식화된 포더와 타이의 입장을 대조하면서 필자는 지향성에 대한 자연화 문제에 관하여 포더의 관점이 비록 완결적이지는 못하지만 타이의 관점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절하다는 결론에 이른다. 이 고찰은, 지향성의 자연화에 관한 현상학적 심화 연구에 도움을 주는 기본적 논의 기반을 제시하는 것으로 기획된다. There was a time when almost all the philosophers of mind in the analytical tradition paid great attention to the problem of naturalizing the intentionality of the mind. Recently, however, philosophical discourses on the issue, without making substantial success, have disappeared. Meanwhile, since the end of the 1990s, some philosophers from the phenomenological tradition have raised the issue again. That is, indeed, remarkable, judging from the fact that phenomenology in general tends to take an anti-naturalistic stance on naturalism. This makes us think that now is the time to resolve successfully the philosophical issue about the naturalization of intentionality. Thus seen, the present paper is, as a first step toward the research project, a critical discussion on the theories of naturalizing intentionality suggested by two important analytical philosophers of mind, i.e. Jerry Fodor and Michael Tye. For that purpose I formulate Fodor’s idea of the naturalization of intentionality as follows: (F1) To be a realist about the intentionality of the mind, one needs to be a reductionist. Only from the reductive perspective is the naturalization of intentionality possible. (F2) To naturalize intentionality is to search for some sufficient conditions under which intentional properties and terms are analyzed into non-intentional properties and terms. Conceptual analysis can fulfil the task at issue. Whereas Tye’s idea is characterized as follows: (T1) The intentionality of the mind posited in the current cognitive sciences is already naturalistic. One does not need to adopt an additional, philosophical form of reductionism. It is enough to pin down intermediate natural properties in which higher-level intentional properties and lower-level physical properties are mediated. (T2) Conceptual analysis, which pursues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intentional, is useless. It is only requisite that we keep carrying out current scientific research. While comparing Fodor’s and Tye’s views regarding the issue, I draw the conclusion that Fodor’s view about the naturalization of intentionality is, although it is not complete, relatively more proper than Tye’s. These considerations are designed to provoke a theoretical starting point for further studies on the naturalization of intentionality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 KCI등재

        지향 상태가 갖는 〈배경〉의 비표상적 성격에 관하여

        김영진(Young-Jin Kiem) 한국현상학회 2010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5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존 서얼 지향성 이론의 한 특징적인 요소인 지향상태의 〈배경〉 문제에 관하여 토의한다. 서얼에 따르면 세계 안의 대상과 사태를 표상하는 지향적 상태의 작동은 지향성의 〈배경〉이라고 일컫는 근본적인 기술ㆍ능력ㆍ역량에 의존한다. 특기할만한 것은, 서얼에 따르면, 지향 상태의 〈배경〉이 지향 상태 그 자체와는 달리 ‘전표상적’ 또는 ‘비표상적’이라는 점이다. 서얼은 이 입장을 매우 강건하고 일관적으로 견지해 오고 있다. 필자는 지향성의 〈배경〉이 존재한다는 가설에 동의하지만 그것이 ‘전표상적’ 또는 ‘비표상적’이라는 서얼의 논점에 회의적이다. 여기에서 필자는 지향 상태의 〈배경〉이 어떤 측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상적’일 수 있는 지를 보이고자 시도한다. 필자는 그 주장의 근거를 지향성 담지자와 그 담지자가 적응하여 거주하는 특정 환경이 서로 직접 접하는 심층적이고 근원적인 〈배경〉의 경우 그러한 〈배경〉은 그 환경의 여러 속성과 양상을 반영하고 표상한다는 점에서 찾는다. 필자는 지향성의 〈배경〉에 대한 이와 같은 이해가 이른바 서얼의 ‘생물학적 자연주의’를 더 한층 일관적이고 적확하게 만든다고 본다. In this paper the author discusses the issue as to the Background of intentional states counted as a distinct element of Searle’s general theory of intentionality. According to Searle, the normal workings of intentional states that represent objects and states of affairs in the world depend on the fundamental skills, abilities, and capacities called “the Background of intentionality”. What is remarkable in Searle’s view is that the Background of intentional states are, unlike the intentional states themselves, pre-representational or non-representational. Searle has been taking this position in a very robust, consistent manner. The author finds the hypothesis of the Background quite plausible, but casts doubt on the non-representational character of it. In this essay the author tries to show in what respects the Background of intentional states could, at least in part, be representational. The author finds a reason for the claim in the following idea that when it comes to the primitive, deep-level Background in which direct interactions occur between the bearer of intentional states and the specific environment to which that bearer is successfully adapted, Background of the sort reflects or represents various features and aspects of the environment in question. The author takes it that this way of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intentionality accords better with what Searle calls “biological naturalism”.

      • KCI등재

        브렌타노 지향성 이념의 해석 문제

        김영진(Young-Jin Kiem) 한국현상학회 2012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4 No.-

        프란츠 브렌타노의 지향성 이념에 대한 두 상이한 해석이 있어 왔다. 치즘이 대표하는 분석적 해석과 후설 전통의 현상학적 이해가 그것이다. 그 두 해석을 적절하게 이해하는 일은 쉽지 않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비교적 최근에 필립 바톡은 브렌타노의 지향성 이념에 대한 명료한 해명을 제시한다. 나아가 그는 브렌타노 지향성 이념을 심리학의 방법론적 원리로 이해하는 현상학적 시각이 올바른 노선에 있으므로 이른바 형이상학적이고 철학적인 해석에 기우는 분석적 접근은 현상학적 처치에 의하여 보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브렌타노의 지향성 이념을 보다 더 적확하고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하여 바톡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논구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필자는, 브렌타노의 지향성 이념에 대한 바톡의 해명이 분명히 의미심장하고 중요하지만 그럼에도 그의 입장은 브렌타노 지향성 이념에 대한 분석적 해석과 현상학적 해석 양자를 보다 더 근원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적절한 장치-즉 지향성이 관련하는 철학 일반의 이념과 목적과 방법에 대한 주의 깊은 고려-를 갖출 필요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필자는 이 관점이 브렌타노의 참 모습을 더 잘 드러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ere have been two distinct approaches to Franz Brentano’s idea of intentionality: Chisholm’s analytical interpretation and the Husserlean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both expositions in a proper manner. Under this circumstances, Philip Bartock has recently provided us with a lucid account of Brentano’s notion of intentionality. Furthermore he makes a remarkable claim that since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n which Brentano’s idea of intentionality is understood as a methodological principle of doing an adequate psychology is generally on the right track, the analytical interpretation in which a metaphysical understanding about the intentionality of the mind is emphasized should be supplemented by the very phenomenological treatment. The present paper aims to make a thorough, critical investigation into Bartock’s claim aforementioned, mainly for the purpose of reaching a more proper and right understanding of Brentano’s notion of intentionality. In doing so, the author of this paper draws the conclusion that although Bartock’s exposition and claim about Brentano’s idea of intentionality could be significant, it still needs to be equipped with an appropriate philosophical apparatus that can fundamentally unite both the analytical and the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s of the Brentanian notion of intentionality. Here the apparatus in question is obtained by making some careful considerations of the idea, purpose, and method of philosophy itself. The author of this paper takes it that this view sheds more light on understanding Brentano.

      • KCI등재

        정신의 지향성의 생물학적 정초에 관한 현상학적 시론

        김영진(Young-Jin Kiem) 한국현상학회 200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8 No.-

        후설에 따르면 지향성은 현상학의 중심 이념이다. 그 점에서 일반 지향성 이론은 표상과 인지와 행위의 본성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그러나 불운하게도 우리는 그러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지향성 이론을 아직 가지고 있지 못하다. 한 이유는 우리가, 의식적으로든 또는 무의식적으로든, 전통적인 지향성 이념-즉 지향성이 물리적인 것으로부터 정신적 것을 구분시켜 주는 독특한 표지이며 또한 지향적 상태의 고유 대상은 내포적이고 명제적인 실물이라는 관념-에 속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전통적 지향성 이념과의 대비 속에서 필자는 지향성의 본성에 대한 새롭고 실험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이에 필자는 정신의 지향성의 생물학적 토대가 무엇일 수 있는지를 논구한다. 그 맥락에서 루쓰 밀리칸이 제안하는 이른바 '외적 지향성'의 관념이 재해석된다. 외적 지향성의 결정적인 특성은, 그것이 생물학적 장착물의 표상적 상태가 정향하는 대상의 물리적 현존을 필연적으로 요구한다는데 놓여 있다. 외적 지향성의 특정에 대한 이 철학적 고찰은 현대 현상학의 개척 작업을 의도하고 있다. According to Husserl, intentionality is the central notion of phenomenology. In that regard a general theory of intentionality is supposed to lay bare the nature of representation, cognition, and action. Unfortunately, however, we do not yet have such a unified, systematic theory of intentionality. One reason for it may be that we ar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oo often constrained by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s of intentionality, i.e. the ideas that intentionality is the mark of what sets the mental apart from the physical, and that the proper object of an intentional state must be an intensional, propositional entity. While casting some doubt on those ideas, in this paper the author takes a new, experimental stance on the nature of intentionality. With that spirit the author attempts to search for a biological foundation for the intentionality of the mind. In relation to this, the so-called "external intentionality", originally suggested by Ruth Millikan, is explicated in a new way. The crucial feature of intentionality of the sort is that it requires the physical and causal presence of entities at which a biological device's presentational states are directed. This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external intentionality is intended for carrying out a pioneering work in contemporary phenomenology.

      • KCI등재

        작동 개념으로서의 선험성 -칸트와 후설의 경우

        김영진 ( Young Jin Kiem ) 한국칸트학회 2010 칸트연구 Vol.25 No.-

        The concept of transcendentality that appears as the central idea of Kant`s and Husserl`s philosophies can be viewed from both the operative-methodological and the substantive-theoretical dimensions. In this paper the author confines Kant`s and Husserl`s conceptions of transcendentality to the operative-methodological framework that can generate and maintain a particular form of philosophy, and attempts to compare those notions in several theses. From this perspective Kant`s conception of transcendentality is characterized as follows: (i) Transcendentality has to do with the conditions that make cognition and experience possible, (ii) those conditions are immanent in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cognitive subject, and (iii) those conditions are a priori. Whereas Husserl`s conception of it is understood as follows: (i`) Transcendentality has to do with the ultimate sources that make cognition and experience possible, (ii`) those sources depend on the character and function of the higher-level consciousness that can lead to the reflections on the existence and the meaning of an intentional experience, (iii`) those sources do not need to be a priori. Examinations of the idea of transcendentality as an operative concept play a pivotal role in helping us to understand more clearly Kant`s and Husserl`s ideas of transcendentality that have been considered quite difficult to pin down. It also provides us with a substantial motivation for the new application of a philosophical methodology based on the notion of transcendentality thus considered.

      • KCI등재
      • 지향성 난제의 해결을 위한 제언

        김영진 ( Young Jin Kiem ) 한국해석학회 2010 해석학연구 Vol.26 No.-

        How does the mind represent entities that do not really exist in the world? In other words, how can objectless representation be possible? Philosophers often call it “the problem of intentionality”. Considering that we do not yet have a general, substantial theory that can solve the puzzle in an adequate way, we are definitely perplexed by that problem. But I think that the predicament associated with the problem is somewhat misguided and, even, exaggerated. Viewed in this way I try to present a solution to the puzzle. My suggestion is that objectless representation is possible when the mind is consciously directed upon a linguistic symbol in the natural language that is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umed entity in question. I defend the thesis, chiefly by means of rearranging some distinct ideas in the theories of intentionality that we already have.

      • KCI등재

        프레게에서 지시체 없는 뜻의 문제

        김영진(Young-jin Kiem) 한국현상학회 200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4 No.-

        언어적 기호가 지시하도록 의도되는 사물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 그 언어적 기호는 과연 유의미한가? 만일 그렇다면 그 같은 유의미성이 어떻게 가능한가? 이는 프레게가 그의 고전적인 1892년 논문 “뜻과 지시체에 관하여”에서 다루는 문제들 중의 하나이다. 우리는 프레게가 그 문제를 풀기 위하여 언어적 기호의 뜻(Sinn)과 지시체(Bedeutung)를 구분하고 언어적 기호는 그것이 지칭하는 지시체를 결하더라도 어떤 뜻을 소유함을 통해 그 유의미성을 확보한다는 입장을 개진했다고 종종 듣는다. 이것이 지시체 없는 뜻의 문제에 관한 이른바 더밋 류의 고전적인 프레게 해석이다. 그런데 비교적 근래에 새롭게 제시되었지만 적지 않은 영향력을 끼치는 에반스의 해석에 따르면, 지시체가 없는 표현에 뜻을 귀속시킬 수 있는 이론적 근거의 여지가 프레게 의미론의 틀속에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이 두 해석 중 어느 것이 더 타당할까? 지시체 없는 뜻의 문제에 관한 프레게의 확정적이고 최종적인 입장은 무엇일까? 이 물음들과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 필자는, 우리가 통상적으로 간주해 온 것과는 사뭇 달리 지시체 없는 뜻의 문제에 대한 프레게의 실제 입장이 상당히 애매하며 그리고 바로 그 애매성이 그 문제에 대한 더밋과 에반스의 상호 모순적인 해석에 나름대로의 타당성을 각각 제공하기에 프레게의 입장은 어떤 형태의 이론적인 수정 내지 관점의 변경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그 주장이 어떻게 성립하는지를 밝히면서, 지시체 없는 뜻의 문제에 대한 프레게의 난점이 어떤 방식에서 보다 더 적절하게 해결될 수 있는지를 언어의 지향성과 정신의 지향성 사이의 병행성과 그 특징을 해명함으로써 제시한다. Could the linguistic signs that do not have any referents in the world be meaningful? If so, how is such meaningfulness possible? This is one of the main issues that Frege dealt with in the classical 1892 paper 'On Sense and Reference'. We are often told tha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Frege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sense and reference of a linguistic sign, and provided the view that even if a linguistic expression lacks a referent, it can in principle be meaningful by way of having a sense (or senses) associated with that expression. This is the classical interpretation of Frege's semantics suggested by Dummett and his followers. Meanwhile, according to the recent new interpretation made by Evans, in Frege's semantics there is no real theoretical room for ascribing a sense (or senses) to the expression that lacks a referent. Between those two interpretations of Frege's semantics, which is correct? What could be Frege's ultimate solution for the puzzle about sense without reference? In this paper the author argues that Frege's real position concerning the philosophical issue is, in fact, quite ambiguous, and that since the ambiguity seems to bring about the two opposing interpretations in question, Frege's stance on the issue requires some theoretical modifications or a change of view. The author, while trying to make the claim clear, suggests how to overcome Frege's ambiguity about the problem of sense without reference, chiefly by means of clarifying the parallelism between the intentionality of language and that of the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