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회복에 인지운동치료의 효과

        김영실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09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 No.-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the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for recovering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the patient with hemiplegia, on the recovery of hand function, targeting the patient complaining of the sensory impairment.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male patient with left hemiplegia caused by autonomous parenchymal hematoma(right thalamus) who aged 55, and the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was applied to him for 30 minutes once a day for 8 weeks from June 1, 2009 to August 18, 2009. Regarding the procedures of the study, pre and post-test results in the treatment time, 4 weeks after starting treatment, and 8 weeks after starting treatment which is the end time of the study with the same methods were compared by using the objective test and the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test. Results: After the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regarding upper extrem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Sensory Perception and hand function if affected side are increased. The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profile showed the improvement in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in recognition aspect, attention aspect, image aspect, language aspect, and learning aspect. Conclusion: There was the significant effect of the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among therapeutic approaches for recovering the upper extrimity function of the patient with hemiplegia, on the recovery of hand function. 목적: 감각장애를 주로 호소하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한 인지운동치료가 손 기능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자발성 뇌실질 내출혈(우측시상)로 인해 좌측 편마비가 된 55세 남자 환자로 2009년 6월 1일부터 8월 18일까지 8주 동안 하루 1회 30분씩 팔에 대한 인지운동치료를 적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치료 시점, 치료 시작 4주 후, 연구 종료 시기인 치료 시작 8주 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객관적 평가와 인지운동치료 평가를 이용하여 전후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팔에 대한 인지운동치료 후 일상생활동작(MBI)과 감각인식 및 마비측 손 기능이 향상되었다. 또한 인지운동치료 프로파일에서 병리적 특성, 인식 양상, 주의집중 양상, 이미지 양상, 언어 양상, 학습양상에서도 개선을 보였다. 결론: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팔 기능회복을 위한 치료적 접근 중 인지운동치료가 손 기능회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 흔적이론과 to 축약

        김영실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1992 영어교육연구 Vol.- No.12

        Trace theory explains that any moved constituent of category xⁿ leaves behind in the postition out of which it moves an empty category of the same type-[x ̄ne]. Then, is there any explanatory adequacy to leave this abstract empty node? a. Who might you want_to win? b. * Who might you wanna win? In the examples above, to-contraction is not allowed since the trace is left behind between want and to. we can assume that the trace blocks the contraction. But the problem is that if there are systematic differences between NP-trace and wh-trace, then we must embrace the notion that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empty elements, each with its own distinctive properties.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the third type of empty element: PRO. The much studied phenomenon of wanna-contraction in face draws a very clear distinction between wh-trace on the one hand and PRO and NP.trace on the other hand. But some studies show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Various descripion is presented in part Ⅲ. Chomsky(1980) goes so far as to express what amount to the claim that whether Trace theory yields a workable description or not, it is still correct: "What is at stake is the preceise characterization of 'contiguity,' not the validity of the explanation for the fact in terms of trace theory." It is obvious that trace theory gives a superior account of the contraction data.

      • 인지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실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4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6 No.-

        목적: 본 연구는 인지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 대상자는 선정기준을 고려한 뇌졸중 환자 12명으로, 인지운동치료를 하루 30분씩 주 5회, 총 4주에 걸쳐 적용하였다. 중재 전 사전 평가로 상지운동기능(FMA)과 일상생활활동(MBI) 평가를 실시하였고, 중재를 적용한 4주후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중재를 종료한 날로부터 4주후 추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에 따르면 상지 기능은 중재 전·후·추적의 측정시기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일상생활활동도 측정시기(중재 전·후·추적)에 따라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인지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치료의 지속성에 대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인지운동치료가 작업치료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to exam the effects of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Methods: Twelve participants were considering standard of selection, subjects received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for 30mins in a day, 5 times in a week, for 4 weeks. Preliminary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Fugl-Meyer Assessment (FMA), Modified Barthel Index (MBI). There was 4 weeks of mediation period between preliminary evaluation and post evaluation. Follow up evaluation was also following by end of the medi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 the ADL tes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ADL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by time of measurement.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improves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and the improvements were durable. So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is considered as a useful way in clinical occupation therapy. (J Korean Society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2014;6;41-46)

      • KCI등재

        선진국 유아교육정책관련정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요구 정도

        김영실,윤진주,최형숙,곽경화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선진국 유아교육정책관련정보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요구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교사 318명이다. 연구도구는 문무경, Moss, Bennett과 하민경(2013)의 연구에서 사용된 ‘선진 육아정책 정보 관련 요구’ 질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9개 정책영역별로 정보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교육과정’이었으며, 그 다음이 ‘교사양성, 임용, 현직연수, 승급, 처우, 근무여건’이었던 반면에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정책 연구’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32개 세부항목별로는 ‘방과 후 과정’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무상교육 지원비용 수준’ 정보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둘째, 선진 국 유아교육정책관련 정보를 얻고자 하는 교사들의 요구를 관련변인에 따라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 령, 경력, 기관유형, 근무지역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교육정책 수립 시, 현장에 있는 유치원교사들이 얻고자 하는 정책 정보가 무엇인지를 파악해 보 았다는 점과 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 기관유형, 근무지역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정보가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뇌졸중 환자의 감각인식훈련이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영실,이영주,김지윤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2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4 No.-

        Objective: It try to figure out the changes of activity of daily living(ADL) depending on the effect of Sensory-cognition-training on the stroke patient`s upper limb function(ULF). Methods: This research had been carried out from 22nd of September to 12th of October, 2012 on 2 stoke patients by using multiple-baseline design. Treatment of patient 2 started in the middle of patient 1`s treatment session. Material of surface, pressure and distance were applied for the Sensory-cognition-training. MFT and MBI were used for Sensory-cognition-training on the stroke patent`s ULF and to compare ADL for an objective evaluation.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CTE) profile was used for the subjective evaluation. Results: For ULF, subject 1`s evaluation was improved by 4 points in the final evaluation, but the subject 2 had no changes. ADL of subject 1 improved by 4 points in the final evaluation compared to the primary result, and that of subject 2 improved by 3 points. Recovery of subject 2 wa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subject 1 for CTE profile, but it can be known that both had improvements. Conclusion: This result showed that the Sensory-cognition-training on stroke through proprioception, tactile and pressure sense had positive effects on ULF and ADL. (J Korean Society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2012;4:21∼29) 목적: 뇌졸중 편마비 환자에게 감각인식훈련이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일상생활활동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2년 9월 22일부터 2012년 10월 12일까지 뇌졸중 환자 2명을 대상으로 다중 기초선 연구설계(multiple-baseline design)로 실시하였다. 치료시점을 다르게 하여 대상자 1의 치료회기 중간 지점에 대상자 2의 치료를 시작하였고 감각인식 훈련으로 표면소재, 압각, 거리 인식훈련 3가지를 적용하였다. 객관적 평가로 상지 기능은 뇌졸중 상지 기능 검사(MFT), 일상생활 활동은 일상생활자립도 평가 도구(MBI)를 사용해 비교하였고, 주관적 평가로는 인지운동 프로 파일(profile)을 사용하였다. 결과: 상지기능은 대상자 1에서 초기평가에 비해 최종평가에서 4점 향상되었으나, 대상자 2는 변화가 없었다. 일상생활동작은 대상자 1에서 초기평가에 비해 최종평가에서 4점 향상되었고, 대상자 2에서는 3점 향상되었다. 인지운동 프로파일은 대상자 1에 비해 대상자 2의 회복정도가 적었으나 모두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사례연구에서 뇌졸중 편마비 환자에게 상지의 고유수용성감각, 촉각, 압각을 통한 감각인식훈련이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감각인식 중재방법이 효과가 있었다.

      • 건강인과 뇌졸중 환자에서 선의 방향성 판단에 의한 공간인지 비교

        김영실,신현희,황혜정,이정원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1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3 No.-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인지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정된 JLOT를 사용하여 건강인과 뇌졸중 환자에서 제시되는 선의 길이에 따라 오른편마비와 왼편마비의 선의 방향성 판단 능력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또한 편측무시가 없는 오른반구 손상 환자와 왼반구 손상 환자 사이에서 선의 방향성 판단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대상자는 총 67명이었으며, 우세손이 오른손인 건강인 29명, 뇌졸중 환자 (오른마비 20명, 왼마비 18명) 38명이었다. Benton 등. (1983)의 선의 방향성 판단 검사(Judgement of the Line Orientation Test; JLOT)를 수정하여 6개의 연습 문항과 24개의 검사 문항으로 구성하여 총점(정답개수)과 반응시간을 비교하였다. 결과: 건강인군과 뇌졸중군 간에는 건강인군에서 뇌졸중군보다 총점이 평균 2.54점 높았으며(p=.026), 반응시간은 환자군이 평균 6.18초 증가되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 건강인군, 오른마비군과 왼 마비군 간에는 총점(정답개수)(F=4.191, p=.019)과 반응시간(F=10.395, p=.000)에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중 비교 결과를 보면 총점은 건강인군과 왼 마비군에서 평균차 3.68(p=.020), 반응시간은 건강인군과 오른 마비군 간에서 평균차 - 7.22(p=.000), 건강인군과 왼 마비군 간에는 평균차 - 4.22(p=.046)이었다. 선의 각도별 정답률은 수평과 수직에 가까울수록 높은 비율을 보였다. 결론: 선의 방향성 판단 능력은 정상인군에서 환자군 보다 정답률이 높았으며, 반응시간이 짧았다. 또한, 선의 각도별 정답률은 수평과 수직에 가까울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line orientation ability of normal participants and stroke patients. To find this, a modified JLOT, consisting of the different length of the line, was used. It also investigated the ability of line orientation between right hemisphere patients without neglect and left hemisphere patients. Methods: The number of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7, including 29 right-dominant handed healthy people and 38 stroke patients(20 right-hemiplegia and 18 left-hemiplegia). The study modified Benton et al.(1983)`s Judgement of the Line Orientation Test(JLOT) and constructed 6 practice problems and 24 examination problems, comparing reaction time and total score(the number of correct score). Results : The total score of health people was 2.54 higher than that of stroke patients(p=.026), and average reaction time of patients increased 6.18 seconds, demonstrating a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statistics(p=.000). Also, the reaction time and total score were meaningful in healthy group, right hemiplegia group, and left hemiplegia group in terms of statistics. Considering the result of multiple comparison, the total score of healthy group and left-hemiplegia group appeared to a mean difference of 3.68(p=.020). Also, the reaction time of healthy group and right-hemiplegia group appeared to a mean difference of 7.22(p=.000), and that of healthy group and left-hemiplegia group appeared to a mean difference of 4.22(p=.046) The percentage of correct scores according to the angle test in which subjects should infer angle of line appeared to higher when the degree of angle is close to 90-degree and 180-degree than in other angle. Conclusion: Ability to judge line orientation of normal participants is more accurate than patients, and reaction time is shorter. Also, the total score of line angle is a growing tendency toward horizontality and verticality.

      • KCI등재

        2007 개정 초등학교 국어과 1학년 교육과정과 유치원 교육과정 언어생활영역의 체계 비교

        김영실,윤진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2 No.3

        This study compared the contents and organization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first graders and the language curriculum for kindergarten children. This comparison,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and kindergarten curriculums promulgated simultaneously in 2007, was aimed at ensuring practical linkage between the two curriculums. This study found that unlike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kindergarten curriculum for the language area did not mention the need for an evaluation system in its general guidelines.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lso did not present goals in its “characteristics” section. Nor did it present theoretical frameworks regarding “content organization”. These points should be considered in revising the curriculum in the future. As for the “contents”,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s presented contents by grades, while the language curriculum for kindergartens presented contents by levels. These differences should be respected as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본 연구에서는 2007년 동시에 고시된 초등학교 국어과 1학년 교육과정과 유치원 교육과정의 언 어 생활 영역에 대한 문서의 목차와 구성 요소별 내용 비교를 통하여 양 교육과정의 실질적인 연계 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비교 결과, 국어과와는 달리 언어 생활 영역은 목차에서 평가가 없고, ‘성 격’에 목적이 제시되어 있지 않았으며, ‘내용 체계’ 구성의 이론적 틀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추후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서 보완될 필요가 있었다. ‘내용’에서 국어과는 학년별 내용을, 언어 생활 영 역은 수준별 내용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는 양 학교급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이 점은 각각의 독 자성이 존중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