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북서-유럽연합 간의 지역통합 프로세스 -발트 해 지역의 한자동맹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술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2

        Russia and European Union are required the effective regional cooperation in the Baltic Sea region because of geographical changes and the relationship in Europe, the possibility of the bipolar system in Europe, and the conditions of the integration in the northwest region of Russia or the choice of modernization's changes. This article examines the possibility of regional integration through regional cooperation between Northwest Russia and European Union. This article analyzes the integration process and regional cooperation through the Hanseatic League in the Baltic Sea Region from globalization and regional integration perspective. At the level of regional integration, it is not possible that a Russia's European Union will become membership, and Russia has not the possibility of the FTA Agreement between Europe and Russia, formation of the customs union or a single market. There is no possibility at all the Economic Union and full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Europe and Russia. In addition, realization of a common European economic space remains as the object of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is a dilemma to Russia in the orientation of economic integration and protection of sovereignty. In this situation, the experience of the Hanseatic League has many implications. The Hanseatic League was the main direction of globalization based on the trade economic through the process the region of integration. The Hanseatic League was the key of localization, it is composed of cities, not countries. The Hanseatic League is based on free merchants network, border cooperation and free trade economic system. It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Hanseatic economic community. Therefore, the New Hanseatic League is the most optimal format for the new regional integration in Europe and Russia. It is local resources. Moreover, the Hanseatic League is the unique and powerful tool which will give new opportunities to expand influence in the Baltic Sea to Russia. 유럽의 지형과 관계의 변화, 유럽에서 양극 모델의 가능성, 그리고 러시아의 북서 지역에서 통합의 필요조건과 현대적인 변화로의 선택의 기로에 선 러시아에게 발트 해 지역에서 효율적인 지역협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러시아 북서-유럽 연합 간의 지역협력에 나타난 상호작용을 통해 지역통합의 가능성 여부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한자동맹을 통해 발트 해 지역의 글로벌화 관점에서 지역의 통합 프로세스와 지역통합이라는 관점에서 발트 해 지역의 현재의 지역화와 지역협력을 분석한다. 현재 지역통합 차원에서 러시아가 유럽연합의 회원이 되거나 유럽과 러시아 사이에 FTA 체결 가능성, 관세동맹 또는 단일시장 형성 가능성은 없어 보이며, 그리고 러시아가 유럽연합과 경제 연합이나 더 이상의 완전한 경제통합은 전혀 가능성이 없다. 또한 진행되고 있는 공동 유럽 경제 공간의 현실화 문제마저도 이론적 논의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 이것은 한편으로 경제 통합에 대한 지향성과 다른 편으로는 주권에 대한 보호 지향성으로 러시아의 유럽연합에 대한 딜레마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자동맹의 경험은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볼 때, 무역경제에 기초한 한자동맹은 지역통합의 프로세스를 통한 글로벌화의 주요 방향이었으며, 한자동맹의 네트워크는 그 구성 주체가 국가가 아니라 한자도시들로서 지역화의 핵심이었다. 중요한 것으로 한자동맹의 경제공동체를 이룬 기초에는 경계를 넘나드는 자유로운 한자도시연합 상인들의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국경협력, 그리고 자유무역 경제 시스템 등이 그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지역통합의 모델로 새로운 한자동맹의 모색은 유럽과 러시아 사이의 상호 작용의 효과적인 조직을 위한 가장 최적의 형식뿐만 아니라, 지역 자원의 독특하며 강력한 수단이며, 그리고 러시아가 발트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는데 새로운 기회를 주게 될 것이다.

      • KCI등재

        발트 해 지역의 글로컬라이제이션에 관한 연구:한자동맹을 중심으로

        김영술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2 EU연구 Vol.- No.30

        This paper analyzes the globalization of the Baltic Sea region, with an emphasis on the Hanseatic League. Elements of the cities and Markets, along with the relationship amongst the regions, are analyzed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Calling Hansa League as expansion globalization, even if it had weak structure, the Hansa League has a strong commercial impact, but if we consider its import/export ratio it has a weak organizational structure. Despite its weaknesses, the Hansa League has endured for around five centuries and incorporates more than 200 cities. The Hansa League is currently bringing Europe prosperity.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re are various reasons for this. First, North German cities created a cooperation form that, with the help of game equilibrium, strengthened the organization. Secondly, according to the Hansa League, its exclusivity kept the organization. According to Hansa League, exclusion official structure kept the decentralization's regime of cooperation that played very important role. Thirdly, the city laws of North Germany helped to develop the cities. The regional congress, Drittel-teilung and Hansetag served as administrative and political center of the Hansa League. The Hansa League’s expansion of free trade and distribution of goods necessitated the provision of collective goods and maintain the trade order’s stability and duration. The Hansa League can be seen as a multilateral trade regime. Its commercial privileges created the base of its international trade order. However, the hegemonic power of the Hansa League eventually fragmented international trade order and lead to a chaotic situation. To remedy the problem, the Hansa League introduced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amongst the Hansa cities. This principle was used to restore bilateral checks and balances and induce cooperation amongst the cities. However, the economies of each city strengthened dramatically. The economic liberalism that prevailed during the time was rejected and protectionist measures were installed. Thus, Eastern and Western Europe were in a crisis situation. Therefore, Kontor showed the matter of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that it had the acquisition of commercial privileges. The example of Novgorod shows that without regional institutional cooperation relations, the Hansa League would not be able to reach its full market potential. Every Hansa city has its own specific regulations, so intervention was not possible. Therefore, to successfully adapt to globalization, each individual city should implement autonomy along with localization. In conclusion, each city’s specific demands on time and budget add an unstable element to the Hansa global market. Consequently, in this situation narrow globalization was conducted in Baltic Sea and Hansa cities is only important to take measure to improve well-functioning market and market's functions. 이 연구는 발트 해 지역의 한자동맹을 중심으로 글로컬라이제이션에 관해 고찰하는 것이며, 그중에서도 제도적인 측면에서 도시와 시장의 요소와 지역 간의 협력관계를 분석하였다. 한자동맹은 확장론적인 글로벌화라고 불리고 있으며 느슨한 공식적인 구조를 가졌지만 매우 큰 상업 권력을 가졌으며, 한자 동맹의 무역량에 비교하여 볼 때도 자체의 약한 구조를 가졌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한자동맹은 광범위한 활동 구조와 그 구조의 무정형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자동맹은 5세기 동안 장기간 존립하였고 200개가 넘는 도시들이 참여한 규모의 경제를 초월하는 광역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시기 한자도시 유럽은 번영을 가져왔다. 제도적 차원에서 볼 때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자도시 차원에서 한자동맹은 제도적인 구조를 통해서 북독일 도시들의 협력적인 조직을 만들어 갔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게임의 균형(equilibrium of a game)을 통해 공식적으로 부족한 조직을 제도적으로 강화시켰다는 것이다. 한자 동맹에 의해 만들어진 제명이라는 공식적인 구조가 탈중앙화된 협력의 레짐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도시법은 북독일 자치 도시들이 발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한자도시의 조직은 지역회의, 3구분제, 한자회의를 통해 행정적, 정치적 기능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한자시장 차원에서 한자동맹은 자유로운 교역의 확대, 확대되는 교역의 원활한 유통을 위해 필수적인 집단재(collective goods)를 제공함으로써 국제무역질서의 안정과 존속에 역할을 해 왔다. 다자주의적 무역체제(multilateral trade regime)로 볼 수 있는 한자동맹은 상업 특권을 통해 국제무역 질서 기반을 만들어 갔다. 파편적이고 무질서한 국제무역질서를 한자동맹의 패권적 지도력에 기초한 국제무역 질서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은 한자도시 간의 상호주의(reciprocity)였다. 상호주의는 무질서 또는 무정부적 상황 하에서 자국중심적인 국제정치 행위자들의 협력을 유도하였고, 질서를 복구하는 최선의 방법은 상호주의에 입각한 쌍무적(bilateral) 견제와 균형이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한자 시장에서 각국의 경쟁은 격렬하게 전개되어 오랜 기간 동안 견지해 왔던 경제적 자유주의를 지양하고 보호주의를 취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한자의 동․서유럽의 중개무역 자체는 한자의 존립의 위기에 처하게 된다. 따라서 상업특권의 취득주체가 된 한자상관은 제도적 한계를 보였다. 그리고 러시아 노브고로드 사례를 통해 볼 때, 한자동맹이 시장에 개입하고 관리를 하지만 지역과의 제도적 협력관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시장 효율성을 달성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한자도시마다 선호하는 규제․개입 방식이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글로벌화는 개별 국가의 자율성과 지방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성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한자의 세계 시장의 특성은 각 도시의 시각과 균형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글로벌화에는 불안정한 요소가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 속에서 편협한 글로벌화가 발트 해에서 진행되었으며, 여기에는 제대로 기능하는 시장과 시장 기능을 높이려는 한자도시에 의한 규제와 개입이 중요했을 뿐이었다.

      • KCI등재

        국내 거주 조선족의 민족 정체성과 국가 정체성 형성과 변화 연구

        김영술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2019 동북아연구 Vol.34 No.2

        이 연구는 국내 거주 조선족의 민족 정체성과 국가 정체성 형성과 변화에 대한 것으로 정체성을 정치적, 문화적, 이데올로기적 체제의 맥락과 중국과 조선족, 한국 간의 관계에 접근해서 고찰하였다. 국내 거주 조선족의 정체성은 개인과 사회, 국가 등다양한 관계와 맥락 및 정책 등을 통해 인식되고 형성되고 있다. 관계에 따른 조선족의 정체성은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맥락에 따른국내 거주 조선족이 보인 정체성은 정치적으로는 이중 정체성, 문화적으로는 젊은 층에서 혈통‧민족 등 정치적 정체성에서 문화적 정체성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이데올로기 체제 맥락에서 조선족 정체성은 한국 정치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 사회주의 체제가 민족 정체성에 부정적인 역할을 한다고는 볼 수 없었다. 결국 조선족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는 사회주의 체제의 국가 이데올로기, 정치·경제적이며 사회·문화적인 측면보다는 한국 언론의 보도행태의 책임이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정체성 형성과 변화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조선족이 정체성의형성과 변화 과정에서 우리와는 다른 차이와 다양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한국 사회는그들을 수용하며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새로운 관계의 인식틀을 만들어 가는 작업이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후보

        광주지역의 결혼 이민자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연구

        김영술,김용권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3 다문화와 평화 Vol.7 No.2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social integration problem of married immigrants in Gwangju area. For that, this study evaluates marital status of married immigrants, business social integration in Gwangju area. There were analyzed seven areas through the survey and they are following: labor market mobility, family reunification, education, political participation, long-term residence, access to nationality, anti-discrimination. Through that study, multucultural family support for business that Gwangju run clearly shows assimilation of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However, from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analysis, it clearly shows that in Gwangju among those seven areas (mentioned before), married immigrants immigration status as well as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from mechanisms are in the focus. In other words, the assimilation of immigrants in the welfare level policy and the dual policy of social integration of immigrants discriminatory exclusion model including Gwangju area can be called as Korean multilateral and multicultural policies. From that those two policies in any way fusioning or harmonizing, there can be the future of Korea`s immigration policy; while now, Korean multiculturalism basing on national fundamental rights of marriage should accomplish the social integration of immigrants with citize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국내 거주 고려인의 민족 정체성과 국가 정체성 형성과 변화 연구

        김영술 재외한인학회 2020 在外韓人硏究 Vol.51 No.-

        This study is about the ethnic identity, formation and change of national identity of Koryoin living in Korea, To that end, this study examined the identity through the context of political, cultural, ideological systems and historical relations. In-depth interview research method was used. A total 15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Koryoin which comprises on workers and smal businesmen in Ansan and Gwangju city. Interviews were taken on June 2-23, 2019 and January 24-26, 202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ows. The identity of Koryoin living in Korea the pedigre played the largest role in the political context. Although Koryoin belong to their country of residence, there was no greater sense of belonging to the people of the country. Also, there were smal diferences betwen Koreans in Central Asia and Rusian Koreans, not only in regional diferences but also in vilages and cities, the environment, cultural diferences, generational diferences, and their atitudes and personalities. In the cultural context, the ethnic identity of Koryoin plays a biger role in ethnic atachment than national hybridity and language. In the context of the ideological regime, Koryoin were influenced by factors betwen the two Koreas during the Cold War. At present, Koryoin were very negative about North Korea. The identity of Koryoin acording to the relationship is diferent regarding to the historical period. In particular, the Soviet Union's national policy influenced the identity of Koryoin. The ethnic identity of Koryoin and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country of residence has ben shaped and changed with a complex historical character. Therefore, it sems necesary to work on creating a new frame of understanding and awarenes of Koryoin. In adition, if Koryoin want to setle in Korean society, they hope that our homeland wil provide an economic and cultural foundation. 이 연구는 국내 거주 고려인의 민족 정체성과 국가 정체성 형성과 변화에 대한 것으로 정체성을 정치적, 문화적, 이데올로기적 체제의 맥락과 역사적 관계에 접근해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 광주광역시 광산구를 중심으로 노동자, 자영업자 등 총 15명을 대상으로 2019년 6월 2~23일과 2020년 1월 24~26일 동안 심층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거주 고려인이 보인 정체성은 정치적 맥락에서는 혈통이가장 큰 역할을 하였다. 고려인은 거주국 국가에 대한 소속감은 있지만, 국민으로 큰 소속감은 없었다. 또한 중앙아시아 고려인과 러시아 고려인 간에는 지역 차이뿐만 아니라 마을과도시, 환경, 문화 차이, 세대 차이, 각자의 태도와 성격에서 작은 차이가 있었다. 문화적 맥락에서는 고려인의 민족 정체성은 민족 혼종성과 언어보다는 민족 애착 등이 큰 역할을 하고있다. 이데올로기 체제 맥락에서는 고려인은 냉전 시기에는 남북체제 요인으로 인해 영향을받았지만, 현재 고려인의 북한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정적이었다. 관계에 따른 고려인의 정체성은 역사적인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소련의 한인 민족정책이 고려인정체성에 영향을 주었다. 고려인의 민족 정체성과 거주국의 국가 정체성은 복잡한 역사적 성격을 지니며 형성되고변화해 왔다. 따라서 고려인에 대한 새로운 관계와 이해의 인식 틀을 만들어가는 작업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고려인이 한국 사회에 정착을 원하면 경제적이고 문화적인 토대를 우리모국이 제공해 주었으면 한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