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직주의의 관점에서 본 지역방송 보도의 과제

        김연식(Yeonshik Kim)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사회과학연구 Vol.24 No.2

        This study examined the realities of local broadcasting News and journalism professionalism in order to discover specific problems facing current local broadcasting new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main news programs in Busan, Ulsan, and Kyungnam MBC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news reporters in the three local MBC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local broadcasting news seemed to have problems of not being watched and no news to watch. In addition, the local broadcasting was thought to have no internal powers to solve the problems, which is considered closely related with the crisis of professionalism in the local broadcasting. For news reporters, autonomy remains conventional and does not seem to function as motivations for the realization of good journalism. Moreover, news reporters found themselves felt less contributed to local societies. A number of TV audiences believed that it is local broadcastings responsibilities to stimulate and watch democracy in their local societies. Therefore, local broadcasting reporters should make efforts to meet the demands and expectations from the TV audiences through comprehensive innovations based on journalism professionalism.

      • KCI등재후보

        방송 저널리즘 통제요인에 관한 연구

        김연식(Yeonshik Kim),박홍원(Hong-Won Park)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1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5 No.1

        이 연구는 방송 보도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통제요인을 조직 외적 요인과 조직내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조직 외적 요인으로는 정치권력, 광고주, 시민사회단체, 이익단체, 시청률, 시청자평가가, 조직 내적 요인으로는 상급자, 조직내 동료, 사내직능단체, 경영진, 사장ㆍ사주, 사내심의 평가, 취재내용과 소속사의 이해관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방송저널리스트는 전체적으로 시청률, 시청평가, 상급자, 조직 동료 등의 통제요인을 다른 요인들보다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외적 통제요인을 기자와 프로듀서 두 직능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기자는 정치권력에, 프로듀서는 시청률과 시청평가에 더 민감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조직 내적으로는 기자가 상급자, 취재내용과 소속방송사와의 이해관계를, 프로듀서는 조직 동료와 사내심의를 더 많이 고려하고 있었다. 이는 직능별 조직문화와 취재관행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방송사간의 차이에서는 정치권력, 광고주, 시민단체, 이익단체, 경영진, 사장ㆍ사주 등 많은 영역에서 SBS의 저널리스트가 다른 방송사의 저널리스트보다 통제요인을 더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민영방송의 구조적 특성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라고 하겠다. This research analyzed various control factors that are thought to affect broadcasting journalism by dividing them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ternal factors include superiors, colleagues, occupational associations, management, owners, evaluation within organization, relationship between news content and organizational interest; external factors include political powers, advertisers, civic organizations, interest groups, view-rate, viewers’ evaluation. Research results show that broadcasting journalists consider view-rate, viewers’ evaluation, superiors, colleagues more seriously than other control factors. Specifically, news reporters are found sensitive to political powers, superiors, relationship between news content and organizational interest. On the other hand, program directors consider view-rate, viewers’ evaluation, colleagues, evaluation within organization more important. These results seem to stem from the differ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reporting rituals. Meanwhile, SBS journalists consider many factors, such as political powers, advertisers, civic organizations, management and their owner, more important than their counterparts of KBS and MBC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broadcasting stations.

      • KCI우수등재

        방송 저널리스트의 방송 통제요인 인식 변화 연구

        김연식(Yeonshik Kim) 한국언론학회 2014 한국언론학보 Vol.58 No.1

        This study examined how broadcasting journalists’ perceptions on various control factors have changed for the last 5 years. The study found that from 2008 to 2013, broadcasting journalists’ perceptions on the control factors have changed significantly, and this supported a social belief that broadcasting journalists would aware influences of the control factors more than before. Most of the mean values of the 13 factors were found risen, and this meant an increasing intensity of control factors for broadcasting journalism. Among external control factors, political power and view-rate factor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while senior management and president/owner factors among the internal factors. It implies that changes of political power could affect broadcasting policy and management. It also showed that the two internal factors, senior management and president/owner factors, which were thought indirect and less influential factors before, became strong and direct factors nowadays.

      • KCI등재

        대구MBC 뉴스 제작진의 코로나 사태 보도태도에 관한 연구

        김연식(Kim, Yeonshik)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4 No.2

        이 연구는 대구 지역의 방송사들이 코로나 사태를 어떻게 보도했는지 그리고 방송사들 간에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를 기자들의 보도태도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KBS대구총국은 국가 재난 주관방송사로서 가능한 한 확인된 사실 위주의 정확한 방송을 지향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TBC대구방송은 방송시간이 타사에 비해 길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사실 중심의 뉴스뿐만이 아니라 일화나 미담, 그리고 인터뷰 기사를 많이 방송하였다. 대구MBC는 상대적으로 짧은 방송시간과 적은 수의 취재인력을 감안하여 기사의 양보다는 영향력 있는 기사를 생산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대구MBC 보도는 코로나라는 미증유의 재난사태 속에서 방역행정의 허점을 비판하는 기사를 다른 방송사들보다 더 많이, 더 적극적으로 생산했다는 점에서 차별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도국 내부의 자기변화에서 기인한 것으로 드러났다. 과거 보도행태에 대한 성찰과 반성이 이루어지고 취재부서의 자율성이 증대되었는데 이를 통해 제작관행의 변화가 생겼다. 출입처 제도에 변화가 있었고, 내·외부 소통이 원활해졌으며 유튜브 채널도 새롭게 활성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우리는 지역방송 보도에 있어서도 저널리스트의 자율성이 보도내용 변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DaeguMBC has differentiated their news reporting on Covid19 outbreak, compared to DaeguKBS and TBC. News from DaugeKBS have a tendency to deliver confirmed-facts to audience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tents of TBC news include not only general fact-centered news but also feature and interview news. In contrary, due to a small number of reporters and a limited amount of broadcasting time DaeguMBC news have a tendency to focus more on influential news, especially about critical stories against Daegu City government’s incompetent administration. Differentiation of DaeguMBC news reporting results from self-correction in their news teams. Specifically, news reporters reflected their mistakes in the past, and tried to strengthen their autonomy of news reporting. They also intensified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s with reporters and audience. Finally, DaeguMBC news reporters promoted their own YouTube channels to accomplish enlarged news contribu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realization of autonomy of news reporting has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good journalism’ in local broadcasting.

      • KCI우수등재

        방송 저널리스트의 공정성 인식 연구

        김연식(Yeonshik Kim) 한국언론학회 2009 한국언론학보 Vol.53 No.1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broadcasting journalism fairness through the analysis of broadcasting journalists’ perception on journalism fairnes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hat both news reporters and program directo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questionnaires are based on various previous researches regarding this topic. According to the results of 24 survey questions, six factors-factualness, balance, impartiality, contextualization, diversification and autonomy-are believed to affect the fairness perception of broadcasting journalists. Amongst these six, news reporters show a higher tendency for balance, impartiality factors, whereas program directors impose more importance on factualness and contextualization factors. This is because news reporters adhere to the conventional journalism principal, so to speak, objectively delivering facts, which requires balance, impartiality, while program directors deal largely with relatively long programs, which requires factualness and contextualization to keep consistency throughout a whole program. The different perception of fairness between the two journalist groups has an inevitable relation with journalism fairness debates that Korean broadcasting journalism face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is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s by journalists themselves. Furthermore, developing integrated programs that include both news reporter and program director journalism can be a good alternative in resolving journalism fairness debates.

      • KCI등재

        모바일 시대 수용자들은 어떤 뉴스 콘텐츠를 원하는가?

        김연식(Yeonshik Kim),박남기(Namkee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5

        이 연구는 모바일 기기 이용 변화와 관련하여 뉴스 소비자 집단의 뉴스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실제 수용자들이 원하는 뉴스 콘텐츠는 어떤 것인지를 알아보았다. 모바일 시대 수용자들은 뉴스 제작자들이 수용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뉴스콘텐츠를 제작하기 원했으며 수용자들의 수준을 지나치게 낮게 생각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취했다. 그리고 모바일 환경에 맞는 새로운 뉴스형식과 서비스를 선호하였다. 그러면서도 표피적이거나 선정적인 뉴스보다 해설기사나 탐사보도 같은 언론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는 뉴스콘텐츠를 요구하였다. 따라서 각 언론사는 뉴스 생산과 전달에 있어 수용자의 입장을 고려하고 모바일 매체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sed news consumers’ perception toward the use of mobile devices and examined their preference on news contents. News audience in the mobile age hoped that news producers make news contents through communication with audience. They showed a negative stance against the attitude that news producers underestimate the audience’ intellectual level. Audience preferred novel news formats and services adapted to the mobile environments. In terms of the role of the press, they preferred interpretive and investigative journalism rather than superficial and sensual journalism. Therefore, news companies should consider audience’ news consuming attitudes in their producing and delivering news. They also should seek for utilizing the use of the mobile media more aggressively than ever before.

      • KCI등재

        중국의 예능프로그램 규제에 대한 중국 시청자 태도 연구: 한국 거주 중국 유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왕쉬에 ( Wang Xie ),김연식 ( Kim Yeonshik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7 언론과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중국 정부가 자국 방송환경의 고유성을 보호하기 위해서 실행하는 일련의 방송규제에 대해 중국 시청자들이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중국 시청자들은 사드 문제가 불거지기 이전부터 이미 한국 예능프로그램이 중국 방송에서 지나치게 범람하는 것에 대해서 경계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예능프로그램 포맷을 직접 수입하거나 모방한 프로그램이 많아지면서 중국 예능 방송에서 자국만의 특색이 사라지는 것에 대해 우려 하고 있었다. 이것은 일종의 민족주의 의식의 발로라고 볼 수 있으며 자민족중심주의의 인식이 예능프로그램을 감상하는 데에도 일정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국만의 고유한 정서를 반영한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수요가 존재하며, 이러한 사실은 중국 방송인들뿐만 아니라 향후 중국시장을 목표로 하는 한국 방송 관계자들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결국 중국 정부의 방송 규제에 대한 중국시청자들의 여러 인식의 밑바탕에는 자국의 방송산업 발전에 대한 요구가 전제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Chinese audience`s attitude on Chinese government`s regulation of TV entertainment shows. Some young audience who has long been familiar with the internet media such as on-line films and television programs generally hold a negative attitude on the government`s regulations. On the other hand, Some Chinese audiences hope to promote their own creative TV entertainment shows so they support the government`s regulations to restrict the import of overseas TV shows. Both sides of Chinese viewers attitude explain that Chinese viewers are confused in the middle point of individual TV tastes and ethnocentrism. This study has some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broadcasting industry, in that this is one of the qualitative studies which analyzed Chinese audience attitude on Chinese government`s regulation. The result suggest that Chinese and Korean TV show producers consider not only the Chinese government`s regulation but also Chinese nationalism when they set a new plan to make TV entertainment shows

      • KCI등재
      • KCI등재

        종합편성채널의 콘텐츠 운용과 비대칭규제에 대한 지상파 종사자들의 인식

        한진만(Jinmann Han),김연식(Yeonshik Kim),박승현(Seung Hyun Park) SBS 2014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2 No.1

        이 연구는 종합편성채널의 개국 이후 나타난 방송환경 변화를 종편채널의 보도 영역의 콘텐츠 경쟁력, 외주제작 환경의 변화, 그리고 비대칭규제를 중심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것은 지상파 방송 종사자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진행되었다. 지상파 방송 종사자들은 종편채널의 보도 영역 프로그램이 채널 인지도 향상에 도움을 주었고 이후에도 이런 기조가 유지되리라 전망하였다. 하지만 해당 프로그램에서 드러난 내용과 구성방식 등에 대해 비판적으로 평가하였다. 인터뷰 대상자들은 종편채널의 도입이 외주시장 활성화에 기여하지 않았다는 평가를 내렸다. 또한 인터뷰 대상자들은 광고 영역과 내용 및 표현의 규제 영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비대칭규제의 문제를 평가하면서, 지상파 방송에 대한 과도한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new comprehensive programming (CP) channels, focusing on several issues such as their content and programming power, the promotion of independent production, and asymmetric regulation. This study employs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eople working in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y, in order to investigate its research questions. First, the interviewee evaluates the program of information including news and debate show, regarded as the most competing genre in the new CP company. This program also plays a crucial role in enhancing the awareness of new broadcasting companies. However, it is criticized because it has seldom fulfilled the doctrine of impartiality. Second, the interviewee evaluates that new CP companies do not carry out any contribution on the promotion of independent production. Third, the interviewee reveals a recognition that asymmetric regulation brings relatively excessive burden on terrestrial broadcasting stations, expecially in the areas of advertising and the inspection of contents and expression.

      •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SMEs Pursuing Ope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 Robinder Nath Sachdev ),장석인 ( Sugin Chang ),김연식 ( Yeonshik Kim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2019 혁신기업연구 Vol.4 No.2

        전 세계적으로 경쟁강도가 증가하는 개방화 시대 속에서 한국의 중소기업들은 초경쟁이라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오늘날 기업들은 시장의 글로별화와 같은 기업환경의 변화를 직면하고 있으며, 기술혁신을 통한 경쟁우위를 확보한 기업만이 생존 및 지속성장을 이룰 수 있다. 연구개발을 통한 기술혁신은 중소기업의 생존 및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경영혁신은 조직이 사회적 구조 내부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입하여 실행하는 과정이다. 경영혁신은 조직 구성원을 선발하고 자원, 과업구조, 권한과 보상 등을 담당하는 부문에 새로운 방법을 채택하여 실용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술혁신은 주로 제품이나 서비스 및 생산 공정에 새로운 변화를 도입하여 실용화시켰을 때 발생한다. 혁신형 중소기업은 외부의 지식을 습득하고 학습하는 데에만 멈추지 말고 내부 지식과 결합시켜 새로운 지식을 창안할 수 있는 역량을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기반관점을 통해 중소기업의 특수자원인 혁신역량의 의미와 중요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활동과 기술혁신성과의 의미와 특성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In an age of liberalization where competition is increasing globally, SMEs in Korea have entered a new phase of supercompetition. Today, companies face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global glossification of the market, and only companies that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can achieve survival and sustainable growth. In particular, technological innovation through R&D can be an important factor to secure the survival and competitive advantage of SMEs. Management innovation is the process by which an organization introduces and implements new ideas within its social structure. Management innovation means adopting new methods and putting them into practical use in the selection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in the areas of resources, task structure, authority and compens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occurs mainly when new changes are introduced into the products, services and production processes. Innovative SMEs should not only stop at acquiring and learning external knowledge, but also actively develop the capacity to create new knowledge by combining it with internal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innovation capability, a special resource of SMEs, through a resource-based perspective. Through thi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open innovation activit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outcomes of SM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influence factors of management innovation and technology innovation that SMEs carry 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